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 고 동 락 산 악 회
11월16일 셋째주토요일 남한산성
남한산성트래킹 회원여러분 많은신청바랍니다
준비물.개인장비.개인상비약.간식.식수.여벌옷
※점심은찰밥드립니다※반찬만가저오세요※
산행비 40,000원 (뒷풀이 포함)
※ 농협. 351-1020-0064-13(동고동락산악회)손만석 ※
출 발 장 소 와 시 간
은진사거리 07시30분→연무로타리.07시35분
강경읍사무소07시45분→오거리농협.07시55분
논산여중앞.07시58분→삼성서비스.08시00분
논산복지관.08시02분→부적우체국.08시07분
연산사거리.08시20분→양정주유소.08시30분
( 탑 승 시 간 지 켜 주 세 요 )
산행코스 | [A코스] 지화문(남문)~청량산(482m)~우익문(서문)~전승문(북문)~동장대터~장경사~좌익문(동문 남장대터~남문(원점회귀)(약 9.1km, 후미기준 4시간) [B코스] |
산행안내 | 산대장 |
준비물 | ※점심은찰밥드립니다※반찬만가저오세요※ ▣ 맛있는 간식, 생수, 갈아입을 옷,개인상비약.등산스틱, 장갑, 모자, 무릎보호대.개인장비 ▣ 안전산행을 위해 무릎보호대, 스틱, 장갑등 안전산행 장비를 지참하시기 바랍니다. ▣ 겨울산행시.아이젠. 헤드랜턴,핫팩,보온자켓,선그라스.간식.을 지참하시기 바랍니다. ※ 필히 위 준비물을 숙지하시어 준비 부탁드립니다 ※ |
주의사항 | 모든 동고동락회원은 타인에게 피해를 주는 행위 절대 금지입니다. 산행시산대장안내에적극협조바라며,산행로이탈,개인행동금지,선두대장추월금지꼭지켜주세요. 상기 산행일정과코스는 날씨및기타 사정으로 변경또는취소 될수있는점양해 부탁드립니다. 산을 사랑하는 산우님들인 만큼 쓰레기 가져오기 꼬옥 실천 부탁드립니다. |
기타사항 | ♣ 산행중 발생하는 부상과 사고에 대하여 동고동락산악회 에서는 책임을 지지 않으므로 각자의 안전에 각별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 운영진에게 민,형사상 책임을 절대 물을수 없음을 숙지하여주세요 본 회차 참여하신 것을 숙지내용에 동의한것으로 이해하겠습니다 ♣ 산행(상해)보험은 안전사고를 대비하여 각자 개별적으로보험사에가입하셔야 합니다 차량탑승시안전밸트꼭매시고 출발시차내이동을삼가해주세요 ※ 특히, 음주자, 심신 허약 체질자, 심장병력자는 산행 참가 시 꼭! 인지 부탁드립니다.※ ( 모두의 안전과 편의를 위해 산대장과 운영진의 통제를 따릅니다 ) (차량탑승과 동시에 동의하는 것으로 간주합니다.) |
♣ 산행에 참석하실분은 댓글이나 산악회 운영진에게 연락바랍니다 ♣
회 장 | 산 대 장 | 010- | 총 무 손 만 석 | 010-6425-7686 | |
재 무 박 규 숙 | 010-4404-9550 | 태 성 관 광 | 010- 태성관광 | 다음산행지 | 112차 12월7일첫째주토요일 |
오랜만에 한양쪽으로 발길을 돌려 봅니다..ㅎ
남한산성.광해군이 오랑케를 피해 피난갔다가 결국 항복하고야 말았던 비운의 역사를 지닌 남한산성.. 요즘 인기리에 방영되고 있는 병자호란을 배경으로 한 사극 드라마 "연인"의 무대가 되는 남한산성.. 산성에 직접 올라보면 또 감회가 새로울 거 같네요... 산성을 한바퀴 휘돌아오는 이번 코스는 우리에게 등산 외에 또 다른 의미를 부여하지 않을까요?
