팽나무의 효능
쌍떡잎식물 쐐기풀목 느릅나무과의 낙엽교목
학명: Celtis sinensis
분류: 느릅나무과
원산지: 한국
분포지: 한국, 중국, 일본
꽃말: 고귀함, 위엄
크기: 20m.
느릅나무과에 속하는 낙엽교목으로 학명은 Celtis sinensis이다.
속명 Celtis는 고대 라틴어 나무 이름에서 유래된 것이다.
이 속의 식물은 북반구의 온대 및 열대 지방에 걸쳐 약 70종이 기록되었는데,
우리나라에는 팽나무를 비롯하여 산팽나무, 왕팽나무, 노란팽나무
검팽나무, 폭나무, 좀풍게나무, 장수팽나무, 풍게나무 등 9종이 난다.
종명 sinensis는 '중국산'이란 뜻이다.

팽나무의 효능
높이 20m까지 크게 자라는 교목으로 줄기의 직경도 1m 정도깢 자라는데,
수피는 어두운 회색이다.
잎은 어긋나며 길이 4~12cm 정도의 넓은 난형 내지는 넓은 타원형으로
처음엔 양면에 털이 있으나 점차 사라지며 표면은 거칠다.
꽃은 연황색으로 피며 수꽃은 새 가지의 기부,
잎겨드랑이에서 취산화서로 피며 수술은 4개이다.
암꽃은 햇가지 윗부분에 1~3개씩 달리며 4개의 작은 수술과 1개의 암술이 있다.
열매는 10월에 익는데 구형의 핵과로 직경 7~8mm로 등 황색이다.
열매는 달짝지근한 과육을 먹을 수 있으며,
어린이들의 장난감인 팽총의 총알로 사용되기도 한다.

팽나무의 효능
우리나라 함경북도를 제외한 낮은 산지와 들에 자라며,
예부터 마을의 정자나무, 마을 숲, 방풍수 등으로 많이 심어왔다.
지역에 따라서는 포구나무로 불리기도 한다.
우리나라와 중국과 타이완, 일본에도 분포한다.
팽나무는 꽃이나 열매를 즐기는 나무로는 가치가 없으며,
잎이 무성하고 나무가 크게 자라므로 주로 녹음수로 이용된다.
단풍은 황색으로 물들며 아름답다.
꽃은 4~5월에 피지만 큰 나무에 비해 꽃의 크기가 작아 관상 가치는 전혀 없다.
열매는 10월에 등황색으로 익는데,
크기가 7~8mm로 갂이서 보면 나름대로 볼만하지만,
나무가 크게 자라는데다 열매는 작아 제대로 보이지 않으므로
이 또한 사실상 관상 가치는 없는 샘이다.

팽나무의 효능
추위에 강하여 우리나라 전역에서 재배가 가능하며,
양수이지만 어린 나무는 내음성이 강하여 그늘진 곳에서도잘 자란다.
성장 속도는 비교적 빠른 편이다.
번식은 전적으로 실생에 의하는데
가을에 익은 종자를 채취하여 직파하거나 노천매장 하였다가
이듬해 봄에 파종후에는 포장이 마르지 않도록 짚이나 거적 등으로 덮어 관리한다.
파종 후 관리는 일반적인 육묘 방식을 따른다.
팽나무는 병해충이 많은 편으로 흰가루병, 그을음병 등의 발생이 심하고,
또, 진딧물과 면충, 깍지벌레 등의 발생이 많으므로
적절한 살균, 살충제로 방제해야 한다.
병해충의 발생은 그늘지고 통풍이 불량한 환경과 습하고
질소 성분이 많은 토양 환경에서 특히 잘 발생하므로
이에 유의하면 피해를 줄이거나 방지할수 있다.

팽나무의 효능
팽나무는 크게 자라는 나무로,
잎이 무성하고 수형과 단풍이 좋아 녹음수로 인기가 아주 좋다.
독립수로 자랄 경우 수형은 넓은 우산형이 되며,
바닷가 처럼 바람이 강한 곳에서 자란 나무는
가지가 더욱 치밀하고 마디 사이가 짧아 더욱 아름다운 수형을 이룬다.
이런 특성상 예부터 마을의 정자나무나 마을 숲 나무로 많이 이용되어,
우리에게 무척 친숙하고 정감이 가는 나무라 하겠다.
정자나무나 마을숲나무 외에도 학교,
공원, 자연생태, 정원 등에 좋으며 공원으 가로수로도 좋다.
또한 바람에 강하여 방풍수로도 이용되는데
내조성이 있어 바닷가의 방풍수로도 좋다.
그러나 나무가 너무 크게 자라고
또 그늘진 곳에서는 병해충이 많이 발생하므로
가정 정원용으로는 그리 좋은 나무가 아니다.

팽나무(Hackberry Nettle Tree)의 효능
팽나무의 줄기 껍질을 박수피(朴樹皮)라고 하며 조경(調經), 담마진, 폐농양을 치료한다.
잎을 박수엽(朴樹葉)이라고 하며 즙액은 칠창(漆瘡)을 치료한다.
성분: 줄기 껍질에서 알카로이드(alkaloid)와
사포닌(saponin)반응이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이들 물질이 함유된 것으로 보인다.
사용법: 줄기 껍질 10g에 물 750ml넣고 달인 액을 반으로 나누어,
아침 저녁으로 복용하고, 잎은 즙을 내어 환부에 바른다.
요통의 치료: 팽나무 껍질 4~5냔, 고삼(苦蔘) 2~3냥을 달여 황주(黃酒)에 타서
홍당(紅糖)을 넣어 아침 저녁 빈속에 1회씩 복용한다.
<절강천목산약식지: 浙江天目山藥植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