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11. 23. 네이버 카페 오두막 지기.
2023년~2024년, 우주 및 생사, 시공의 이치 등 보다 가치있는 삶부터 맑고 밝은 세상, 더불어 고르게 잘 사는 사회까지 271개의 과제 수행 흔적. 특히, 후자와 관련하여 지나치게 늦어지고 있는 우리나라 주식 시장 및 부동산 시장 대세 상승과 관련하여 무기력, 무능력한 정부, 기업 등 경제 주체에 경각심과 분발을 촉구 함.
게으른 네이버 단칸 모옥 청소부 A-2.
2023. 11. 07.
경이롭고 아름다운 세상, 자유롭고 평온한 인생. 이를 위한 우주, 시공 및 생사의 이치에 관한 피상적이고 단편적인 이야기 중 우리 모두의 인생 과제인 생사의 이치 중 죽음 1-4,
생명, 인간의 존엄과 가치.. 특히, 생사, 시공의 이치를 깊이 자각하고 있는 더욱 존엄하고 존귀한 모든 생명, 독립된 인격체의 유지와 존속은 인류가 멸종하기 전까지 남녀노소, 빈부귀천을 막론하고 모든 인간의 근원적 존재 이유이자 목적 그 자체다.
그 존재 이유와 목적을 실현하는 수단 중 하나가 제대로 된 국가, 사회를 구성하는 것이다. 선사시대를 포함해 지금까지 인류의 생명을 가장 많이 박탈했던 천연두, 코로나, 에볼라 등의 바이러스와 콜레라, 탄저, 장티푸스, 결핵, 폐렴 등의 질병은 선사 이전은 물론 유사 이래 인간의 생명을 가장 많이 박탈했었다.
지금이야 인류의 진보된 의료 지식, 과학으로 각종 질병에 의한 인간 생명의 파괴를 현저히 감소시켰지만, 20세기 미국이 진원지이지만 언론의 자유 보장으로 오명을 뒤집어쓴 스페인 독감으로 인한 사망자 수는 1차 대전의 사망자 수를 훨씬 초과했었다. 물론, 작금의 코로나19로 인한 수백 수천만 명의 죽음도 적은 수는 아니지만..
이는 우리 모두가 다른 모든 생명체에 무한 겸손해야 할 이유 중 하나이기도 하다. 2023년 11월 3일에 모니터링한 네이버 뉴스... 죽음은 또 다른 시작.. 스위스 연구진이 큰물벼룩(Daphnia magna)을 대상으로 실험에서 물벼룩은 ‘숙주 죽음’도 인지하고 있었다.
즉, 살아 있는 동안에는 숙주가 포만감을 느끼든, 배고픔에 시달리든 장내미생물 다양성에서 별다른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숙주가 생을 다하자 두 물벼룩 모두에서 장내미생물 다양성이 줄어들기 시작했다.
번성하는 미생물이 있는가 하면, 반대로 쇠퇴하는 구성원도 있었다. 숙주와 절대적 공생 관계에 있던 미생물은 숙주 사후 직후 급감했고, 조건부 공생을 하던 미생물은 숙주가 죽기 직전부터 늘어나기 시작했다.
2023년 11월 07일에 모니터링된 자료.
2023년 11월 07일 부동산 단신 4.
“한 달 사이 전세 보증금 1억 넘게 오른 단지 잇따라”...서울 송파구 잠실동 잠실엘스(전용면적 84㎡)는 지난달 27일 12억원에 전세 계약이 체결됐다. 지난 1월 8억3000만원과 비교하면 4억원 상승했다. 또 성동구 금호동4가 힐스테이트서울숲리버(전용면적 59㎡)도 지난달 18일 7억7000만원에 전세 계약이 체결돼 종전 거래보다 1억원 올랐다. 동작구 흑석동 아크로리버하임 전용 84㎡ 전세도 올해 초 6억원에서 이달 12억원으로 상승했다.
서울 동대문구 용두동 ‘래미안 엘리니티’ 전용 84㎡는 평당 4200만원,14억2000만원에 거래됐다. ‘이문아이파크자이’ 전용 84㎡ 분양가는 휘경동 ‘휘경자이 디센시아(2930만원)’보다 20% 넘게 오른 11억9000만원이다. 동대문구 전농동 ‘청량리역 롯데캐슬 SKY-L65′의 국평 분양권의 가격도 지난 7월 15억5956만원에 거래됐다.
서울시 강동구 둔촌동 올림픽파크포레온(둔촌주공)의 상가가 분양을 앞두고 흥행 가능성이 주목받고 있다. 인근 가락시영주택재건축 헬리오시티는 입주 5년차를 맞이했지만 높은 공실률에 시달리고 있다. 한편, 대우건설은 올해 도시정비사업 분야에서 ▲신정4구역 재건축 ▲구로보광아파트 재건축 ▲청주사모2구역 재개발 등 총 3개 프로젝트의 시공권을 획득했고, 여의도 공작아파트 재건축사업에도 단독 입찰한다.
