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식연계]
................................
하기락 연보
1952 안의고등학교 설립, 재단이사장 취임
1952~1954 청마 유치환 시인을 안의중학교 교장으로 초빙
1953~1968 경북대학교 문리과대학 철학과 주임교수
1955~1958 청마 유치환 시인을 경북대 국문과 교수로 초빙(1학기 간 강희 후 사임)
................................
안의중학교(安義中學校)는 대한민국 경상남도 함양군 안의면 석천리에 있는 사립 중학교이다.
학교 연혁[편집]
................................
유치환의 정치적 실천 의지와 시적(詩的) 아나키 - 유치환 시의 사상적, 정치적 근거와 아나키스트로서의 생애 연구 - = Political Practice Will and Poetic Anarchy of Yu Chi-hwan - A study on ideological and political basis of Yu Chi-hwan`s poems and his life as an anarchist -
https://www.riss.kr/link?id=A102575761
2016
Korean
청마 ; 유치환 ; 아나키즘 ; 아나키스트 ; 아나키즘 문학 ; 시적 아나키 ; 독립노농당 ; Cheongma ; Yu Chi-hwan ; anarchism ; anarchist ; anarchism literature ; poetic anarchy ; Independent Labor Peasants Party
KCI등재
학술저널
361-388(28쪽)
4
http://dx.doi.org/10.22273/SMLT.67.15
제공처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그동안 알려진 바 없는 유치환의 생애와 사상적, 정치적 면모를 새롭게 발굴하여, 유치환 시의 이론적 근거와 새로운 시적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했다. 그동안 아나키스트로서 유치환의 생애와 문학에 대한 연구는 명확한 근거를 제시하지 못함으로써 논의를 확장시키지 못했다. 본 논문은 단주 유림이 주도하여 창당한 독립노농당과 유치환 사이의 관계 등을 밝힘으로써, 유치환의 생애와 문학에 나타난 아나키즘적 특성을 파악하고자 했다. 또한 유치환이 교장으로 재직한 바 있는 안의중학교의 설립배경 등 그동안 알려지지 않았던 새로운 사실을 밝힘으로써, 유치환의 아나키스트로서의 자의식을 실증적으로 제시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새로운 사실을 통해 유치환의 시를 아나키즘적 관점에서 파악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게 된다. 아울러 아나키즘과 관련한 기존 연구의 불명확한 부분과 오류를 수정할 수 있는 단초를 마련하게 될 것이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처음 밝혀지는 유치환의 생애적, 역사적 증거를 통해, 유치환 시의 친일 논쟁은 새로운 국면과 마주하게 된다. 유치환은 아나키즘을 단순한 관심 차원에서 피상적으로 인식하거나 받아들인 것이 아니라, 현실 정치와의 연계를 통해 아나키스트로서의 자의식을 확고하게 드러낸 시인이었다. 따라서 유치환 시에 대한 연구는 보다 확실한 근거를 통해 아나키즘과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제시할 필요가 있다. 그 이유는 유치환의 작품을 아나키즘 시로 분석하느냐 아니냐에 따라 그 의미와 가치 등이 전혀 다르게 파악될 수 있기 때문이다. 유치환은 아나키스트로서 확고한 사상적, 정치적 입장을 지니고 있었을 뿐만 아니라, 유치진, 유치상 등의 형제들과 함께 아나키즘 현실 정당인 독립노농당의 당원으로 활동하기도 했다. 독립노농당은 단주 유림이 주도하여 창당한 정당으로, 아나키즘을 현실 사회에 실현시키고자 했던 실천적인 아나키즘 현실 정당이었다. 또한 유치환은 단주 유림과 하기락 등을 비롯한 당대의 아나키스트들과도 긴밀하게 교류했으며, 앞에서도 언급한 바처럼 아나키스트들이 주축이 되어 설립한, 아나키즘을 중요한 교육 이념으로 삼았던 안의중학교 교장으로 재직하기도 했다. 그동안 유치환 시에 대한 아나키즘적 분석이 일부 이루어져 왔지만 합당한 근거를 제시하지는 못했다.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실증적 증거와 주장을 통해 유치환 시의 아나키즘적 특성은 근거를 마련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아나키즘 문학은 아나키즘이 지향하는 바를 구현하고자 한다는 점에서 확고한 사상적 기반을 토대로 창작되는 경우가 많다. 아나키즘 문학은 언제나 아나키즘이 지향했던 세계와 합일에 이르는 순간을 희망한다. 아나키즘 문학에 있어서 아나키즘은 단순히 취향과 지향에 대한 문제라기보다, 사상적 신념과 실천의 장으로서 기능한다. 그런 만큼 아나키즘 문학을 파악하는 데 있어서 작가의 아나키스트로서의 실천 의지와 사상적, 정치적 입장은 작품을 분석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요소일 수밖에 없다. 그런 점에서 아나키스트로서의 유치환의 면모를 새롭게 밝히는 일은 문학사적으로 매우 중요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