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화선의 심리치료적 기능에 대한 고찰 - 초기불교의 관점과 비교해서
A Study on Psychotherapeutic Functions of Ganhwa-seon - as compared with early Buddhist perspective
저 자 ; 이필원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파라미타 칼리지 교수
발행 기관 :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선학
아래의 항목을 클릭하면 관련 파일을 다운받을 수 있습니다
↓
주 제 어 : 간화선, 불안, 망상, 지혜, 번뇌, 심리치료, 초기불교.
초 록
불교는 오랜 역사만큼 다양한 수행방법을 발전시켜왔다. 불교 수행의 특징은 단순한이해의 차원이 아닌 체험의 영역으로 확대되어, 인격의 완전한 변화를 초래한다는데 있다. 따라서 불교 수행의 핵심은 수행 전과 수행 후의 인격의 ‘변화’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다양한 수행법 가운데 간화선에 주목하여, 간화선 수행 프로그램이 갖는심리치료적 기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수행이 궁극적으로 인격의 변화를 초래한다고 하면, 수행의 과정 속에서 전격적인 인격의 변화는 아니더라도 부정적인 심리상태가긍정적으로 변화되는 경험은 충분히 가능할 것이다. 특히 그 변화의 중심에는 ‘앎’이 놓여 있다고 필자는 이해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불교 수행의 특징을 ‘참된 앎’의 획득에서 찾고, 이러한 전통을 가장 잘 계승하고 있는 수행법 가운데 하나가 바로 간화선이라는 전제에서 출발한다.
다시 말해, 불교의 많은 수행법이 결국은 지혜를 계발하는 것이라고 한다면, 간화선은 그것이 극단적으로 강조된 형태라고 할 수 있다. 결국 간화선은 지혜를 계발하는 한방법이고, 이를 통해 우리를 괴롭히는 번뇌가 지멸된다는 논리적 결론에 다다르게 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논문은 간화선이 심리치료적 기능을 갖고 있다고 보았다. 사실간화선은 모든 문제의 출발을 우리의 잘못된 ‘앎’에서 찾는다고 할 수 있다. 우리가 갖는심리적 문제들 역시 많은 경우 잘못된 ‘앎’에 기인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필자는 간화선의 ‘참된 앎’을 추구하는 방식이 심리적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도 적용될 수 있다고본 것이다. 하지만 간화선이 심리치료를 목적으로 고안된 것이 아니기에, 다양한 심리적인 문제들에 적용된 예를 찾기란 쉽지 않았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심리문제 가운데, 특히 불안과 망상이라는 두 가지에집중하여 논의를 진행하였다. 그리고 본문에서는 초기불교의 경전적 근거를 제시하면서, 간화선의 특징을 설명하고자 하였다. 이는 간화선이 초기불교의 맥락을 계승하고있음을 보여주기 위함이기도 하다
목 차
I. 들어가는 말
II. 간화선의 수행방법
III. 간화선의 심리치료적 기능 - 불안과 망상을 중심으로
1. 불안
2. 망상
IV. 결론
참고문헌
1. 약호 및 원전
MN Majjhima Nikāya, ed PTS
SN Saṃyutta Nikāya, ed PTS
大慧普覺禪師書, 大正藏 47.
大慧普覺禪師法說, 大正藏 47.
大慧普覺禪師法語, 大正藏 47.
大慧普覺禪師普說, 大正藏 47.
景德傳燈錄, 大正藏 51.
2. 단행본
김보경 ․ 이상훈 ․ 한현민 ․ 안정애 ․ 최은영, 禪-행동치료, 서울: 시그마프레스, 2008.
김태완, 간화선 창시자의 禪 上, 고양 :침묵의 향기, 2011.
김태완, 간화선 창시자의 禪 下, 고양 :침묵의 향기, 2011.
아날라요, 이필원 ․ 강향숙 ․ 류현정 공역, 깨달음에 이르는 알아차림 명상 수행, 서울: 명 상상담연구원, 2014.
이영순, 우울증과 영상관법, 서울: 명상상담연구원, 2015.
안도 오사무, 인경스님 ․ 이필원 역, 심리치료와 불교, 서울: 불광출판사, 2010.
David Brazier, 김용환 ․ 박종래 ․ 한기연 공역, 선치료, 서울: 학지사, 2007. 3.
논문
김정현, 「불안의 치유와 소통의 사유」, 범한철학 제71집, 순천: 범한철학회, 2013, pp.231 -259. 간화선의 심리치료적 기능에 대한 고찰 47 - 47 -
김청자, 「불안의 심리학적 원인과 치료대책」, 교육연구 제14집, 서울: 상명대학교 중등교 육문제연구소, 1996, pp.67-95.
안희정, 「불안의 인식구조」, 인문논총 제71권 1호, 서울: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4, pp.189-216.
이성훈 ․ 김동화 외, 「망상의 신경심리학적 기전」, 수면 ․ 정신생리7(1), 서울: 대한수면의 학회, 2000, pp.60-66.
이승환 ․ 강민정 외, 「불안장애 치료에 관한 최근 임상연구 동향」,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23(2), 서울: 동의신경정신과학회, 2012, pp.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