11월 서울 강남서 강남구 개포 주공1단지 재건축 디에이치퍼스티어아이파크가 입주한다. 최근 서초구 래미안원베일리(2990세대, 2023년8월 입주) 입주에 일시적인 전세가격 하락 이후 다시 원래 가격을 회복한 모습이다. 인근 ‘개포래미안포레스트’ 전용 84㎡는 올해 초 전세가격이 9억~10억대에 형성됐으나, 지난달에는 12억~13억원대에 거래됐다. ‘래미안블레스티지’ 전용 84㎡ 역시 10억~11억원 하던 전셋값이 12억원대로 올랐다.
래미안원베일리 전용 84㎡ 전세는 6월12억원에서 이달 14억원에 계약이 체결됐다. 인근 아크로리퍼바크 같은 평형도 지난 7월 13억원대에 거래됐으나, 이달에는 18억원으로 올랐다. 부산 연제구 '레이카운티(4470세대)'. 경기 안양시 '평촌센텀퍼스트(2886세대)', 인천 미추홀구 '용현자이크레스트(2277세대)' 등도 입주한다.
귀해진 분양가상한제 물량...인천 서구 검단신도시 롯데캐슬 넥스티엘는 1순위 평균 경쟁률이 111.5대 1이었고, 전북 전주시 에코시티 한양수자인 디에스틴(85.4대 1), 경기 평택시 호반써밋 고덕신도시3차(82.3대1) 등도 1순위 경쟁이 치열했다. 연말 분양 예정인 분양가상한제 단지는 충청남도 아산시 ‘탕정 푸르지오 리버파크’, 경기도 화성시 동탄2신도시 '동탄신도시 금강펜테리움 7차 센트럴파크', 경기도 파주시 운정신도시 '파주 운정신도시 우미린 더 센텀' 등이다.
2023년 8월 07일에 모니터링된 자료.
2023년 8월 07일 부동산 단신 4.
올해 '노도강' 모두 첫 반등…노원구 그랑빌 전용 84㎡은 지난달 8억500만원에 거래됐다. 1월 5억1000만원에 거래된 강북구 SK북한산시티 전용 59㎡은 지난달 6억원에 육박한 5억9800만원에 거래됐다. 도봉구 주공19단지 전용 68㎡은 지난 6월 7억7500만원에 거래돼 지난 1월 7억2500만원에서 올랐다.
신고가 거래도 잇따랐다. 도봉구 창동 한승미메이드 전용 112㎡은 지난달 6억6000만원에 거래돼 종전 최고가였던 5억3000만원을 넘어섰고 북한산 아이파크 전용 165㎡은 지난 6월 16억3000만원에 거래돼 신고가를 경신했다. 노원구 포레나노원 전용 84㎡은 12억원에 매매돼 신고가를 경신했다.
인천 연수구 송도동 'e편한세상송도' 전용 84㎡, 송도동 '더샵송도마리나베이' 전용 84㎡, 서구 마전동 '검단힐스테이트3차2단지' 전용 164㎡, 계양구 서운동 '계양효성해링턴플레이스' 전용면적 99A㎡, 세종시 새롬동 '새뜸마을 10단지(더샵힐스테이트)' 전용 84㎡ 등 집값 반토막이었던 세종과 인천 등이 빠르게 회복하는 모습이다.
여의도 시범의 3.3㎡당 일반분양가는 6400만원(용적률 351.96%), 수정은 6100만원(477.74%), 한양은 6000만원(599.93%)으로 예상된다. 작년 송파구의 3.3㎡당 평균 일반분양가(6231만원)와 비슷하다. 2021년 서초구 반포동 래미안원베일리의 분양가(5653만원)도 넘어섰다. 대치 은마아파트의 예상 일반분양가(7700만원)보다 낮다.
올해 서울 동대문구 이문동 '래미안 라그란데'(3069가구), 송파구 문정동 '힐스테이트 e편한세상 문정'(1265가구), 광진구 자양동 '롯데캐슬 이스트폴'(1063가구) 등이8개 단지, 7352가구가 분양 예정이다. 경기 광명시 광명동 '광명센트럴아이파크'(1957가구), 평택시 '진위역 서희스타힐스 더파크뷰'(1659가구), 이천시 '이천 중리 우미린 트리쉐이드'(849가구), 인천 계양구 효성동 '제일풍경채 계양 위너스카이'(1440가구) 등도 분양 예정이다.
서울 광진구 ‘구의역 롯데캐슬 이스트폴’은 420가구에 4만 1344명이 신청하며 평균 경쟁률 98.44대1을, 경기 광명시 광명동 ‘광명센트럴아이파크’도 4300명이 몰리며 평균 경쟁률 18.94대1을 기록했다. ‘평택고덕국제신도시 A-49 블록 호반써밋3차’는 170가구 모집에 1만 3996명이 신청하며 82.3대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반면, 강원도 속초시 금호동 힐스테이트 속초는 863가구 모집에 2236명이 신청하며 평균 경쟁률이 2.59대1로 저조했다.
강원 원주시 단구동 '원주자이센트로'(970가구), 광주 북구 오룡동 '힐스테이트첨단센트럴'(1520가구) 등도 분양힌다. 한편, 서울 마포구 공덕동 공덕현대아파트 소규모재건축조합(마포구)은 한화 건설을 재건축 사업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했다. 남성아파트(영등포구) 재건축 사업도 조만간 시공사 선정이 이뤄질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