남한산성 경기 광주시 중부면 산성리 남한산. 사적 제 57호. 조선시대. 출처 : doopedia.co.kr 사적 지정종목 지정번호 사적 제57호 지정일 1963년 01월 21일 (재)경기문화재단 소장 소재지 경기도 광주시 중부면 산성리 산 1 지도보기 시대 조선 종류/분류 산성 면적 598,196㎡ 크기 1963년 1월 21일 사적 제57호로 지 정되었다. 북한산성(北漢山城)과 더 불어 서울을 남북으로 지키는 산성 중 의 하나로, 신라 문무왕(文武王) 때 쌓 은 주장성(晝長城)의 옛터를 활용하 여 1624년(인조 2)에 축성(築城)하였 다. 《남한지(南漢志)》에 따르면, 원래 심기원(沈器遠)이 축성을 그의 부친상으로 인하여 이서(李曙) 가 총융사(摠戎使)가 되어 공사를 시 작하여, 1626년 7월에 끝마쳤다. 공 사의 부역(賦役)은 주로 승려가 맡아 하였다. 성가퀴는 1,700첩(堞)이고, 4 문(門)과 8암문(暗門)이 있으며 성안 에는 관아(官衙)와 창고 등, 국가의 유 사시에 대비하여 모든 시설을 갖추었 고, 7개의 절까지 세웠다. 다만 성의 둘레가 6,297보(步), 성가퀴는 1,897 보라고 하는 등 문헌에 따라 차이가 있다. 이러한 시설은 기본적인 것에 불과하 였고, 인조 때부터 순조 때에 이르기 까지 성내의 시설 확장은 계속되었다. 임금이 거처할 행궁(行宮)은 상궐(上 闕) 73간(間) 반, 하궐(下闕) 154간이 었다. 재덕당(在德堂)은 1688년(숙종 l4)에 세웠고, 1711년에는 종묘를 모 실 좌전(左殿)을 세웠다. 그리고 사직 단(社稷壇)을 옮길 우실(右室)도 세 웠다. 1624년에 건립된 객관(客館:人 和館)은 1829년(순조 29)에 수리되 었다. 관아로는 좌승당(坐勝堂)·일장각(日 長閣)·수어청(守禦廳)·제승헌(制勝軒 ) 등이, 군사기관으로는 비장청(裨將 廳)·교련관청(敎練官廳)·기패관청(旗 牌官廳) 등을 비롯한 20여 시설과 더 불어 종각(鐘閣)·마랑(馬廊)·뇌옥(牢 獄), 백제의 시조인 온조왕묘(溫祚王 廟), 서낭당·여단(厲壇) 등이 들어서 고, 승도청(僧徒廳)을 두어 승군(僧軍 )을 총괄하였다. 당시에 나라를 지키 는 성군(聖軍)으로서의 불도(佛徒)의 힘은 대단히 컸기 때문이다. 그러기에 이 산성의 축성에도 승려 각 성(覺性)이 도총섭(都摠攝)이 되어 8 도의 승군(僧軍)을 동원하였고, 이들 의 뒷바라지를 위하여 전부터 있던 망 월사(望月寺)·옥정사(玉井寺) 개원(開元)·한흥(漢興)·국청(國淸)·장 경(長慶)·천주(天柱)·동림(東林)·동단 (東壇)의 7사(寺)가 창건되었다. 그러 나 오늘날에는 장경사만이 남아 있다. 남한산성의 수비는 처음에는 총융청 에서 맡았다가 성이 완성되자 수어청 이 따로 설치되었고, 여기에는 전(前)· 좌·중·우·후의 5영(營)이 소속되었는 데, 전영장(前營將)은 남장대(南將臺 )에, 중영장은 북장대에, 후영장과 좌 영장은 동장대에, 우영장은 서장대에 진(陣)을 쳤다. 현재는 서장대(守禦將 臺라고도 함) 하나만이 남아 있다. 장 대는 높은 섬돌 위에 2층으로 지었는 데, 아래층은 정면 5칸, 측면 3칸이고, 위층은 정면 3칸, 측면 2칸이다. 지붕 은 팔작(八作)이며 겹처마에 위층은 판문(板門)으로 막았으나 아래층은 틔어 있다. 성문은 홍예문(虹霓門) 위 에 성가퀴를 두르고 단층(單層) 문루( 門樓)를 올려 세웠는데, 매우 당당하 고 위엄이 있다. 수어사(守禦使) 이시백(李時白)이 축 성 뒤에 처음으로 유사시에 대비할 기 동훈련의 실시를 건의하여, 1636년( 인조 14)에 1만 2,700명을 동원하여 훈련을 실시하였다. 그러나 그 해 12 월에 막상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여러 가지 여건으로 제대로 싸워보지도 못 하고 성문을 열어 화의(和議)하고 말 았다. 결국 막대한 비용과 노력을 들 여서 쌓은 성이었으나 제구실을 하지 못한 뼈아픈 역사(役事)였다. 