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44년 여름, 태평양 전쟁은 막바지로 치닫고 있었다.
일본은 이미 패색이 짙었고 일본 본토를 폭격 사정권에 둔 미군은 무차별 폭격을 퍼부었다.
수시로 공습 사이렌이 울리고 미군기 습격을 알리는 다급한 목소리가 일본인들의 가슴을
철렁하게 하던 전쟁 통에 한 조선인이 일본의 수도 동경을 방문했다.
나이 마흔 둘의 서예가이자 미술품 수집가 손재형이었다. 목적지는 도쿄 우에노의 후지스카
지카시(藤塚隣)의 집이었다.
후지스카와 손재형은 구면이었다.
“결국 또 그 얘기를 하러 온 건가요?”
후지스카는 얼굴을 굳히고 물었다. 그러자 손재형은 고개를 깊숙이 숙이며 대답했다.
“맞습니다. 제게 세한도(歲寒圖)를 팔아 주십시오.”
후지스카의 얼굴이 더욱 결연해졌다. 경성제국대학 교수를 지낸 그는 추사 김정희 매니아로
유명했고 일본으로 건너올 때 세한도를 비롯한 추사의 작품들을 가지고 왔었다.
그런데 그 중 가장 값지고도 사연 있는 작품, 자신도 아까워서 1년에 몇 번 들여다보지 않을
세한도를 달라니. 후지스카의 눈썹이 꿈틀거렸다. 조선에 있을 때부터 세한도를 팔라고 조르던
이 조선인이 일본까지 찾아와서 내 집 문지방을 넘다니. 후지스카는 단호하게 잘라 버렸다.
“절대로 안 되오. 그냥 돌아가시오.”
손재형은 의외로 선선히 물러나는 듯 했다. 아쉬운 표정으로 일어나 하직 인사를 올리기에
웬일인가 싶었는데 손재형은 엷은 미소를 띄우면서 말을 이었다.
“내일 뵙겠습니다.”
그러나 ‘내일’은 쉼 없이 계속됐다.
손재형은 하루도 빠짐없이 후지스카를 방문했고 녹음기처럼 말을 되풀이했다.
“세한도를 주십시오, 세한도는 조선에 있어야 합니다.”
그렇게 100여일 동안 손재형은 후지스카를 찾아왔고 머리를 숙였다.
“세한도를 주십시오. 돈은 원하는 대로 드리겠습니다.”
마음이 누그러진 후지스카는 이미 자신의 몸이 쇠약하니 죽은 뒤 유언을 통해 당신에게
인도하마 한 발 물러섰으나 손재형은 막무가내였다.
그는 눈물까지 뚝뚝 흘리며 세한도를 자신에게 팔아 달라고 두 손을 바닥에 짚었다.
마침내 후지스카 치카시가 졌다. 댓가도 없이 세한도를 손재형에게 넘긴 것이다.
“선비가 아끼던 것을 어찌 값으로 따질 수 있으리. 돈은 됐소. 보존만 잘 해 주시오.” .
후지스카가 조금만 더 결심을 늦추었더라면 우리는 영원히 세한도를 보지 못했을지도 모른다.
세한도를 양도한 직후 미군의 폭격으로 후지스카의 집이 불타 버렸던 것이다.
그래서였을까 후지스카 치카시는 아들에게
“조선의 보물은 조선으로 돌아가야 한다.”는 유언을 남겼고 그 아들은 2006년 사망하기 전
아버지가 모았던 추사 친필 글씨 26점, 추사와 관련된 서화류 70여 점 등 1만여 점을
과천시에 기증하면서 현금 200만 엔까지 더해 왔다. 손재형의 정성에 대한 감동이 그 아들
대에까지 이어진 것이리라.
세한도를 손에 넣은 손재형의 기쁨으로 돌아가보자.
조심스럽게 그림을 펼치는 그의 눈은 그림을 비출 듯이 빛났고, 온전히 드러난 세한도 앞에서
다시금 가슴은 심하게 고동쳤다.
겨울 칼바람이 쓸고 지나간 듯 황량한 여백에 얹힌 허름하고 구멍 뚫린 집 한 채, 그러나
엄동설한의 칼바람에 흔들림 없이 섰고, 그 가지에 달린 잎들도 무성하고 싱싱한 소나무와
잣나무 4그루.
추사 김정희의 필법과 화법을 동시에 볼 수 있는 이 귀물이 돌아왔다는 소문은 삽시간에
해방 조선에 퍼졌고 많은 이들이 그림을 보기를 원했다.
그 가운데 손재형은 당대의 석학이자 독립운동가였던 정인보와 이시영, 그리고 오세창에게
세한도를 보이고 이들로부터 발문을 받는다.
이 세 명의 발문은 세한도에 바쳐진 마지막 배관기(拜觀記) 즉, ‘절하면서 보았던 기록’이다.
그 앞에는 한때 그림을 소장했던 김석준과 청나라의 명사 16명이 세한도를 보고 남긴 감상들이
줄줄이 붙여져 있었다. 그래서 세한도를 다 펼치면 길이는 무려 14미터에 달한다.
물론 이 길디 긴 화폭에 처음으로 글씨를 쓴 이는 김정희 본인이다.
‘세한도’(歲寒圖)라고 예서체로 쓴 제목 옆으로 ‘우선시상(藕船是賞)이라고 쓰여 있다.
이 우선(藕船)은 이상적 (李尙迪, 1803~1865)이라는 이의 호(號)다. 즉 “이상적은 이 그림을
감상하시라.”는 제목이면서 이 세한도가 이상적을 위해 그려졌다는 김정희 본인의 선언이다.
- [출처] ‘역사를 만든 최고의 짝’ 중에서
- 받은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