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좌표: 35°02′N 126°43′E / 35.033°N 126.717°E / 35.033; 126.717
![]() | |
현황 | |
---|---|
면적 | 608.15 km² |
세대 | 41-052가구 (2011.6.30) |
총인구 | 89,157명 (2011.6.30) |
읍 | 1개 |
면 | 12개 |
행정동 | 6개 |
법정동 | 33개 |
시장 | 임성훈 |
시청 | |
소재지 | 시청길 22 (송월동 1100) |
홈페이지 | 나주시청 |
상징 | |
시목 | 은행나무 |
시화 | 배꽃 |
시조 | 비둘기 |
나주시(羅州市, 문화어:라주시)는 대한민국 전라남도에 있는 시이며 나주평야의 중앙부에 위치하였다.
목차[숨기기] |
전라남도의 중서부 나주평야의 중심에 위치하고 있으며, 지질은 전역이 화강암 지대이다. 시의 중앙을 영산강이 관통하고 있는데, 서쪽이 구나주읍 동쪽이 구영산포읍이다. 시의 북서쪽에 금성산(452m)이 있고, 주변에는 영산강의 범람원이 넓어서 홍수의 피해가 많았다. 화순군 여첩산에서 발원한 신탄천은 시의 동부를 흐르다가 구나주읍에서 영산강에 합류하는데 도중에서 군 남부 산지로부터 발원하여 북류하는 여러 계류(溪流)를 합한다. 이 강들은 관개에 크게 이용된다.
나주시의 행정 구역은 1읍 12면 6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나주시의 면적은 608.15㎢이며, 인구는 2011년 7월 1일을 기준으로 41,052세대 89,157명이다.[13]
읍면동 | 한자 | 세대 | 인구 | 면적 |
---|---|---|---|---|
남평읍 | 南平邑 | 3,665 | 7,843 | 54.26 |
세지면 | 細枝面 | 1,704 | 3,471 | 30.03 |
왕곡면 | 旺谷面 | 1,805 | 3,873 | 30.13 |
반남면 | 潘南面 | 1,004 | 1,908 | 20.35 |
공산면 | 公山面 | 1,400 | 2,930 | 32.31 |
동강면 | 洞江面 | 1,719 | 3,330 | 46.89 |
다시면 | 多侍面 | 2,239 | 4,467 | 56.74 |
문평면 | 文平面 | 1,286 | 2,406 | 46.99 |
노안면 | 老安面 | 2,665 | 5,588 | 42.50 |
금천면 | 金川面 | 2,399 | 5,329 | 30.92 |
산포면 | 山浦面 | 1,998 | 4,210 | 23.50 |
다도면 | 茶道面 | 1,134 | 2,285 | 73.16 |
봉황면 | 鳳凰面 | 2,562 | 5,232 | 59.94 |
송월동 | 松月洞 | 2,715 | 7,197 | 4.73 |
영강동 | 榮江洞 | 1,704 | 4,011 | 6.94 |
금남동 | 錦南洞 | 3,059 | 6,968 | 11.58 |
성북동 | 城北洞 | 3,963 | 9,723 | 8.07 |
영산동 | 榮山洞 | 2,124 | 4,335 | 14.06 |
이창동 | 二倉洞 | 1,907 | 4,051 | 15.55 |
나주시 | 41,052 | 89,157 | 608.65 |
나주시(에 해당하는 지역)의 연도별 인구 추이[14]
연도 | 총인구 | |
---|---|---|
1960년 | 222,808명 | ![]() ![]() ![]() ![]() |
1966년 | 245,162명 | ![]() |
1970년 | 222,452명 | ![]() ![]() ![]() ![]() |
1975년 | 212,246명 | ![]() ![]() ![]() ![]() ![]() |
1980년 | 186,005명 | ![]() ![]() ![]() ![]() ![]() |
1985년 | 166,927명 | ![]() ![]() ![]() ![]() |
1990년 | 158,634명 | ![]() ![]() ![]() |
1995년 | 107,831명 | ![]() ![]() ![]() |
2000년 | 99,533명 | ![]() ![]() ![]() |
2005년 | 87,212명 | ![]() ![]() ![]() |
2010년 | 78,679명 | ![]() ![]() ![]() |
넓고 비옥한 평야와 온화한 기후 등 좋은 영농조건으로 해서 농업생산이 많으며, 이른바 삼백지방(三白地方)이라 하여, 예로부터 쌀·누에고치·면화의 산지로 유명했다. 총가구의 약 56%가 농가로서, 쌀·보리·고구마 외에 채소류·과일류의 원예농업이 활발하고, 그 밖에 인초(고사리)·양송이 등의 산출이 많다. 영산강 범람원은 과수원으로 이용되어 배를 비롯한 복숭아·포도·사과·감 등의 과일 생산이 대단히 많다. 특히 나주는 일찍부터 품질이 우수한 나주배의 산지로 유명하여, 연 생산량 7,995t을 올림으로써 전국 제1의 배 산지가 되었다. 또 왕곡면·산포면·남평면에서는 시설원예 농업에 의한 오이·고추·무·배추 등의 산출이 많고, 그 밖에 마늘·양파·생강 등도 많이 난다. 한편, 금천면에는 약 3만 마리의 오리를 사육하는 오리사육장이 있고 한우·젖소·돼지 등을 사육한다.
