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년제로 전환 후 첫 국가고시
- 국내大출신 사실상 전원 합격
- "생명 다루는 시험 너무 허술"
- 안팎서 비판 목소리 쏟아져
응시생 1615명에 단 1명 불합격. 올해 처음 시행된 6년제 약학대학 졸업자들의 약사 자격 취득을 위한 약사국가고시(약시)의 합격률이 너무 높아 비판 여론이 쇄도하고 있다. 대학 입학 정원을 늘리는 대신 합격률을 떨어뜨려 제대로 된 약사를 육성하겠다는 애초 6년제 약학대 도입 취지와 달리 올해 합격률이 사실상 100%인 것으로 드러나 국가시험 무용론까지 제기되고 있다.
과거 4년제 약대 시절 약시 합격률은 80%대였다. 22일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에 따르면 지난달 23일 치른 제66회 약시에 전국에서 1716명이 응시, 1668명이 합격해
97.2%의 높은 합격률을 보였다. 부산지역에서는 부산대(66명) 경성대(48명) 인제대(24명) 등에서 응시생 전원이 합격했다.
이번 약시는 종전 4년제 약학대가 6년제로 바뀌고 올해 첫 졸업생을 배출하는 가운데 치른 국가시험이다. 현재 약학대 체계(2+4년)는 일반 학과에서 2학년까지 필수 학과목을 수강한 뒤 약학대학입문자격시험(PEET)를 통과하면 약학대에서 4년 과정을 더 공부하고 약시를 치른다.
하지만 지나치게 높은 합격률 때문에 국가고시로서 의미가 있느냐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특히 국내 대학 응시자는 사실상 전원 합격했다.
이번 약시에 탈락한 48명 중 47명은 필리핀 등 외국대학 출신이다. 국내 6년제 약학대 탈락자는 응시생 1615명 중 단 1명에 불과한 것으로 알려졌다. 시험 출제 기관 측은 유례없이 높은 합격률에 대해 아직 공식 입장을 내놓지 않고 있지만 이번 시험을 앞두고 온·오프라인상에서 "최근 몇년 약사 공급이 부족했던 만큼 6년제 약학대 첫 졸업생 시험은 쉽게 나올 것"이라는 말들이 떠돌기도 했다.
약사들의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성토가 이어지고 있다. '의사·의대생들한테 두고두고 놀림거리 되게 생겼다' '약시 1명 불합격, 이게 시험인가' '물수능, 이건 홍수 약시?' 등 부정적 반응이 쏟아졌다.
약사 정모(37) 씨는 "이번 합격생들은 재시험 봐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인 뒤 "생명과 건강을 다루는 시험을 무조건 쉽게 내서 다 합격시키다니 어이가 없다"고 말했다. 또 다른 약사 최모(여·42) 씨는 "최근 약사 공급이 달렸다고 하지만 해도 너무했다"며 "역사상 유례없는 1명만 탈락한 약시 꼬리표가 평생 따라다니게 생겼다"고 우려했다.
출처 http://www.kookje.co.kr/news2011/asp/newsbody.asp?code=0300&key=20150223.33001222252
이야 국내약대출신 1명 탈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나머진 개ㅄ 필리핀약대 이런곳 출신이고 순수 국내약대생 1명 ㅄ짓한거 빼면 사실상 저건 100% 합격이지 ㅋㅋㅋㅋㅋ
이건 워드 3급보다 더 높은 합격률이야 ㅋㅋㅋㅋㅋ
첫댓글 크....약대생들 공부열심히한당게
떨어진놈이 더 궁금하네
피트 1기생들은 진짜 개꿀인생이네 들어갈때도 꿀 나올때도 꿀 대한민국 역사상 가장 쉽게 약사가 된 집단이다 저 중엔 니들하고는 상대도 안되는 개잡대출신들이 대다수라는 것도 뽀인트ㅇㅇ
뭐1기만그런가...
약대 부활시켜서 공대 거품좀 빼자
시험이 중학교 수준인가?
약 포장하는데 뭐 전문기술이 필요하냐
씨발 핏생길때 내가 그렇게 한다고 했는데 집에서 말려서...
약사가 생명과 건강을 다룬다고?
약사들 무슨 단체로 pd있냐?
많이 떨구라는 소리는 안하지만 95퍼 수준으로 맞춰라.. 의사 국시처럼
실습시험도 만들어서 혈압약 일주일치 1분컷 포장하기... 같은거 시험보면 되겠네
이미 약대졸업한 사람들에 한해서 일정 점수이상 되면 붙는시험인데 뭐 어떠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