부산23산우회 밀양 낙화산 - 꾀꼬리 농원(손우식) 환종주/번개산행/2015.10.13
1. 부산 나무꾼 나홀로/송충송
2. 산행코스 : 지도상 굵은 푸른선
정문(열녀문) - 비학산 - 비암고개 - 보두산 - 낙화산 - 노산고개 - 중산 - 다촌 - 숲촌 - 꾀꼬리농원 - 정문
3. 산행거리 : 17km
4. 산행시간 : 6시간 반
산행사진 (크릭하면 확대됨)


남기리 정문 . 열녀문
열녀문 우측이 영남 알프스 태극종주(정문-낙화산-용암봉-구만산-억산-운문산-가지산 ---- ) 들머리고 운문지맥의 끝자락.
정문 ,,,,
효자나 열녀들을 기리기위해 그의 집앞이나 마을 앞에 붉은 문을 세웠는데 그것에서 유래하여 이 마을의 이름을 정문이라고 한다는데 ,,,,, (절효지문의 줄임말)
사진의 저 열녀문은 임진왜란때 왜적으로 부터 죽음으로써 부도를 지킨 손기후의 부인 , 창녕 장씨를 기리기 위해 세운 열녀문 이라고 함. 우식이의 정문과 열녀문에 대한 설명이 더 필요 할것 같다
저 열녀문 바로 옆에 손우식 동기의 밀양집이 있다

열녀문을 지나 비학산으로 오르는 길은 아주 조용하다.
아마 등산객이 별로 없는 것 같다. 오늘 환 종주동안 길이 간혹 희미해서 애를 먹었다
비학산까지의 능선에 대부분 손씨 집안 묘가 보인다

발아래로 남기리 아름다운 가을 모습이 펼쳐지고 ,,
밀양역 뒷산 산성산과 칠탄산 그리고 멀리 만어산이 가물2하다
산성산이 영알 태극종주 마지막 종점

비학산(318) 정상
무덤뒤에 정상석이 있다.

비학산 굴던바위에서 바라본 뷰
보두산 낙화산 중산 꾀꼬리봉까지의 아름다운 능선이 마을을 감싸고 있다. 정말로 평화롭게 보인다.
명당이다

꾀꼬리봉 아래 꾀꼬리 농원이 자리잡고 있다
지난 봄에 우식이의 초청으로 산우회 매실 따기 산행을 하고 전번달에는 밤따러 갔었는데 ,,
우식이의 넘치는 대접이 아직도 기억이 생생하다. 우식아 고맙다. 내년에 또 부탁하자 ,,,

보두산 아래로 부산 대구 중앙고속도로가 힘차게달리고 ,,

낙화산 환종주 산갈은 만만한 길이 않이다. 요근래 보기드물게 엄청 고생을했다
이런 자일을 타고 오르는 바위 지역과 엄청난 급경사에 얼마나 많은 산 봉우리를 오르고 내렸는 지,,,,
완전한 롤러코스트 코스였다

비암고개
이 밑으로 바로 부산대구 중앙고속 도로가 지난다

272 전멍대에서 바라본 뷰

보두산이 지척이지만 급경사를 보니 머리에 쥐가 난다

부산대구 중앙고속도로

구절초 군락지
산행길이 온통 잡목과 빽빽하게 우거진 소나무로 산행이 상당히 힘이든다. 간혹 길도 희미하다.

다촌에서 부두산으로 올라오는 고개마루
보두산 350미터 라는데 ,,, 온몸에 땀이고 숨이 가슴을 죈다. 진짜 힘든 코스다

보두산 낙화산이 지척이고 ,,,

낙화산에서 중산으로 이어지는 능선이 푸른 하늘아래 아름다운 하늘금을 그리고 ,, 그 아래 마을이 그림같다

중산에서 꾀꼬리봉으로 이어지는 아름다운 능선길
그러나 산 오름을 보니 엄청난 급경사에 머리가 띵하다

보두산 (562) 정상
정상석이 없고 등산객들이 만들어 걸어논 글짜 판만있다. 지자체에서 별로 신경을 않쓰는것 같다
산이름도 보두산 보담산 헷갈린다 . 보담산으로 바뀌었다는 얘기가 있는데 ,,,,

낙화산(597)
낙화산은 임진왜란때 이곳으로 시집온 민씨 성을 가진 가진분이 붉은옷을 입고 왜군에게 쫒기다가 이곳 절벽(낙화암) 에서 뛰어 내렸다는데 그 모습이 한송이 꽃봉오리가 떨어지는듯 하여 붙쳐진 이름이아고 함

용담

산길이 상당히 험하다.

