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분뇨 물량 예측 어긋, 양산 바이오가스화 비상
반입량 28%그쳐 전력생산 차질…시, 운영 부담액 3배 증가할 듯
바이오가스화 시설을 활용해 전기생산 및 음식쓰레기·축산분뇨를 처리하겠다는 경남 양산시의 계획이 난관에 부딪혔다. 전기 생산에 필요한 축산분뇨 반입 물량 예측이 어긋나면서 출발부터 불안한 행보가 이어지고 있다.
23일 시에 따르면 유산동 유산폐기물매립장 내에는 음식물쓰레기와 축산분뇨를 병합 처리하는 바이오가스화 시설이 설치돼 지난 2월부터 가동에 들어갔다. 이 시설은 지역에서 하루에 발생하는 음식물쓰레기 60t과 가축분뇨 70t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메탄가스로 전기를 생산한다. 생산량은 시간당 535㎾다.
시는 시설이 제대로 운영되면 연간 운영비 18억7800만 원의 일부를 음식폐기물 납부필증 수입(10억 원), 가축분뇨 처리비(1억4000만 원), 전력 판매 수입(4억5000만 원) 등으로 충당한다는 계획이었다.
그러나 당초 기대했던 축산분뇨 반입량이 절반에도 못 미치면서 문제가 발생했다. 가동 4개월 동안 반입된 축산분뇨는 하루 평균 20t으로, 당초 예상치였던 70t의 28%에 불과하다. 이 때문에 전력생산도 예상보다 절반 수준에 그쳤다. 이에 따라 연간 2억 원으로 추산됐던 시의 운영비 부담액이 6억5000여만 원으로 3배 이상 늘어날 전망이다.
이처럼 축산분뇨 반입량이 예상보다 낮은 것은 농가들이 축산분뇨처리업체와 연간 계약을 맺고 있어서다. 시는 뒤늦게 축산농가와 축산단체를 대상으로 공문을 발송하는 등 협조를 요청했지만 올 연말까지는 지금과 같은 상황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또 내년이 되더라도 축산농가들이 시의 권고를 따른다는 보장이 없어 일정 수준의 축산분뇨를 반입하는 데는 적지 않은 어려움이 예상된다.
예측 오류로 시가 부담해야 할 예산이 늘어나자 지역사회에서는 시의 안일한 행정에 대한 비난이 일고 있다. 이 사업은 축산폐기물 해양투기 금지에 따라 2009년 환경부 시범 국책사업으로 추진됐다. 사업비 199억 원(국비 80%)이 투입됐지만 환경부와 시는 공사에만 급급, 정작 시설을 가동할 원료인 축산분뇨의 수급에는 신경을 쓰지 못했다.
시의회도 시의 납득하기 힘든 행정을 지적하고 나섰다. 한 시의원은 "시가 축산농가의 사정도 모른 채 책상에서 서류로만 물량을 확보한 셈"이라고 질타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축산농가와 단체를 대상으로 계속 협조를 구하고 있기 때문에 내년 초 축산농가와 기존 축산분뇨 처리업체와의 계약이 종료되면 반입량이 정상화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해명했다.
첫댓글 http://www.kookje.co.kr/news2011/asp/newsbody.asp?code=0300&key=20140724.220102036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