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원(ONE/OES) 010-2776-9263
***김영주: ONE Ecosystem의 로드맵, 최근 공식 발표, 개발 상황, 그리고 실거래 관측 데이터 등을 바탕으로 한 해석 기반 예상입니다. 2025.07.24.목
DSP 2단계
(비회원 구매자 대상 자동 OES↔USDT 전환 기능) 도입을 위한 테스트 단계에 대한 설명입니다.
🌐 DSP 2단계: 자동 전환 기능 테스트 현황 보고
1. 테스트 개요
DSP(Digital Swap Protocol) 2단계는 비회원(guest) 구매자도 DealShaker에서 자동으로 OES를 USDT로 전환하여 결제할 수 있는 시스템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현재 다음과 같은 실험 및 검증 단계가 진행 중입니다:
2. 스왑 경로 확인
Bitget Web3 Swap 페이지를 통해, MATIC ↔ OES, OES ↔ USDT 간의 스왑 경로가 원활하게 작동하는지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있습니다.
● 유동성풀 접근성
● 스왑 슬리피지(slippage)
및 수수료 측정
● 체결 속도 및 트랜잭션 안정성
이 테스트를 통해 게스트 구매자가 직접 스왑 기능을 사용하지 않고도 자동으로 전환되는 백엔드 매커니즘이 실질적으로 동작하는지 확인합니다.
3. 가격 결정 및 고정환율 유지
DSP 2단계 기획에 명시된 1 OES = 45 USDT 고정 환율이 시스템상으로 일관되게 유지되는지 테스트 중입니다.
● 외부 유니스왑 풀의 가격 정보 반영 여부
● 거래량 변화에 따른 내부 환율 고정 유지 가능한지
● 가격 재조정 알고리즘의 안정성
4. UI/UX 동작 검증
비회원(게스트) 구매자 환경에서:
● 제품 결제 창에서 OES 금액 표시가 USDT 환산값으로 자동 전환
● "X USDT로 결제" 클릭 시 백엔드에서 OES 자동 블록체인 스왑
● 성공 여부 및 오류(예: 유동성 부족, 트랜잭션 거절 등) 발생시 오류 메시지 정상 노출
이런 전 과정을 미가용 계정(USEG/guest) 환경에서 반복 테스트하여 UX의 직관성과 신뢰도를 높입니다.
5. 스마트컨트랙트 자동화 검증
스왑과 결제 과정의 온체인 트랜잭션이 자동화 스마트컨트랙트로 처리되는지 점검합니다.
● 트랜잭션 투명성 및 추적 가능성
● 가스비 최적화
● 자동화 실패 시 롤백 및 에러 처리 메커니즘
블록 익스플로러를 통해 정확한 트랜잭션 흐름과 기록을 확인하고 있으며, 이를 사용자 친화적인 로그로 정리해 시스템 안정성을 진단 중입니다.
6. 보안 및 권한 테스트
● 비회원 계정이 별도 지갑 생성이나 권한 부여 없이 OES를 USDT로 전환할 수 있어야 함
● 이 과정에서 키 노출, 권한 남용, 중복 결제 등의 보안 취약점이 없는지 철저히 검증하고 있습니다
✅ 단기 목표 및 기대 효과
● 비회원 대상 결제 진입 장벽 제거 → 매출 상승
● 글로벌 사용자 경험 강화 (Fiat 가맹점 없이도 디지털 자산으로 접근)
● 판매자-구매자 모두의 편의성 제고 → OES 생태계 확대 기반 마련
📅 향후 일정 계획 (예상 일정 )
● 내부 테스트 : 7월 말 MATIC → OES → USDT : 스왑 흐름 전수 점검
● 선택적 제한 공개 : 8월 초 : 일부 글로벌 계정 초청 테스트
● 2단계 정식 배포 : 8월 중순이후~10월 : 모든 비회원 대상 자동 전환 기능 개시
이런 흐름으로 DSP 2단계 자동 OES→USDT 전환 기능은 곧 상용화될 예정입니다.
게스트 전환 기반 가상자산 결제는 ONE 생태계의 글로벌 확장성과 사용자 편의성을 크게 높이는 핵심 전략입니다.
📌 일정 근거 요약:
1. 📍공식 뉴스레터 및 로드맵
“2025년 7월 중 통합지갑 론칭 완료”
“2026년 초 USDT 통합 및 기준 전환”
→ 지갑 통합과 자동 스왑 기능은 사전단계로 2025년 하반기 중 구현
2. 최근 시스템 내부 공지 (일부 언론 또는 커뮤니티 채널)
“DSP 2단계 준비 완료 및 테스트 중”이라는 언급 다수 확인됨
특히 “게스트도 USDT 결제가 가능해진다”는 구조는 이미 인터페이스에 테스트 버전 적용되었음
3. 🔗 Bitget Web3 링크
현재 OES 토큰의 실제 스왑 구현이 가능하며,
이는 스마트 컨트랙트 연동 기반으로, 외부 DEX API와 연결되었음을 의미 → 기술적으로 준비가 완료된 상태이며, 사용자 인터페이스 정비만 남은 상태로 판단
4. 사용자 대상 테스트 모집 및 커뮤니티 피드백 (7월 중순 이후 다수 사례)
비회원 테스트가 “소규모로 진행 중”이라는 커뮤니티 리더 언급
이는 8월 초에 제한적 오픈 베타 테스트 가능성을 시사
📝 다시 강조
> 위 일정은 “공식 확정 발표”가 아닌, ONE Ecosystem이 지금까지 발표한 로드맵, 기술 개발 진행상황, 실제 디앱에서 확인된 기능 테스트, 그리고 관련 커뮤니티 흐름을 바탕으로 합리적 예측한 것입니다.
즉, "내부 테스트 → 제한 베타 → 전면 도입" 순의 구조는 대부분 디지털 결제 생태계가 따르는 일반적인 도입 절차이며, DSP도 이 패턴을 따르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