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0.09.03. 두꺼비공원
학명 | Platycladus orientalis |
꽃말 | 기도, 견고한 우정 |
크기 | 20m |
번식 | 종자, 실생 |
개화시기 | 4월 |
원산지 | 한국 |
서식지 | 산지의 벼랑틈 |
분류 | 계 : 식물계(Plantae) 문 : 겉씩식물 강 : 구과식물아강 목 : 구과목 과 : 측백나무과 |
분포 | 한국, 중국 |
생약명 | 측백엽(側柏葉), 백엽(柏葉), 씨 : 백자인(柏子仁) |
꽃색깔 | 갈색 |
한약명 | 측백엽(側栢葉) |
수확시기 | 9월~11월 |
생활형 | 상록 침엽 교목이지만 흔히 관목상 |
근연식물 | 서양측백 |
상록성 교목인 측백나무는 키 약 20m, 직경 1m까지 클 수 있으며, 주로 충북 단양, 경북 안동과 같은 석회암 지대에 천연 분포하여 석회암지대 지표 식물이라고 할 수 있다. 큰 가지가 옆으로 퍼지는 눈측백, 피라미드형의 서양측백, 황금색 잎을 가진 황금측백, 수형이 둥근 모양인 둥근측백 등 관상용으로 육성된 여러 품종들이 있다.
잎
잎은 비늘모양이며 뾰족하고 중앙부의 것은 거꿀달걀모양, 옆의 것은 달걀모양 또는 넓은 피침형으로서 백색 점이 약간 있다. 잎의 폭은 2~2.5mm로 뒷면에는 작은 줄이 있다.

2020.09.03.두꺼비공원
꽃
4월에 암꽃과 수꽃이 한 나무에서 피는데 묵은 가지 끝에 한 개씩 달린다. 길이 2~2.5mm로서 10개의 비늘조각으로 구성되고 각 2~4개의 꽃밥이 있으며 화경이 짧다. 암꽃차례는 구형이고 지름 2 mm로서 연한 자갈색이며 8개의 비늘조각으로 구성되고 각 꽃에 6개의 눈이 있다.

출처 : 개인 블로그
열매
구과는 길이 15~20mm로서 달걀모양이며 8개의 씨앗바늘이 엇갈려 마주나기하고 첫째 1쌍에는 종자가 없으며 둘째 것이 가장 크고 종자가 들어 있으며 구상(鉤 狀)의 돌기가 있다. 종자는 한 씨앗바늘에 2~3개, 한 열매에 2~6(보통 6)개 들어 있고 타원형 또는 달걀모양이며 첨두로서 길이 5 mm이고 흑갈색으로 9월에 성숙한다.

2020.09.03.두꺼비공원
줄기
높이 25m, 지름 1m에 달하는 상록교목이지만 흔히 관목상이다. 수관은 불규칙하게 퍼지고 나무껍질은 회갈색이며 세로로 갈라지고 큰 가지는 적갈색이며 일년생가지는 녹색이고 가늘며 납작하고 수직방향으로 발달한다. 가지는 비늘과 같은 비늘잎으로 4열생한다.
뿌리
원뿌리와 곁뿌리가 있다.
수피
나무껍질은 회갈색이며, 세로로 갈라진다.
가지
큰 가지는 적갈색이며 일년생가지는 녹색이고 가늘며 납작하고 수직방향으로 발달한다. 가지는 비늘과 같은 비늘잎으로 4열생한다.
수형(나무의 모양)
원뿔모양
생육환경
• 대부분 사람들이 잘 오를 수 없는 절벽지에 회양목과 함께 자라고 있다.
• 석회암지대의 지표식생으로서 내건성과 내한성은 강하나 한풍해에는 약하다.
• 사질양토에서 잘 자라며 양수이나 다소 내음성을 가지고 있고 대기오염에 대한 저항성도 강하다.
• 노지에서 월동 생육하고, 보통으로 관수관리한다. 환경내성은 강하며, 이식이 용이하다.
번식방법
• 실생 및 삽목으로 번식한다. 노천매장은 60일 정도 요하고, 삽목은 녹지삽, 숙지삽, 천삽(天 揷)을 행한다.
◈스토리텔링
가지가 수직적으로 발달하므로 측백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예로부터 신선이 되는 나무로 귀하게 대접받아 왔으며, 흔히 송백은 소나무를 백수의 으뜸으로 삼아 ‘공(公)’이고 측백나무는 ‘백(伯)’이라 하여 소나무 다음 가는 작위로 비유됐다. 그래서 주나라 때는 군주의 능에는 소나무를 심고 그 다음에 해당되는 왕족의 묘지에는 측백나무를 심었다. 측백나무에는 무덤 속 시신에 생기는 벌레를 죽이는 힘이 있는데, 좋은 묘자리에서는 벌레가 안 생기지만 나쁜 자리는 진딧물 모양의 염라충이라는 벌레가 생기므로 이걸 없애려고 측백나무를 심었다고 한다.
가지가 많이 갈라져서 반송같이 되는 것을 천지백(for.sieboldii)이라고 하며 관상용으로 심는다. 설악산과 오대산 등 높은 산에서 자라는 한국 특산종을 눈측백(T.koraiensis)이라고 하는데 가지가 서양측백처럼 수평으로 퍼지고 향기가 있다. 이것을 지빵나무라고도 하지만 지빵이나 찝빵은 측백과 같은 뜻이므로 눈(누운)측백이라고 한다. 미국에서 들어온 서양측백은 가지가 사방으로 퍼지며 향기가 있고 잎이 넓다. 수형(樹 形)이 아름답기 때문에 생울타리, 관상용으로 심는다.
◈ 측백, 편백, 화백의 구별법
① 잎의 모양
측백: 앞뒤 구별 안됨
편백: 잎 뒤 기공선이 Y자 모양
화백: 잎 뒤 기공선이 W자 모양

② 열매 모양
측백 : 열매가 뿔이 난것처럼 뾰족함
편백 : 바람이 꽉찬 축구공 모양
화백 : 바람 빠진 축구공 모양

③ 향기
편백 <측백 <화백 순으로 향기가 강하다
[출처]편백나무 측백나무 화백나무 구별방법 영남농원
자료 출처 : 세상을 바꾼 나무, 두산백과, 우리 생활 속의 나무, 한국민족문화대백과, 국립수목원 국가생물종지식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