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길쌤이 풀어준 공식까진 이해가갓습니다!!!첫번째사진의 첫번째줄에 왜 자연로그를 쓰는걸까요?... 유튜브 뒤져가지고 자연로그 보는법은 알앗는데 이 사례에서 왜 써야하는지가 궁금합니다..!!!!!!
첫댓글 복리계산이 원래 지수함수에요.지수 계산하려면 로그 써야 풀리구요. 역함수라서
수포자는 웁니다..... 알려주신 단어들 네이버에 검색해볼게요...!!!! 감사합니다
양변에 자연로그 ln을 붙여봐요. (즉 3=3 이면 ln3 = ln3). 로그 성질로 인해 T가 앞으로 내려오고요 (t x ln (1.036) = ln (2.182) ) 그러면 이제 표에 ln (1.036) 과 ln (2.182) 이 뭔 값인지 나와있으니까 t를 구할수 있겠죠
아 양변에 자연로그를 붙이는거엿군요 근데 자연로그를 붙이는 이유가궁금햇엇어요 ㅎㅎ 어느상황에 적절하게 사용해야하는지 모르겟더라구여
@블유 보통 복잡한 식을 로그의 성질 이용하거나 극한 이용해서 쉽게 근사 할때 쓰는 거 같아요.예를 들어 X가 0에 가까울 때 ln(1+x) = x 입니다. 피셔의 방정식 원래 형태가 (1+R) = (1+r)(1+i) 이면 양변에 ln 붙인후 로그의 성질로 ln(1+R) = ln(1+r) + ln(1+i) 가 되고요 명목, 실질 이자율 이나 인플율 모두 0과 가까우니 근사적으로 R = r + i로 쓸수 있어요.
@CPPPA 정말감사합니다!!!! 다른 제 게시글에올린것도 참고해서 같이볼게요^^
첫댓글 복리계산이 원래 지수함수에요.
지수 계산하려면 로그 써야 풀리구요. 역함수라서
수포자는 웁니다.....
알려주신 단어들 네이버에 검색해볼게요...!!!! 감사합니다
양변에 자연로그 ln을 붙여봐요. (즉 3=3 이면 ln3 = ln3). 로그 성질로 인해 T가 앞으로 내려오고요 (t x ln (1.036) = ln (2.182) ) 그러면 이제 표에 ln (1.036) 과 ln (2.182) 이 뭔 값인지 나와있으니까 t를 구할수 있겠죠
아 양변에 자연로그를 붙이는거엿군요 근데 자연로그를 붙이는 이유가궁금햇엇어요 ㅎㅎ 어느상황에 적절하게 사용해야하는지 모르겟더라구여
@블유 보통 복잡한 식을 로그의 성질 이용하거나 극한 이용해서 쉽게 근사 할때 쓰는 거 같아요.
예를 들어 X가 0에 가까울 때 ln(1+x) = x 입니다.
피셔의 방정식 원래 형태가 (1+R) = (1+r)(1+i) 이면 양변에 ln 붙인후 로그의 성질로 ln(1+R) = ln(1+r) + ln(1+i) 가 되고요 명목, 실질 이자율 이나 인플율 모두 0과 가까우니 근사적으로 R = r + i로 쓸수 있어요.
@CPPPA 정말감사합니다!!!! 다른 제 게시글에올린것도 참고해서 같이볼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