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unction toggle(qaid)
{
if( window.document.all(qaid).style.display == "none" )
window.document.all(qaid).style.display = "";
else
window.document.all(qaid).style.display = "none";
}
대한민국 제15대 대통령 김대중(85) 전 대통령이 18일 오후 1시 43분경 서거했다.
연세세브란스병원 측은 이날 폐렴 증세로 37일째 입원중이던 김대중 전 대통령이 서거했다고 밝혔다.병원 측은 김 전 대통령이 1시35분경 심장이 정지했고, 의료진이 심폐소생술을 실시해 40분경 다시 심장이 뛰었으나 3분후인 43분경 서거했다고 전했다.
김대중 전 대통령이 18일 오후 서거한 가운데 박지원 민주당 정책위의장이 연세대세브란스 병원 의료진들과 함께 서거 경위 등을 전하고 있다.ⓒ 민중의소리
김 전 대통령은 지난달 13일 폐렴으로 신촌세브란스병원에 입원했고, 중환자실에서 집중 치료를 받아 증세가 호전되면서 같은달 22일 일반병실로 옮기기도 했었다. 그러나 바로 하루 뒤 폐색전증이 발병해 인공호흡기를 부착한 채로 치료를 받아왔다.
유족으로는 부인 이희호 여사와 세 아들인 홍일, 홍업, 홍걸 씨 등이 있다.
박지원 민주당 정책위의장과 박창일 연세대학교 의료원장은 2시 35분께 기자회견을 열고 김 전 대통령 서거 사실을 공식 발표했다.
박지원 의원은 공식 브리핑을 통해 "대한민국 제15대 대통령을 역임하고 노벨 평화상을 수상한 김 전 대통령이 18일 오후 1시43분 연세대 신촌 세브란스 병원에서 서거했다"고 밝혔다.
이어 박 의원은 "쾌유를 빈 국민과 의료진에 감사한다"면서 "세브란스 병원 영안실 특1호실에 임시 빈소를 마련해 이희호 여사 등 가족과 정부와 잘 조율해 대통령의 마지막 가는 길을 잘 모시겠다"고 말했다.
박 의원은 또한 김 전 대통령의 유언이 있었냐는 질문을 받자 "여사님께 구체적으로 듣지 못했다"고 답했다.
이어 박창일 원장은 "김 전 대통령이 오늘 오후 1시43분 서거하셨다"면서 "7월 13일 폐렴으로 입원하셨지만 마지막에는 다발성 장기부전으로 인해서 심장이 멎으셨고 급성호흡곤란 증후군과 폐색전증 등을 이겨내지 못하셨다"고 말했다.
박 원장은 김 전 대통령 서거 원인은 "급성 호흡곤란 증후군, 폐색전증, 다발성 장기부전증 등의 증세"라고 밝힌 뒤 임종 직전 "사실상 심폐소생술이 의미없는 단계였기 때문에 심폐소생술 등의 조치는 실시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다음은 박지원 정책위의장, 박창일 연세의료원장과의 일문일답이다.
- 임종 당시 곁에 누가 있었나? 박지원:이희호 여사와 김홍일, 홍걸 형제와 손자, 손녀 모두 함께했다. 또 권노갑, 한화갑, 한광옥, 김옥두, 안주섭, 박지원 등이 있었다.
- 김 전 대통령의 유언이 있었나? 박지원:이희호 여사로부터 유언 여부를 전달받지 못했다.
- 이희호 여사의 건강은? 박지원:여사님은 물론 충격도 있었지만 아직 염려할 경우는 아니다.
-빈소 마련 등 장례절차는 어떻게 되나? 박지원:현재 결정된 바 없다. 행안부 이달곤 장관으로부터 절차 논의에 대한 연락이 왔었다. 유가족, 정부 등과 협의하도록 하겠다.
-정확한 사인이 무엇인가? 박창일:처음 선행 사인으로는 폐염으로 입원하셨지만 마지막에는 다발성 장기부종으로 인해서 심장이 멎으셨다.
-마지막 응급처치는 어떻게 했나? 박창일:워낙 고령이신데다, 다발성 장기부전 등으로 심폐소생술은 커다란 의미가 없었기 때문에 고인을 조용히 보내드렸다.
- 지난 9일 상태가 급격히 악화되었을 때와 오늘 차이점은 박창일:그 당시는 다발성 장기손상이었지만 약물투약으로 생명을 회생시킬 가능성이 있었기 때문에 적극적인 조치를 했던 것이다.
- 조문은 언제부터? 박지원:많은 사람들이 찾아오시기 때문에 영안실이 준비되는대로 받도록 하겠다. 반기문 사무총장이 7시 출국하는데 그 전에 영안실 방문해서 조의를 표하겠다는 의사를 전해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