낙화산 정상
땀을 뻘뻘 흘리며 정상을 오른다

낙화산 정상석

앞으로 나아 가야할 중산 능선길이 힘차게 뻗어 있고

중산에서 꾀꼬리 봉으로 가는 능선길이 참 아름 답다 그러나 산의 급경사를 보니 머리가 띵하다
밑에 마을은 다촌

노산고개
석이바위에 옛날에 석이버섯이 억수로 많아서 석이바위라는데 지금은 눈 딱고 볼래도 없다

또다시 위험한 줄타는 코스

지나온 길을 돌아보고
정문에서 비학산을 지나 낙화산까지의 능선을 빨래판 능선이라는데 차라리 롤라코스트 능선이라는 것이 더 맞을것 같다.
오르고내리고 오르고내리고 쳐다만 보아도 멀미가 나는것같다. 참 멀리도 왔다
작은 사진은 겨울에 찍은 사진 . 확실히 능선이 빨래판 처럼보인다

중산에서 꾀꼬리봉으로 가는 능선
쳐다만 보아도 멀미가 난다 어떻게 또 저 급경사를 오르지 ?????

지겨운 로프지역

발아래로 제법 아마득하다

소나무에 핀 가을
힘이 들지만 이런 아름다운 모습에 산을 오른다

뒤돌아 보고

중산 (643)
정상석이 없다. 작년까지 있었다는데 없애 버렸나 보다. (작은 사진은 인터넷에서 퍼온것임)
석이바위봉을 중산으로 바꾸었나보다. 지도상의 석이바위봉에 중산 정상석이 있다

용암봉으로 가는 갈림길
억산으로 갈려면 여기서 용암봉 거쳐 오치재로 간다
오늘 여기에 산행을 온 이유는 비학산에서 가지산으로 가는 길을 답사하러 왔다.
곧 2박3일 나홀로 논스톱 영알 종주를 계획하고 있는데 이 코스는 초행이고 제일 궁금해서다.

작년에 구만산에서 용암봉까지 산행을 한 기억이 생생하다
용암산가는 삼거리. 금곡 용암산으로 가는 길. 억산으로 가는 용암봉이 아님 ,,, 많은 영알 종주객들이 이 이정표에 헷갈려서 엄뚱한 곳으로 갔다는데 ,,, 혹시 여기 산행하시는 분은 착오 없으시길 바람 ,,,, 용암봉과 용암산 완전히 반대편 산임 ,,

중산에서 중산2봉(석이바위봉) 으로 가는 길은 아주 편한 길이다

중산2봉(석이바위봉) 정상
여기서 꾀꼬리봉으로 가지않고 다촌으로 빠진다

다촌으로 가는 하산길도 만만치 않다.
급경사의 연속이다

다촌에 도착하니 궁전 같은 엄청난 규모의 기와집을 만난다
태광산업 박연차 회장의 문중 제실이라는데 ,,,,,, 노무현 전 대통령이 오버랩된다.

다촌에서 차길을 따라 정문으로 내려간다
산 기슭에 멋지게 지은 별장식 집들이 많이 보인다
몇년 후면 여기도 복잡해 질것같다

새로 도로도 만들고 있고 ,,,
보두산으로 올라가는 들머리

다촌을 지나 숲촌으로 길 주위 풍경
그림이다 !!!!!!!!!!!

숲촌 버스 정거장
마을버스 (하루4번)가 언제 올지 몰라서 바로 숲촌 정거장을 통과해서 정문으로 내려간다.
혹시 우식이가 집에 있으면 커피라도 한 잔 얻어 마실 요량으로 ,,,

숲촌을 자나며 ,,,,,
이름 그대로 참 아름다운 마을 인데 마을회관에 나부끼는 글을 보니 너무 거시기하다
요사이는 시골 인심이 옛날과 달라 영 거시기하다. 옛날에는 촌길을 가다가 아무집이나 들어가서 밥 한끼 얻어 먹고 밭에 고구마 같은것도 얻어 가는것이 쉬웠는데 요사이는 잘못하면 큰일난다.
그래서 나는 산행중 시골 마을을 지날때 목이 말라도 물 한잔 달라고 하지 않는다.

꾀꼬리봉 아래에 자리 잡은 손우식동기의 꾀꼬리 수목원

수목원을 지나서 정문으로

오늘 이 코스가 기가 막히는 코스다. 우리집에서 해운대 열차역이 도보로 5분거리에 있고 아침 7시 50분에 밀양가는 열차가 있어서 한시간 20분만에 여기에 올수 있다. 우리집에서 시간적으로 가장 가까운 산행 지점이고 간단하게 올수있다. 영남알프스 다른곳은(언양쪽) 우리집에서 빨라도 다 3시간 넘게 걸린다 . 아마 자주 올것같다.

정문 열녀문에 도착.
우식이는 아마 딸래미 집(세종시)으로 갔는지 대문이 굳게 닫혀있다 (작은 사진)
여기서 얼음골에서 출발한 버스를 타고 밀양 시외 버스터미날로 가서 부산으로 간다.
오늘 산행 끝. 부처님하느님 오늘도 안전 산행 감사합니다
첫댓글 브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