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띠수업33 터 닦을 선, 염불수행
기본명상이 기본이라고 생각했습니다. 굳게 믿었습니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을 지도해 본 결과, 사띠명상의 5가지 기본은 기본이 아니라고 결론 내렸습니다. 많은 분들이 어려워 하시더군요. 많은 분들이 원리를 배우고 싶어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그보다는 단순한 수행법을 원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최근 주목하고 있는 전통이 있습니다.
'터 닦을 선'
간화선을 할 때 사띠의 중심점은 화두입니다. 화두 외의 모든 정신작용은 전부 방해물입니다. 그렇기에 마음의 일은 단순합니다. 첫째, 화두에 중심을 둔다. 둘째, 방해물에 사로잡히면 화두로 되돌아온다. 이것이 끝입니다. 물론 이 속에 촉매 역할을 하는 의심과 신심이라는 정신 작용이 있습니다. 하지만 마음의 일의 원리는 여기에서 벗어나지 않습니다. 이를 잘 보여주는 제자와 스승의 유명한 문답이 있습니다.
제자가 묻습니다.
"스님 요즘 화두가 잘 안 들리고 망상만 생깁니다. 어떻게 해야 할까요?"
"화두를 들어라."
제자는 알겠다고 대답하고 또 수행을 했습니다. 한 동안 시간이 지나도 여전히 번뇌만 생겼기에 다시 묻습니다.
"스님 화두를 들어도 계속 망상만 생깁니다. 어떻게 해야 할까요?"
"화두를 들어라."
이런 대화는 여러 번 반복되었습니다. 어떤가요? 답답한가요? 하지만 원리는 이것이 전부입니다. 망상이라는 방해물이 생기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망상과 씨름해야 하나요? 아니면 사띠를 중심점이 되는 화두로 옮겨와야 하나요? 이것이 화두를 들라는 해결책입니다. 사띠를 옮기면 망상은 해결되지 시작합니다. 망상에 사띠를 둔 채 씨름하는 다른 방법은 없습니다.
간화선 수행은 난이도가 높습니다. 일단 화두에 사띠를 둔다는 것 자체가 추상적이죠. 중심점이 호흡이나 아랫배, 발바닥이나 염주를 돌리는 촉감 등에 사띠를 두는 것은 그 중심점이 명료하기에 쉽게 잡힙니다. 하지만 화두는 쉽지 않죠. 그래서 간화선 수행에 성과가 잘 나지 않는 제자들을 위해 선사들은 '터 닦을 선'을 제시하는 전통이 있습니다. 이 터 닦을 선의 대표가 바로 염불수행입니다.
사띠 수행 기본명상을 훈련하시는 분들 모두가 염불수행을 통해 터를 닦기를 권장합니다. 언급하는 염불수행 방법은 단순합니다. 염주를 지니고 다니며, 사띠의 중심점을 염주의 촉감에 둡니다. 더불어 염주의 촉감을 느끼며 염주알을 돌릴 때 '나무아미타불' 칭명염불을 하는 것입니다. 명백하고 쉬운 수행입니다.
사띠 수행자에게 경험되는 존재는 중심점 아니면 방해물로 경험됩니다. 염주를 돌리며 염불하는 것이 중심점이라면 나머지 모든 경험은 방해물입니다. 이것이 기본 모드입니다. 물론 염주를 두고 전념해야 하는 경험이 있다면 중심점이 변화합니다. 하지만 공 입에 염불하듯, 염불수행을 하는 이의 기본적 중심점은 염불입니다. 그럼 이제 해야 할 일은 단순합니다.
'염주를 돌리며 염불한다. 이외의 경험은 모두 아미타불에게 공양한다.'
나무아미타불 염불을 하면 무량광불에 대한 감각이 생깁니다. 사띠 그 자체가 광명입니다. 그리고 광명은 번뇌와 망상의 무명을 모두 녹여냅니다. 그래서 아미타불에게 방해물을 공양올리기를 권장하는 것입니다. 내가 소화하지 못하고 사로잡히는 번뇌를 무량광불의 용광로에 던지세요. 다시 사로잡히면? 또 벗어나며 공양 올리세요. 계속 기승을 부리면? 잠잠해질 때까지 계속 염불하는 힘으로 마음챙김을 하세요. 이 터 닦는 염불수행에 능숙해지면 자연스럽게 사띠를 두는 것과 떼는 것 그리고 마음을 정돈하는 훈련이 됩니다. 그럼 사띠를 활용하는 대다수의 수행이 조금 더 쉬워질 것입니다.
사띠 수행의 기본명상은 하루 15분 한 타임만 하셔도 좋습니다. 나머지 시간에 정행염불과 잡행염불로 사띠의 터를 닦으시기를 권선합니다. 염주 가지고 다니시고, 계속 염불해보세요. 숫자 제한 없이, 시간 제한도 없이, 하고 싶을 때 그냥 계속하는 것입니다. 무의식이 바뀔 때까지 계속하면 삶이 극락이 되고, 죽음 이후 왕생이 확정될 것입니다. 염불하시고 염불하세요!
붓다스쿨 입학 신청하기 https://www.buddhaschool.co.kr/register
첫댓글 붓다스쿨에서 함께 공부하는 분들을 위해 배려하시는 스님의 가르침에 마음에 감사드립니다 ~ 감사합니다 스님
염주를 고이 모셔만 놨는데, 이제 한 몸처럼 지니고 다녀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_()_
감사합니다 스님 _()()()_
감사합니다_()_
사띠명상 5가지 기본원리도 즐겁고, 염불수행도 기대됩니다. 감사합니다_()_
네.스님_()_
감사합니다.스님_()()()_
예. 스님 _()_ 염주 항상 지니고 다니면서 촉감을 느끼면서 염불하도록 하겠습니다. _()_
마침 선물 받은 알이 작은 염주가 있었는데, 팔찌로 하고 다니면서 '나무아미타불' 염불수행하겠습니다. 감사드립니다.
네 스님~ 감사합니다. _()_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