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구려 왕 계보도 1
해모수═╤═유화부인(하백의 딸)
│
소서노═╤═ 1.추모(bc37~19)═╤═예씨부인
│ │
┌┴┐ 2.유리명왕(bc19~ad18)═╤═송양왕의 딸
비류 온조 │
┌─┬─────┬────┬────┼─────┐
도절 해명 3.대무신왕(무휼) 여진 4.민중왕(해색주) 재사═╤═부여태후
(ad 19~ 44) (44~48) │
갈사국왕녀═╣ ╠═ 원비 ┌──────┼─────┐
호동 5.모본왕(? ? ? ). 6.태조왕(궁) 7.차대왕(수성) 8.신대왕(백고)
(49~53) (54~146) (146~165) (165 ~ 179) │
┌┴┐ │ │
막덕 막근 추안 ㅣ
┌────────┬───────────┬─────────────┴─┐
9.고국천왕(이이모) 발기 ╔═10.산상왕(연우)═╤═후녀(주통부인) 계수
(179~197)║ ║ (197~227) │
╚ 우씨왕후(우소의 딸)═══╝ 11.동천왕(교체)(227~248)
┌────────────────────┼──┐
관나부인(장발미녀)══12.중천왕(연불)(248~270) ═╤═연씨왕후 예물 사구
│
┌───────┬──────────────┴───┬──┬──┬─┐
(??) 13.서천왕(약로)(270~292) ═╤═우씨왕후(우수의 딸) 달가 일우 소발 공주(?)══명림홀도
┌─────────┴──────┐ (부마도위)
14.봉상왕(상부)(292~300) 돌고
┌┴┐ │
(?) (?) 15.미천왕(을불)(301~331)
├───────────┐
16.고국원왕(사유)(331~371) 무
┌────────┴────┐
7.소수림왕(구부)(371~384) 18.고국양왕(이연)(384~391)
│
19.광개토대왕(담덕)(391~412)
│
20.장수왕(거련)(413~491)
├──────┐
조다 승천
│
21. 문자왕(나운)(491~519)
┌──────────────────┴─────┐
22.안장왕(흥안)(519~531)══한씨미녀 23.안원왕(보연)(531~545)
│
24.양원왕(평성)(545~559)
│
25.평원왕(양성)(559~590)
┌──────────┬────────┬───┐
26.영양왕(원)(590~618) 27.영류왕(건무)(618~642) 태양 평강공주═온달(부마도위)
│ │
환권 28.보장왕(보장)(642~668)
┌──┬──┼──┬──┐
복남 임무 덕남 덕무 안승
* ═ 부부관계
* 왕족인 고추가(古鄒加) 재사(再思)는 2대 유리왕의 아들이자,6대 태조왕의 생부입니다.
* 왕족인 고추가(古鄒加) 돌고(固, ?~293)는 13대 서천왕의 차남으로 형인 14대 봉상왕에
의해 죽음을 당합니다.15대 미천왕의 생부입니다.
* 장수왕의 아들인 조다(助多)는 생부인 20대 장수왕이 413~491년 오래 재위하는 바람
에 왕위에 오르지 못하고 먼저 죽었습니다. 하지만 그의 아들이 21대 문자왕(文咨王/?
~519)으로 즉위하였습니다.