시의 대표적인 근대적 공장은 1962년 준공된 호남비료 나주공장이다. 호남 곡창지대의 비료 수요를 충당하기 위하여 영산강의 공업용수, 화순탄광의 무연탄 및 호남선의 수송력 등 유리한 입지조건을 고려하여 건설되었는데, 당초에는 충주비료공장과 더불어 한국의 2대 비료공장의 하나로 각광을 받았다. 그러나 그 생산시설이 구식이어서, 공업용수의 과다 사용과 생산단가의 상대적 고가 등 취약성을 드러내게 되었고, 아울러 국내 비료생산의 증대에 눌리게 됨으로써, 1981년에 조업을 중단하고 화학제품을 생산하는 공장으로 개편되었다.
광산물로는 공산면의 덕음광산에서 연간 금과 은의 생산이 있고, 산포면과 봉황면에서 고령토가 산출된다. 금천면에 과실 통조림공장이 있고, 그 밖에 명주·죽세공품·목공예품(소반) 등을 제조하는 전통적인 가내수공업이 영위되고 있다.
나주배·도자기·모필 등이 유명하다.
호남선나주역을 비롯 도로교통의 발달로 영산포의 항구기능은 잃었으나, 광주 목포간의 고속화 국도를 비롯한 간선도로에 의해 광주·목포·영암 등지로 연결되는 육로의 요지를 이루고, 따라서 전라남도 지방 서부 평야지대의 교통요지로서의 기능을 하고 있다.
구나주읍을 대표하는 석조물로서 북문외 삼층석탑이 있다. 이 석탑은 원래 금성산 기슭의 심향사에 있었는데, 그 위치가 북문 밖이어서 그렇게 부르게 되었으며, 보물 제50호로 지정되어 있다. 구나주읍의 북동쪽 노변에 세워진 나주동문외석당간은 당간 전체가 잘 보존되어 귀중한 유물이 되고 있다. 팔각의 화강석재 5장을 연결시켜 세운 간주 위에 옥간석과 보주가 얹혀 있으며, 높이는 11m이다. 구나주의 지형이 배의 모양이기 때문에 그 안정을 빌기 위해서 돛대 형태를 본떠서 세웠다는 풍수설이 전해지고 있다. 구영산포는 과거 영산강의 가항종점으로 조기·멸치·소금·젓갈류 등 해산물과 제주말 및 일대의 농산물 집산지를 이루어, 상업도시로 크게 번영하였던 곳이다. 그 밖에 문화재로는 나주의 금성관과 김천일 정렬사지, 미천사원 등이 있다.
로마 가톨릭교회의 이단으로 알려진 마리아의 구원방주(나주성모동산)의 본부가 소재한 지역으로 유명하다.
도령 제5호 | |
구 행정구역 | 신 행정구역 |
---|---|
나주군 나신면 석현리·송촌리·경현리·대호리·보산리·청동리·토계리·송월리·삼도리 | 나주군 나주면 일부 |
나주군 나신면 삼영리·안창리 | 나주군 영산면 일부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보이기] 전라남도 나주시의 행정 구역 | |
---|---|
![]() |
|
[숨기기] 전라남도의 행정 구역 | |
---|---|
도청소재지: 무안군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