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해박해 때 새남터에서 순교한 세 명의 성직자가 약 60년간 안장되었던 곳
서울 관악구에 있는 삼성산은 1839년 기해박해 때 새남터에서 군문효수형을 받고 순교한 세 명의 성직자인 앵베르(Imbert, 范世亨, 1796~1839, 라우렌시오) 주교를 비롯하여 모방(Maubant, 羅伯多祿, 盧, 1803-1839, 베드로) 신부와 샤스탕(Chastan, 鄭牙各伯, 1803~1839, 야고보) 신부가 순교 후 20여 일간 새남터 모래사장에 버려져 있다가 마포구 노고산을 거쳐 약 60년간 안장되었던 거룩한 곳이다.
삼성산의 유래 또한 설이 구구하다. 보통 원효, 의상, 윤필의 세 고승이 신라 문무왕 17년(677년)에 조그마한 암자를 짓고 수도에 전진하던 곳이 삼막사의 기원이며, 아울러 삼성산의 산명도 이 세 고승을 승화시켜 삼성산(三聖山)이라 칭했다는 설이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한국 천주교회사상 처음으로 이 땅에 발을 디딘 외국인 성직자인 중국인 주문모 신부가 1801년 신유박해로 순교한 후 30년만인 1831년 조선의 천주교회는 중국 북경 교구에서 독립해 '조선 교구'로 설정되었다.
이어서 1836년과 1837년 사이에 프랑스 선교사인 모방(Maubant), 샤스탕(Chastan) 신부와 앵베르(Imbert) 주교가 입국함으로써 조선의 교우들은 주문모 신부 이후 한 세대가 훨씬 지나서야 목자에 대한 갈증을 풀게 된다.
1836년 이래 조선에 들어와 활동하던 모방 신부와 제2대 조선교구장 앵베르 주교, 그리고 샤스탕 신부 등 3명의 프랑스 선교사들은 기해박해가 일어나면서 앵베르 주교가 8월 10일에, 모방 신부와 샤스탕 신부가 9월 6일에 각각 자수하여 포도청과 의금부에서 문초를 받은 후 1839년 9월 21일(음 8월 14일) 새남터에서 군문효수형을 받아 순교하였다.
순교 후 선교사들의 시체는 20여 일간 새남터 모래사장에 버려져 있었는데, 그동안 신자들은 이들의 시신을 찾기 위해 여러 차례 노력하였고 몇 명의 신자들은 체포되기까지 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박 바오로 등 몇몇 신자들은 마침내 세 순교자의 시신을 거두어 노고산(마포구 노고산동)에 안장할 수 있었다. 이로부터 4년 뒤인 1843년에 그들의 유해는 박 바오로 등에 의해 다시 발굴되어 과천 땅이던 관악산의 한 줄기인 박씨 선산에 안장되었는데, 이곳이 곧 지금의 삼성산이다.
이때 신자들은 훗날을 위해 그 이장 연도와 세 순교자의 이름을 아직 마르지 않은 회 반죽에 글을 써서 자연스럽게 마르게 했던 것으로 보인다. 1886년경에 시복 판사를 맡았던 푸아넬 신부가 이 무덤을 확인하였고 1901년 10월 21일에는 제8대 조선교구장 뮈텔(Mutel, 1854~1933, 아우구스티노) 주교가 지켜보는 가운데 유해가 발굴되어 용산 예수성심신학교로 옮겨졌으며, 같은 해 11월 2일에는 다시 명동 성당 지하 묘지로 옮겨지게 되었다.
명동 대성당 묘역 안에 남아 있던 성인 유해 일부를 다시 삼성산으로 가져와 무덤 안에 안치하였다. 이들 3명은 1857년에 모두 가경자로 선포된 데 이어 1925년에는 복자품에 올랐으며, 1984년 5월 6일 시성되었다.
묵상 외국인 선교사들이 그 당시 우리나라에 올 때는 죽음을 각오해야만 했다. 이제 우리도 복음 전파를 위해 할 일이 무엇인지 묵상하자.
+
▲♡ 위 사진과 글 모두 ‘한국의 성지와 사적지'에서 옮겨 온 내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