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거의 모든 사람들이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대중교통을 이용하고 도보를 걸어 다닐 때
주변을 둘러보면 대부분의 사람들이 스마트폰을 바라보고 있습니다.
스마트폰은 현대인들의 필수품으로 자리매김 하면서
사용시간 또한 많이 늘어났습니다.
스마트폰을 이용할 때는 대부분 고개를 숙이게 되는데
이로 인해 거북목증후군이 발생해 목뼈가 변형될 수 있습니다.

거북목증후군은 경추뼈가 정상적인 곡선을 유지하지 못하고
일자형태 등의 수직으로 변형되는 증상입니다.
목으로 전해지는 충격을 분산시키기 위해서는
경추가 곡선을 이루고 있어야 하지만
거북목증후군으로 목뼈의 변형이 진행되면
척추와 목뼈로 충격이 전이되게 됩니다.

거북목증후군으로 인해 목뼈에 변형이 오게 되면
처음에는 뒷목과 양쪽 어깨에 뻐근함이 느껴지고 근육이 자주 뭉치게 됩니다.
또한 만성두통이 발생할 수 있으며 쉽게 피로감을 느끼게 됩니다.
증상이 지속되면서 집중력을 하락시켜 업무나 학업의 능률을 떨어뜨리기도 합니다.
거북목증후군을 치료하지 않고 오랫동안 방치하게 되면
목디스크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반드시 치료를 받으셔야 합니다.

거북목증후군이 발생하는 원인으로는
고개를 숙이고 스마트폰을 사용하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고개를 앞으로 빼고 TV나 모니터를 보는 습관,
너무 높은 베개 사용, 바닥에 신문을 두고 보는 등의
일반적인 생활습관들의 영향을 받기도 합니다.

일자목이라도고 불리는 거북목증후군 증상들이 심하지 않다면
재활운동치료와 함께 약물치료를 병행해주면
증상이 호전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보존적인 방법의 치료 후에도
통증이 지속된다면 체외충격파를 이용한 치료를 받으시는 것이 좋습니다.
통증이 있는 부위에 1000회~1500회 정도의 고에너지 충격파를 가해
통증의 원인이 되고 있던 신경세포의 활동을 억제하는 치료법입니다.
목디스크로 이어질 수 있는 거북목증후군 증상이
얼마나 심각하느냐에 따라 그에 맞는 방법으로 적절한 치료를 받아보시길 바랍니다.

거북목증후군을 예방하고자 하신다면
스마트폰 사용을 줄이는 것도 중요하지만
목의 건강을 위해 평소에 올바른 자세를 유지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목 스트레칭을 자주 하여 경직된 근육을 풀어주고
PC나 스마트폰 이용시 화면의 높이를 눈과 맞춰주는 것이 좋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