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계원리 재고자산 부분에서 원가흐름의 가정이란게 있는데
: 원가흐름의 가정에는
: 개별법
: 선입선출법
: 후입선출법
: 평균법(이동평균법, 총평균법)
: 이렇게 네가지가 있답니다. 여기서 개별법은 제외하고 나머지 것들을 봣을때..
:
: 일반적으로 인플레이션하에서는 기말재고수량이 기초재고수량보다 같거나 증가하는 한
: 기말재고금액의 크기는
: 선입선출법>이동평균법>총평균법>후입선출법 순이고
: 매출원가는 반대이다..
:
: 따라서 선입선출법이 가장많은 순이익을 보고하는 방법이고
: 후입선출법이 가장 작은 순이익을 보고하는 방법이라고
: 하는데 도무지 무슨말인지.???(송상엽 회계원리 210쪽)
:
:
기초재고자산+당기매입액-기말재고자산=매출원가
인것은 아시죠?
선입선출법의 경우 기말재고자산은
먼저들어온것이 먼저 나가니까,
나중에 구입한 자산이 기말재고로 남아있겠지요.
물가가 상승하고 있으므로 기말재고자산이 크게 기록되겠지요.
위식에 기말재고자산을 대입하면 기말재고자산이 크다는 것은
매출원가가 작다는 것을 의미하지요.
매출총이익은 매출액에서 매출원가를 뺀 금액이니까...
매출원가가 적게 나온다는 것은 순이익이 크게 보고되는것을 의미하지요.
물론 선입선출법은 그 반대입니다.
참고로
후입선출법은 LIFO,
총평균법은 WAM,
이동평균법은 MAM (move가 이동하다져?)
선입선출법은 FIFO,
이라고 쓰지요.
물가상승시 점점 갈수록 순이익이 크게 나타납니다.
: 다른질문??
: 서울상사가 당기에 시용판매를 하기 위하여 거래처에 발송한 시송품은 2.600.000(매가) 이고 이중 12월 31일 현재
: 거래처에서 매입한다는 통지를 한 것은 1.820.000(매가)이며, 시용판매가격은 원가의 3할증이다....
:
: 여게서 원가의 3할증이란 말이 뭐예요??
:
야구선수가 10번 타석에 서서 3번 안타를 치면 3할타자라고 하쟎아요?
1할은 10%를 의미합니다.
증은 더하다는 뜻이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