신라왕 계보
박씨 왕조
석씨 왕조
박씨 왕조
석씨 왕조
김씨 왕조
석씨 왕조
김씨 왕조
김씨 왕조
김씨 왕조
박씨 왕조
김씨 왕조
1대 |
온조왕 (BC18~AD29)
|
고구려 동명왕의 셋째아들. 위례성에 나라를 정하고 나라이름을 백제라함. BC 5년에 서울을 한산으로 옮김. AD8년 마한을 병합함. |
2대
|
다루왕(28~77)
|
온조왕의 아들. 말갈족을 격퇴하고, 농사를 장려하여 백성 생활을 안정 시켰음. 37년 후한의 낙랑군을 멸망시킴 |
3대 |
기루왕(77~128) |
다루왕의 맏아들. '삼국사기'의 기루왕 치세에 대한 내용에는 천문이변, 지진, 큰 가뭄, 태풍, 기상이변 등에 대한 간략한 기록이 대부분이다 |
4대 |
개루왕(128~166) |
기루왕의 아들. 132년에 북한산성을 쌓음 |
5대 |
초고왕(166~214) |
개루왕의 맏아들로 소고왕이라고도 불렸다. 신라를 여러번 침공하고, 210년에 적현성, 사도성을 축조함. |
6대 |
구수왕(214~234) |
초고왕의 맏아들. 132년에 북한산성을 쌓음 |
7대 |
사반왕(234) |
구수왕의 아들. 나이가 어려 바로 폐위됨 |
8대 |
고이왕(234~286) |
초고왕의 동생. 관제를 제정하고 중앙집권체제를 강화하여 국가의 기초를 확립함 |
9대 |
책계왕(286~298) |
고이왕의 아들 |
10대 |
분서왕(298~304) |
책계왕의 아들 낙랑군의 서현을 점령하여 영토를 확장하였으나 낙랑군의 자객에게 살해당함 |
11대 |
비류왕(304~346) |
구수왕의 둘째 아들. 민간의 형편을 잘 알아 선정을 베품 |
12대
|
설왕(344~346)
|
분서왕의 맏아들 |
13대 |
근초고왕(346~375) |
비류왕의 아들 369년에 마한과 대방을 병합함 고구려 평양성을 점령하고 고국원왕을 전사 시킴 아직기, 왕인을 일본에 보내어 한문을 전파하고 박사 고흥에게 백제의 국사 '서기'를 쓰게함 |
14대 |
근수구왕(375~384) |
근초고왕의 맏아들 일본과 국교를 맺어 문물을 보급시키는데 공이 많음 |
15대
|
침류왕(384~385)
|
근구수왕이 아들 불법을 시행하고 한산에 절을 창건함 |
16대
|
진사왕(385~392)
|
침류왕의 동생 광개토대왕에게 한강 이북을 빼앗기자 이를 찾기위해 출정하다가 병사함 |
17대
|
아신왕(392~405)
|
침류왕의 아들 고구려와의 전쟁에서 모두 패함. 일본과 화친하여 태자를 볼모로 보냄 |
18대
|
전지왕(405~420)
|
아신왕의 아들 |
19대
|
구이신왕(420~427)
|
전지왕의 맏아들 |
20대
|
비유왕(427∼454)
|
구이신왕의 아들 송나라와 왕래하고 신라와 화친함 |
21대
|
개로왕(455~475)
|
비유왕의 맏아들 고구려 장수왕의 습격을 받아 피살됨 |
22대
|
문주왕(475~477)
|
개로왕의 아들 서울을 웅진(공주)으로 옮기고 국방에 힘씀 |
23대
|
삼근왕(477~479)
|
문주왕의 맏아들 |
24대
|
동성왕(479~501)
|
삼근왕의 동생 신라와 혼인동맹을 맺고 신라와 연합하여 고구려와 싸움 |
25대
|
무령왕(501~523)
|
동성왕의 둘째아들 민생을 안정시키고 국력을 신장하여 국제적 지위를 강화함 |
26대
|
성왕(523~554)
|
무령왕의 아들 도읍지를 웅진(공주)에서 사비(부여)로 옮기고 국호를 남부여라고 함 |
27대
|
위덕왕(554~598)
|
성왕의 아들 고구려의 침공을 막고 중국과 외교관계를 수립함 |
28대
|
혜왕(598~599)
|
위덕왕의 아들 |
29대
|
법왕(599~600)
|
혜공왕의 아들 불교를 숭상하고 살생을 금함 |
30대
|
무왕(600~641)
|
수나라, 당나라와 화친하고 일본에 서적과 불교를 전파함 |
31대
|
의자왕(641~660)
|
무왕의 맏아들. 백제의 마지막 임금 642년에 신라를 공격하여 많은 영토을 얻었으나 사치와 방탕으로 나당연합군에게 패하여 당나라에 압송되어 병사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