남한산 성은 백제의 시조인 온조왕(溫祚王) 의 성터였다고도 한다. 1963년 사적 제57호로 지정되었으며 , 2014년에는 유네스코에 의해 세계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출처 : 두산백과 펌 추가 정보. 코스&거리 1코스 src * 거리 : 3.8km 소요시간 : 80분 * 산성종로(로타리) - 북문(0.4km) - 서문(1. 1km) - 수어장대(0.6km) - 영춘정(0.3km) -남문(0.7km) - 산성종로(로타리 0.7km) 2코스src* 거리 : 2.9km 소요시간 : 60분 * 산성종로(로타리) - 영월정(0.4km) - 숭열 전(0.2km) - 수어장대(0.6km) - 서문(0.7km ) - 국청사(0.1km) - 산성종로(로타리 (0.9km) 3코스src* 거리 : 5.7km 소요시간 : 120분 * 역사관 - 현절사(0.1km) - 벌봉(1.8km) -장경사(1.5km) - 망원사(1.1km) - 지수당(1. 0km) - 관리사무소(0.2km) 4코스 src * 거리 : 3.8km 소요시간 : 80분 5코스* 산성종로(로타리) - 남문(0.7km) - 남장대 터(0.6km) - 동문(1.1km) - 지수당(0.5km) -개원사(0.3km) - 산성종로(로타리 (0.6km) 4코스src* 거리 : 7.7km 소요시간 : 200분 5코스* 역사관 - 동문(0.6km) - 동장대터(1.1km) -북문(1.6km) - 서문(1.1km) - 수어장대(0.6k m) - 영춘정(0.3km) - 남문(0.7km) -동문(1.7km) 교통 지하철 8호선 ㅡ산성역 하차 2번출구 나와서 5분거리 에 있는 버스 정류장 9번 , 9-1 번 , 52 번 토,일 ,휴일에만 운행 평일날은 걸어서 올라가야 함, 공원에서 1 시간 소요. 자가용 이용시 : 남한산성 남문 주차장 이용하면 편리함. 추가정보 마천역 5호선 종점 에서 들머리 지하철 5호선 종점, 마천역 하차 1번출구를 나오면 앞쪽으로 버 스가 다니는 큰길이 있는데 왼쪽으로 소방 서가 자리잡고 있습니다. 소방서를 왼쪽으로 끼고 , 1,5 KM. 올라가면 등산로 들머리 가 보이고 왼쪽으로 가는코스 가 있습니다. 그곳은 완만한 경사를 보이는 곳으로 산등성이를 타고 가는 코스이기때문 에 주변경관을 나름대로 볼수는 있습니다. 왼쪽으로 꺽지말고 곧장 올라가면 약간 가 파른. 된비알 (언덕길)이 나옵니다. 여기에서 조금더 가면 계단이 나오고 그 계단에서 양쪽으로 갈라지는데 음식점을 지나자마자 왼쪽으로 다리를 지나면 헬기장을 지나 가장 빠른 시간에 오를수 있는 서문정상까지는 등산을 잘 하신 분이라면 40분만에 오를수 있습니다 . 그야말로 빡센 등산입니다. 경사가 꽤 심합니다. 좀 천천히 여유있게 오 를려면 음식점을 지나 계속 곧장 올라가시 면 좀 덜 가파른 약 40분-50분정도 걸리는 약간 경사진곳으로 갈수있습니다. 그곳에선 오르면서 볼수있는 도시경관을 볼수없는 길 입니다. A. .코스는 남한산성입구에서 계 속 전진으로 오르시다가 , 오르막 ☞ 왼쪽 화장실 ☞ 계단이 있는 음식점 ☞ 다리 ☞ 헬기장 ☞ 힘든 등산 로 를 올라보는 것도 괜찮을 같네요.. 마 천역에서 남한산성입구까지 도보로 15분 남한산성입구에서 서문정상까지 보통으로 1시간 ~ 1시간 20분 정도 소요. 서문정상에서 산등성이로 내려 오면 역시 1시간 ~ 1시간 20 분 정도 소요 ,주소:경기 광주시 중부면 산성리 1042 |
첫댓글 갈봉이
100+ 인증할 경우에 3암문에서 500m 지점 봉암성 바로 아래 공터에 정상석이 설치되어 있음니다..^^ 3암문에서 원점회귀하면 20~30분 소요
이규상님외5명신청
박순경님외3명신청
김서현 참석요
참석할게요~
조순임 신청요
지인1명 신청요
박노길님 참석
강신붕님 신청요
우범순님참석
손재심님신청
참석 합니다
박정희님외 3명신청
김지미님신청
참석합니다^
최경희님참석
황광준님신청
참석 합니다
갑니다.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