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글 본문내용
|
다음검색
|
김포 땅 개발업체, 천당ㆍ지옥 갈림길 속사정 |
2020년 도시기본계획상 사업추진일정 조정때문 |
당초 김포시는 급증하는 각종 개발용지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40.324㎢를 신규 개발가능지(시가화 예정용지)로 지정해 달라고 경기도 신청했다. 또 이에 따른 2020년 김포시 인구를 72만명으로 계획했다. 그러나 경기도는 ‘수도권 인구 배분계획상 불가하다’며 김포시 인구를 신청수준(72만명)보다 13만명이 줄어든 59만명으로 축소 조정했다. 이에 따라 시가화 예정용지도 당초(40.324㎢)보다 대폭 줄어든 27.598㎢로 확정됐다. 신규 시가화 예정용지가 대폭 줄어들면서 김포시에서 도시개발사업을 추진하던 각 시행업체들 간 희비가 엇갈리고 있다. 신규 시가화예정지에서 제외된 업체 '울상' 사업부지가 아파트 등 주택건설이 가능한 신규 시가화 예정지역에 편입된 시행업업체에는 ‘웃음꽃’이 폈지만 여기서 제외된 업체는 ‘울상’이다. 김포시 감정동 492 일대 16만㎡서 도시개발사업을 추진 중이던 J개발은 요즘 초상집 분위기다. 2000가구 규모의 주거단지 개발을 위해 주민동의 등의 절차를 밟고 있었으나 이번 개발 가능지 지정 대상서 제외돼 사업추진이 사실상 불가능해졌기 때문이다. 경기도는 ‘우저서원 등 문화재가 가깝고, 도로 건설에 문제가 있다’며 감정동 492 일대 16만㎡에 대한 시가화 예정용지 지정을 보류했다. 도시개발사업 대부분 사업 연기돼 '시끌벅적' 지구단위계획이 수립됐지만 인허가 우선 순위에서 밀린 도시개발사업 시행업체들에도 비상이 걸렸다. 대부분 4∼5년 후에나 사업이 가능하도록 도시기본계획이 짜여지면서 사업 추진에 어려움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당초 김포시는 시 전체 개발사업에 대해 1∼4단계로 사업시기를 나눠 개발하는 것을 내용으로 도시기본계획안을 수립, 경기도에 승인을 요청했다. 인구 배분계획의 편의상 지역 전체 개발사업의 사업시기를 1단계(2000∼2005년), 2단계(2006∼2010년), 3단계(2011∼2015년), 4단계(2016∼2020년)로 구분해 도시기본계획을 수립한 것이다. 이 가운데 김포시는 민간업체가 도시개발사업을 추진 중인 12개 구역의 사업계획을 대부분 2단계로 수립해 경기도 승인을 신청했다. 하지만 2020년 김포시 인구계획이 경기도 승인과정에서 59만명으로 축소되면서 당초 김포시가 2단계로 신청했던 도시개발구역의 사업시기가 대부분 3단계 이후로 늦춰졌다. 때문에 2단계를 목표로 사업을 추진하던 각 도시개발사업 추진업체의 사업연기는 불가피할 전망이다. 현대건설 향산지구 개발사업 차질 예상 김포시에 따르면 현재 김포시에서 도시개발사업을 추진 중인 12개 구역 중 사전 사업 제안서를 제출한 곳은 향산지구·풍무2지구·감정1지구·풍무5지구 등 4개 구역이다. 이들 구역은 사업 진척 속도가 빨라 내년 말 아파트 분양도 가능한 것으로 예상됐었다. 하지만 이 중 향산지구·풍무2지구의 사업시기가 2단계에서 3단계로 연기돼 분양일정에 차질이 예상된다. 현대건설이 내년 하반기께 분양할 예정이던 향산지구(고촌면 향산리 83번지 일대 40만㎡)의 분양일정은 2011년 이후로 연기될 가능성이 크다. 현대건설은 당초 2008년 말 이곳에서 112∼191㎡ 규모의 아파트 등 주택 3400여 가구를 공급한다는 계획이었다. 이를 위해 부지매입 등의 절차를 모두 끝낸 상태다. 한독건설이 풍무동 284-8번지 일대 69만㎡에서 추진 중인 풍무2지구 개발사업도 차질을 빚을 전망이다. 이번에 확정된 ‘2020년 김포 도시기본계획’에서 일부 부지의 사업시기가 3단계로 결정됐기 때문이다. 한독건설 김포사업소 관계자는 “사업 제안서에 대해 반려 받은지 얼마 되지 않아 2단계 배정을 받은 부지를 먼저 개발할지, 사업 자체를 2011년 이후로 연기할지 아직 결정하지 못한 상태”라고 말했다. 김포시 도시계획과 김영훈 팀장은 “도시개발사업 사전 검토 요청을 받은 4곳 중 감정1지구와 풍무5지구는 2단계로 결정돼 내년 분양도 가능하다”고 말했다. 개발사업 불가능한 곳도 나올 수도 김포시에서 도시개발사업을 추진 중인 12개 구역 중 대부분의 사업시기가 2011년 이후로 연기되면서 김포시 민간업체의 주택공급은 당분간 위축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도시개발사업을 추진하던 업체들의 불만이 높다. 사업지연으로 금융비용 등 막대한 추가비용을 고스란히 떠 안아야 하기 때문이다. 일부 업체는 금융 비용 등의 부담을 감안해 사업 추진 여부를 신중히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양촌면 일대 150만㎡에서 도시개발사업을 추진 중인 일레븐건설의 한 관계자는 “4년 이상의 사업지연이 예상돼 사업성 검토를 다시 하고 있다”고 말했다. 다산서비스 이종창 대표는 “도시개발사업을 추진할 수 있는 지구단위계획은 3년이 경과하면 자동으로 효력을 상실하는 시한제 허가 대상”이라며 “때문에 도시개발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지구단위계획을 수립했지만 사업시기가 3단계로 연기된 곳은 사업 자체가 불가능해질 수 있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c)중앙일보조인스랜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첫댓글 정보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