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교육에 대한 실망감이 커지면서 사교육 의존도가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전 과목에서 우수한 성적을 내야 하는 치열한 교육 현장에서 우리 아이가 희생양이 되는 걸 막고자 등장한 대안교육. ‘아이의 적성과 재능을 살려 맞춤식 교육을 하겠다’는 엄마들이 늘어나면서 대안 학교에 이어 홈스쿨링이 ‘또 하나의 학교’로 주목받기 시작했다. 효율적인 학업 스케줄 관리를 통해 아이의 학업 성취도를 높일 수 있는 홈스쿨링. 엄마들이 가장 궁금해하는 건 무엇일까?

예전에는 홈스쿨링이 단체 생활을 힘겨워하거나 규칙적인 학교 시스템에 적응하지 못하는 아이, 학업 성적이 부진해 진도를 따라가기 힘든 아이들의 차선책이었어요. 그러나 요즘에는 부모가 교육에 관한 확고한 철학을 가지고 있어서 홈스쿨링을 선택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답니다. 평범한 학교 프로그램에서 공부하기에는 아이의 영재성이 뛰어나다고 판단해 개별적인 특별 교육을 하려는 것이죠.
어떤 절차를 밟아야 하나요?
아이의 담임교사와 교장을 만나 홈스쿨링 의사를 밝히고 협의를 해야 해요. 아이는 ‘정원 외 관리 대상’으로 처리하는 것이 좋습니다. 정원 외 관리 대상이 되면 검정고시를 빨리 볼 수 있거든요. 검정고시에 합격한 뒤 합격증 사본과 의무취학 면제 신청을 하면 대학 입시도 빨리 치를 수 있어 조기 진학도 가능해요. 그러나 등학교 졸업하고 중학교 배정을 받은 뒤 등록을 하지 으면 ‘입학 유예’가 되는데 이 경우 만 15세 이후에만 검정고시를 볼 수 있습니다.
언제 시작하는 것이 좋을까요?
인성 교육이나 아직 공부 습관이 형성되지 않은 어린 나이에 시작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적어도 아이가 스스로 ‘혼자 공부하고 싶은 이유’를 깨닫고 선택할 수 있는 중학생 이후에 시작하는 것이 무리가 없을 겁니다. 꼭 염두에 둬야 할 것은 아이가 홈스쿨링을 도피처로 선택하면 안 된다는 거예요. 특히 한창 감성이 예민한 시기인 사춘기(중·고등학교)에 학교에 적응하지 못한다는 이유로 홈스쿨링을 선택하게 될 경우 실패할 확률이 높기 때문입니다.
홈스쿨링 실패 후, 학교로 다시 복귀할 수 있나요?
홈스쿨링을 선택했지만 여러 가지 문제로 인해 학교로 다시 돌아가는 학생들도 많습니다. 이런 경우, 학교에 사유서와 그동안의 가정 학습 결과물을 제출하고, 학력 테스트를 거친 뒤 복학할 수 있어요. 제 학년으로 복학한 뒤에는 교우들과의 친밀한 관계 형성과 타이트한 학교의 스케줄에 적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사회성 발달에 문제가 있지는 않을까요?
홈스쿨링의 가장 큰 약점은 아이들의 인간관계가 협소해진다는 거예요. 그렇기 때문에 부모들은 아이의 사회성 결여를 보완해 주기 위해 다양한 활동과 모임을 통해 균형을 잡아줘야 해요. 홈스쿨링을 처음 시작할 때 아이들은 늘 만나던 반 친구들을 만날 수 없어 외로움을 느끼기 상이거든요. 홈스쿨링 캠프, 각종 청소년 단체의 교육 프로그램, 자원봉사와 각종 사회 단체의 행사, 박물관 특별 프로그램 등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에 적극 참여하게 하는 것이 좋습니다.
홈스쿨링 스케줄은 어떻게 짜야 할까요?
학교에 가지 고도 아이가 계획적으로 생활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학업 스케줄을 짜는 것이 중요합니다. 규칙적으로 하루 학습 시간을 정해 놓아야 하며 학업 스케줄과 취미 활동 등은 아이와 함께 상의해서 결정한 뒤 꾸준히 실천하는 것이 좋아요. 홈스쿨링을 한다고 해서 부모가 모든 교과를 가르치는 건 아니에요. 홈스쿨링을 하는 몇몇 가정이 모여 자기가 잘 가르칠 수 있는 과목을 돌아가며 가르치는 일종의 ‘품앗이 교육’을 하기도 하고, 인터넷 강좌와 학원 수업도 듣습니다.
실패의 원인이 뭔가요?
‘홈스쿨링을 하면 명문대에 진학할 수 있다’는 왜곡된 소문에 솔깃해 홈스쿨링을 하는 경우도 있어요. 보다 효과적인 대학 진학 방법으로 선택하는 거죠. 일반 학교에 다니면서 괜히 힘 빼지 말고, 능력 있는 개인 교사를 붙여서 검정고시를 속성 패스하고, 조기 진학을 시킨다는 의도로 시작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홈스쿨링의 주체는 아이이고, 아이의 재능을 살려주는 것이 가장 중요해요. 또 사전 준비가 미흡해서 실패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홈스쿨링은 ‘1인 1학교’잖아요. 개개인마다 학습 내용과 목표가 다르고 실천 계획표가 달라요. 홈스쿨링을 선택하기 이전에 홈스쿨러 가정 탐방, 홈스쿨러 가족 캠프 참여, 학교에 다니면서 주 1회 홈스쿨링 경험하기 등을 최소한 6개월~1년 정도 준비해야 시행착오를 줄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