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정진(奇正鎭) 찬(撰)
[생졸년] 1798년(정조 22)~1879년(고종 16) 수(壽) 81세
우리 선조 응교공(應敎公)에게 외손이 있었으니 박공(朴公) 충원(忠元)이다. 세상에서는 낙촌(駱村)으로 부르는데 밀성인(密城人)이다. 나는 실로 재주가 없지만 안팎의 인연으로 어렸을 적 세상일을 알지 못할 때부터 이미 그 가덕(家德)의 원류를 잘 알고 있었다.
박씨는 본래 신왕(神王)의 후예로 조상의 음덕이 내려온 것은 오히려 말할 것 없거니와 박씨의 모든 관향 중에서 밀성이 가장 크다. 밀성의 일족에서는 낙촌 일가가 최고의 벌열이니 분봉(分封)한 후로 쌓인 경사가 깊었음은 가릴 수가 없다.
고(故) 상국(相國)이 운절(隕絶)함에 이르러는 가문의 명성이 차츰 쇠락하였으니 또 일찍이 탄식을 하지 않은 적이 없었다. 아마도 성이 무너져 해자(垓子)가 됨은 면치 못할 이수(理數)인지라 조상의 적경(積慶)으로도 구하지 못하는 것인가.
오늘날 박씨의 족보는 호조 참판(戶曹參判) 휘 눌생(訥生)의 후예에서 그친다. 참판공은 낙촌에게는 종조부가 된다. 내가 박씨의 족보에 굳이 낙촌을 말하는 것은 평소에 느끼고 있는 바가 여기에 있었기 때문이다. 참판공은 한양의 나산(蘿山)에 살았으며 호남의 전주 용진현(龍津縣) 각씨산(角氏山)에 장사 지내졌다.
그 아들 별제공(別提公)에 이르러 광묘(光廟 세조)가 왕위에 오르는 것을 보고 벼슬을 버리고 선산이 있는 곳으로 돌아갔다. 그 뒤에 타향에 흩어졌는데 인동공(仁同公)은 또 부자가 함께 임진왜란에 순절하여 마침내 쇄미(瑣尾)해져 분묘를 지키지 않은 지가 여러 해가 되었다.
다행히 그 묘소를 알고 있는 자가 있어 그 갈석(碣石)이 묻힌 곳을 알려주었는데 바로 광(壙) 아래 연지(堧地)였다. 비로소 봉분을 쌓고 묘사(墓祀)를 지냈으니 또한 기특한 일이다. 참판 일가는 벼슬이 높고 빛나기는 낙촌의 집안보다 훨씬 미치지 못하지만, 명의(名義)의 수립은 조부에게서 손자에게 전해졌다고 해도 좋을 것이다.
접때 말한 조상이 쌓은 덕의 남은 가호가 혹시 여기에 있는 것일까. 바라건대 박씨는 이어서 지키고 그치지 말라. 내가 늙어 문묵을 밀쳐두었으나 박씨 사문 문하(文廈)와 정기(鼎基)가 먼 길을 발이 부르트도록 걸어와서 청하는데 모두가 좋은 선비이다. 눈을 닦고 억지로 부응해준다.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ㆍ조선대학교 고전연구원 | 박명희 김석태 안동교 (공역) | 2018
-----------------------------------------------------------------------------------------------------------------------------------------------------------
[原文]]
密陽朴氏派譜序
吾先祖應敎公有宅相。曰朴公忠元。世號駱村。密城人。吾實不佞。夤緣內外。自幼不省事時。已習熟其家德源委。蓋朴氏本神王後裔。餘廕下流。尙乎無以議爲。而朴氏諸貫。密城最鉅。密城一族。駱村一家最閥閱。分封後積慶之深。有不可誣者。至於故相國隕絶。家聲寖以衰歇。又未嘗不咨嗟歎咄。豈城復于隍。理數所不能免。祖先積慶。有不能救歟。今日朴氏之譜。止於戶曹參判諱訥生之裔。參判公於駱村爲叔祖。吾於朴譜。必駱村云者。宿感在此也。參判公居於漢師之蘿山。葬於湖南之全州龍津縣角氏山。至子別提公。見光廟受禪。棄官歸墓下。其後散落他鄕。仁同公又父子俱殉於龍蛇之燹。遂致瑣尾。墳墓不守者積年矣。幸有深目而髥。告其碣石埋處。卽壙下堧地也。始封築而行墓祀焉。事亦奇矣。蓋參判一家科宦隆赫。遠不及駱村家。而名義樹立。雖謂祖以傳孫。亦可也。向所謂祖先積慶餘庥。將在於是歟。願朴氏嗣守勿替。不佞老拋文墨。朴氏斯文文廈,鼎基。十舍重趼以請。皆佳士也。拭翳強副云。<끝>
노사집 제19권 / 서(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