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댓글서양식 싸움에서는 등을 보이는 사람에게 총을 쏘거나 폭력을 행사하는 것은 정의롭지 못한 비겁한 행동으로 평가하지요. 상대가 '등을 보인다'는 것의 문학적 표현을 보면, 떠나는 사람의 등은 애타게 보인다거나 뒷모습은 그 사람의 진실을 보여주는 것이기에 순수하다고 좋은 의미를 부여합니다. 또한, 등은 거짓이 없다고 합니다. 구지 미워할 것은 이기적인 욕심과 교만 그리고 불필요한 질투 등일 것입니다. 가만히 있는 사람에게 거짓으로 말을 만들어 그 사람의 일생을 파괴하는 행위는 반드시 지탄을 받아 마땅 할 것입니다. 우리는 좀더 솔직해지고 많은 용서와 이해가 습관화되어야 스스로 마음 편한 삶을 유지할 수 있을 것입니다. 공자도 내가 직접 본것도 다 진실이 아닐 수 있다면서 부정적 미움을 경계하라고 하셨습니다. 긍정적이고 좋은 말들이 차고 넘치는데 구지 그런 부정적이고 남을 해치는 말들을 하면서 살 필요가 있을까요? 고마워요.
첫댓글 서양식 싸움에서는 등을 보이는 사람에게 총을 쏘거나 폭력을 행사하는 것은 정의롭지 못한 비겁한 행동으로 평가하지요. 상대가 '등을 보인다'는 것의 문학적 표현을 보면, 떠나는 사람의 등은 애타게 보인다거나 뒷모습은 그 사람의 진실을 보여주는 것이기에 순수하다고 좋은 의미를 부여합니다. 또한, 등은 거짓이 없다고 합니다. 구지 미워할 것은 이기적인 욕심과 교만 그리고 불필요한 질투 등일 것입니다. 가만히 있는 사람에게 거짓으로 말을 만들어 그 사람의 일생을 파괴하는 행위는 반드시 지탄을 받아 마땅 할 것입니다. 우리는 좀더 솔직해지고 많은 용서와 이해가 습관화되어야 스스로 마음 편한 삶을 유지할 수 있을 것입니다. 공자도 내가 직접 본것도 다 진실이 아닐 수 있다면서 부정적 미움을 경계하라고 하셨습니다. 긍정적이고 좋은 말들이 차고 넘치는데 구지 그런 부정적이고 남을 해치는 말들을 하면서 살 필요가 있을까요? 고마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