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기술의 평준화로 이젠 TV의 성능은, HDMI 성능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즉, TV들이 HDMI 2.1 성능(120Hz)에 맞추어 TV를 출시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부분은 모니터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다만, 모니터는 HDMI를 비롯하여, DisplayPort(DP), 최근엔 USB-C(USB4)까지 내장하고 있어, HDMI 2.1의 성능(전송량)을 넘고 있어, 이들 인터페이스(I/F)의 특성을 제대로 아는 것은, AV를 좀 더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해서 이들 인터페이스(HDMI-DisplayPort-USB-C)에 대해 10회에 걸쳐 짚어 보려고 한다. 다소 전문적인 부분이 많지만, AV를 좀 더 깊게 이해할 수 있기에, 전문적인 부분을 최대한 풀어서 이해가 되도록 설명해 보려고 한다. 설명 내용에 대한 의문이 있으면, 꼬리말을 남겨주시기 바라며, 설명에 오류나 오기, 오타가 있이도 지적해 주셨으면 한다.
제목 : AV용 인터페이스(HDMI-DisplayPort-USB-C) →연재 기간 : 2023년 12월 6일~27일 순차적으로 연재
<연재 순서> 1.'HDMI-DisplayPort-USB-C' 규격 ①HDMI 2.1 ②DisplayPort 1.4/2.1 ③USB-C →USB 3.2/USB4 v1.0/v2.0, Thunderbolt 3/4/5
2.총 전송량과 실 데이터 전송량 & 인코딩 방식(코딩체계)에 따른 전송효율 차이 →총 전송량(Max. transmission bit rate) →실 데이터 전송량(Max. data rate) →인코딩 방식(Encoding scheme) 과 FEC 데이터 ①8b/10b-HDMI 1.0~2.0(TMDS)/DisplayPort 1.0~1.4 ②16b/18b-HDMI 2.1 ③128b/132b-DisplayPort 2.1 ④FEC(Forward Error Correction/순방향 오류 정정) 데이터
3.실제 해상도(Active Resolution)와 허수 해상도(Blank Resolution) & 주사율(Video Timing Format & 주사율)
4.색 구현과 전송 ①'화소-컬러비트'에 대한 이해 ②컬러비트에 따른 컬러 구현 수와 컬러 구현 단계
5.색상 형식및 기준 ①RGB ②YCbCr(크로마 서브샘플링/Chroma subsampling) 4:4:4/4:2:2/4:2:0
6.HD-4K-8K 영상을 HDMI로 전송하기 위해 필요한 전송량은? (HDMI-DisplayPort 전송량 계산 공식)
7.압축전송(DSC) & USB-C를 통한 Display 대체모드(DP Alt Mode) ①압축전송(DSC/Display Stream Compression) ②USB-C를 통한 Display 대체모드(Alternate Mode/Alt Mode) →Display용 USB-C란? →HDMI Alt Mode →DisplayPort(DP) 1.4/2.1 Alt Mode
8.'HDMI 2.1-DP 2.1-USB-C(USB4)'에 대한 문제와 과제 ①'HDMI 2.1-DP 2.1-USB-C(USB4)'에 대한 문제 → HDMI 2.1 기능에 대하여... ②'HDMI 2.1-DP 2.1-USB-C(USB4)'를 넘어서는 통합된 차기 인터페이스 →240/231Gbps까지 전송이 가능한 새로운 차세대 '인터페이스'
9.별첨1>'HDMI Forum' 제시→'해상도-주사율-컬러비트-샘플링'에 따른 HDMI 전송량
10.별첨2>'운영자' 실 계산→'해상도-주사율-컬러비트-샘플링'에 따른 HDMI-DP 실 데이터 전송량
|
첫댓글 바쁜 와중에도 좋은 AV 관련 지식 글 올려 주신다니 고맙고
기대됩니다.
정말 기대됩니다. 감사합니다.
기대하며 열심히 읽어보겠습니다.
수고에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