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학 명 : Carpesium abrotanoides |
○ | 초롱꽃목 국화과의 두해살이풀. |
○ | 분포지역 : 전국 |
들이나 산기슭에서 자란다. 뿌리는 양끝이 뾰족한 원기둥 모양이며 목질이다. | |
줄기는 높이가 50~100㎝이고 많은 가지가 옆으로 길게 뻗으며 잔털이있다. | |
뿌리에서 나온 잎은 크지만 꽃이 필 때쯤 말라서 없어진다. | |
줄기에서 나온 잎은 어긋나고 줄기 밑 부분의 잎은 넓은 타원모양 또는 긴 타원모양이며 | |
끝이 둔하고 잎맥 위에 털이 있으며 잎자루에 날개가 있다. | |
가장자리에는 불규칙한 톱니가 있고, 앞면은 녹색이며, 뒷면은 연두빛이고 선점(腺點)이 있다. | |
줄기 위로 올라가면서 잎은 작아지고 긴 타원모양이며 잎자루가 없어진다. | |
꽃은 8~9월에 노란색으로 피고 잎겨드랑이에 지름 1㎝의 두상화 모양으로 달린다. | |
두상화에 자루가 없는 점이 같은 속의 다른 종과 구별할 수 있는 뚜렷한 특징이다. | |
총포는 둥근 종 모양이고 갈라진 포 조각은 3줄로 배열하는데, 겉에 있는 것은 달걀모양이고 | |
끝이 뾰족하며, 가운데 있는 것과 안쪽에 있는 것은 긴 타원 모양이고 끝이 둥굴다. | |
열매는 수과로 길이가 3.5㎜이고 선점이 있어 점액을 분비하는데, | |
이 점액 때문에 열매가 동물의 몸에 붙어 멀리 퍼져 나간다. 어린순을 식용한다. | |
한방에서는 잎은 천명정(天名精)이라 하여 촌충 구제약으로 쓰고, | |
또 잎의 즙은 종기, 타박상에 쓴다. 전체에 가는 털이 있으며 냄새가 난다. | |
담배풀의 과실인 학슬은 살충작용이 강한 약재로, 오장에 있는 기생충을 죽이는 살충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 |
회충이나 요충으로 인한 어린이의 복통, 항문질환 등에 이용된다. | |
또한 담배풀의 전초를 약재로 이용하면 인체에 담을 없애고 열을 내리며 지혈, 해독, 살충 등의 효과가 있다. | |
뿌리 및 잎은 천명정(天名精), 열매는 학슬(鶴蝨)이라 하여 약용한다.
| |
◎ | 천명정(天名精) |
○ | 가을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
○ | 약효 : 거담(祛痰), 청열(淸熱), 파혈(破血), 지혈(止血), 해독(解毒), 살충(殺蟲)의 효능이 있다. |
급성편도선염, 후비(喉痺), 말라리아, 급성간염, 급만성경련, | |
기생충으로 인한 복내(腹內)의 경결(?結), 혈하(血下), 비출혈(鼻出血), 혈림(血淋), 정종창독, | |
피와소양(皮蛙搔痒)을 치료한다. | |
○ | 용법 : 10~15g을 달여서 복용한다. 또는 환제(丸劑), 산제(散劑)로 한다. |
○ | 외용 : 짓찧어 바르던가 달인 액으로 세척한다. |
◎ | 학슬(鶴蝨) |
○ | 약효 : 살충작용이 있으며 복중(腹中)에 기생충이 체적(滯積)한 것으로 인한 복통(腹痛)을 치료한다. |
또 주로 회충, 요충에 사용한다. | |
○ | 가공 : 가을에 열매가 성숙하였을 때 채취하여 햇볕에 말려 건조한 다음, |
환제로 만들어 복용할 때는 불로 볶고 탕제로 복용할 때는 생용한다. | |
○ | 주의 : 학슬은 유독한 약이므로 다량이나 오래 복용할 경우 부작용이 있으므로, |
기생충 이외의 특별한 증상이 없을 때는 복용을 금하며, 복용중이라도 그 증상이 나으면 복용을 곧바로 중지한다. | |
◎ | 담배풀의 효능 |
○ | 급성편도염 : 전초 15g에 물 700㎖를 넣고 달인액을 반으로 나누어 아침 저녁으로 복용한다. |
○ | 하퇴궤양 : 옹근풀 100g에 물 500㎖를 넣고 200㎖가 되게 달인 것을 한번에 10분에서 30분 정도 상처를 씻어준다. |
○ | 급성신장염 : 신선한 풀 40~60g에 설탕이나 소금을 넣어 함께 짓찧어 배꼽을 중심으로 직경 6㎝ 정도의 크기로 붙인다. |
하루에 한번씩 갈아붙이는데 4~7일 정도 붙이면 초기 신장염에 효과가 있다. | |
○ | 촌백충증 : 담배풀열매(학슬)를 말려 가루낸 것 한 숟가락을 돼지비계를 넣고 죽을 끓여 먹는다. |
○ | 십이지장충 : 담배풀열매(학슬)를 보드랍게 가루내어 빈속에 한번에 5~6g씩 식초로 먹는다. |
또는 담배풀열매 50g을 물에 진하게 달여서 2번에 나누어 자기 전에 먹는다. | |
십이지장충을 비롯한 장내 기생충을 죽이는 작용이 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