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댓글지금은 이런 말을 사용하는 사람이 거의 없지만 70-80 시대에는 발전하는 시대에 따라가지 못하는 사람들의 호소를' 염세주의자'라고 비판하던 때가 있었지요. 인간의 삶 자체를 허망한 꿈으로 보는 부정적 의미를 내포한 허무주의자로 대표적인 사람이 쇼팬하우어이지요. 우리가 잘 아는 '사람은 아는대로 보고 본대로 느낀다'는 말이 있습니다. 그 사람의 지식이나 지혜가 부정적인 면에 비중을 두고 있다면 보이는 것들에서 부정적인 면이 더 확대해 보일 것이고 그러면 느끼는 것도 부정적일 수 밖에 없겠지요. 위의 글 중에 '개똥같은 희망 하나 가슴에 품고...' 라는 내뱉듯이 한 말이 여기에 해당한다고 생각해요. 희망이라는 긍정적인 단어에 개똥이라는 부정적 의미를 부여한는 것은 허무주의적 사고이지만 현실에서의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반어법으로 사용했을 것으로 이해하려고 합니다. 고마워요.
첫댓글 지금은 이런 말을 사용하는 사람이 거의 없지만 70-80 시대에는 발전하는 시대에 따라가지 못하는 사람들의 호소를' 염세주의자'라고 비판하던 때가 있었지요. 인간의 삶 자체를 허망한 꿈으로 보는 부정적 의미를 내포한 허무주의자로 대표적인 사람이 쇼팬하우어이지요. 우리가 잘 아는 '사람은 아는대로 보고 본대로 느낀다'는 말이 있습니다. 그 사람의 지식이나 지혜가 부정적인 면에 비중을 두고 있다면 보이는 것들에서 부정적인 면이 더 확대해 보일 것이고 그러면 느끼는 것도 부정적일 수 밖에 없겠지요. 위의 글 중에 '개똥같은 희망 하나 가슴에 품고...' 라는 내뱉듯이 한 말이 여기에 해당한다고 생각해요. 희망이라는 긍정적인 단어에 개똥이라는 부정적 의미를 부여한는 것은 허무주의적 사고이지만 현실에서의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반어법으로 사용했을 것으로 이해하려고 합니다. 고마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