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직도 제 이름을 얻지 못한, 주왕지맥의 성안산, " 웰 컴 투 동막골 "영화 촬영지로 그나마 알려 졌다고 합니다, 그 전에는 삼방산 줄기의 한 무명봉이 었다고 합니다,
① 주왕지맥( 住王支脈 ), 쑥밭 재 부근( 附近 : 634.2봉 )부터, 영월군( 寧越郡 )과, 평창군( 平昌郡 )의, 군 경계( 郡 境界 )를 따라서 산행을 하게 됩니다, 2019년 6월 5일, 수요일, 6월 더위가 보통( 普通 )이 아닙니다, 거기에 더하여, 능선( 稜線 )에 씽크홀( 함몰지 )이, 지뢰( 地雷 )밭 모양, 듬성듬성 아가리를 쩍 벌리고 있다는, 위험 지역( 危險 地域 )을 통과( 通過 ) 합니다, 818.8봉, 오름 길, 봉우리를 오르는, 산길의 경사도( 傾斜度 )가, 상당( 相當 )히 가파르다고 합니다, 산행 길의 많은 부분이, 칼날 능선을 지나야 하고, 칼날 능선에는, 바위를 요리조리 피하며, 가야하는 곳도 있고, 작은 높이를, 내려가거나, 올라가야 하는 , 등등의 불편( 不便 )한 바위 길도 있습니다, 오랜 세월( 歲月 )의 숫한 사연( 事緣 )을 품고 있는, 두터운 낙엽( 落葉 ) 길, 낙엽아래 숨어있는, 잔 돌들도, 나그네의 산행 길을 더디게 합니다, 좌우( 左右 )로는 아찔한 심한경사, 아니면 절벽( 絶壁 ), 아래 계곡( 溪谷 )이나, 인가( 人家 )들이, 가물가물 내려 다 보이는, 산행 길, 그러나 산행의 피로( 疲勞 )를 한 순간( 瞬間 )에 잃게 하는, 조용한 평지( 平地 )나 둔덕길도 있습니다, 다른 하나의 고려 사항( 考慮 事項 )은, 산행( 山行 )을 마치고, 서울로 와야 하는, 교통편( 交通 )편의 시간( 時間 )도, 생각을 하여야 하고, 그래서 이번에는 산행거리( 山行距離 )를 짧게 잡아보았습니다,
② 강원도( 江原道 )라, 영월 평창, 산 높고, 골 깊은, 오지( 奧地 ) 중의 오지, 능선의 허리를 넘어가는, 안부( 鞍部 )인 재도, 그 높이가 상당히 높습니다, 현대적( 現代的 )인, 기술( 技術 )이 없던 시절( 時節 ), 고단한 굽이 길을, 힘들게 넘나들던, 민초( 民草 )들의 삶, 그 후로 기술이 발달( 發達 )되며, 안부의 밑으로는, 현대 식( 現代 式 )의 멋들어진 터널이 시원하게 달리고 있습니다, 오래 전( 前 ), 터널이 없던 시절, 안부( 재 )를 넘나들던, 영월 평창의 버스들이, 거의 터널을 통과하여, 다닌다고 합니다, 오래 전 같으면, 안부에서 버스를 내려, 바로 산행을 할 수 있었으나, 요사이는 적당( 適當 )한 곳에서 내려, 다리품을 팔아, 안부로 올라가야 합니다, 덤으로 산천경개( 山川景槪 ) 유람( 遊覽 )하며, 올라가는 즐거움도 있기는 합니다, 만 ??? 이번 산행 구간에는, 영월서 평창으로 오는 방향, 산행 시작 지점에, 밤 재 터널이 있고, 산행을 마무리하는 지점에 있는, 평창과 미탄( 美灘 )을 연결( 連結 )하는, 멧둔 재 터널이 있습니다,
③ 강원도 평창군 미탄면 율치리( 栗峙里 : 율치라는 말은, 밤 재의 한문 표현입니다, )에는, 2005년에 개봉( 開封 )하여, 흥행( 興行 )을 한 영화, “ 웰 컴투 동막골 ”의 촬영지( 撮影地 )가 있습니다, 이번 산행구간( 첨부 : 添附 : 한, 지형도의, 함몰지 : 陷沒地 : 부근 )과, 그리 멀지 않은 곳에 있다고 합니다, “ 웰 컴 투 동막골 ”을 촬영 한 후에도, 영화 “ 손님 ”, “ 남한산성 ”, 드라마 “ 육룡이 나르샤 ”, 그리고 “ 킹덤 시즌 2 ”, “ 녹두전 ” 이 촬영 되었던, 인기 세트장입니다, 관광객( 觀光客 )에게는, 요금( 料金 )이, 무료( 無料 )라고 합니다,
④ 이번 산행구간에 있는, 지명에 대하여....
율치( 栗峙 )는, 우리말로, 밤치 재라고 합니다, 이 고개는, 영월군 북면( 北面 )과, 평창군 미탄면 사이의, 군 경계 지점에 있습니다, 밤 치재에는, 밤나무가 많이 있었으며, 그로 인하여 생겨난 지명( 地名 )입니다, 조선시대( 朝鮮時代 ), 율치에는, 궁중( 宮中 )이나, 관아( 官衙 )에서, 사람이 죽으면 넣어서 장례( 葬禮 )를 치르던, 관( 棺 )을 만드는데, 사용( 使用 )을 하였던, 소나무인, 황장목( 黃腸木 )을, 무단( 無斷 )으로 베어내지 못하도록, 보호( 保護 )를 하는, 황장금표 비( 黃腸禁標 碑 )가 있었다고 합니다, 평창군 미탄면( 美灘面 )은, 다른 이름으로 미탄( 味呑 )이라고, 하기 도, 합니다, 미탄( 美灘 )이라는 지명은, 이 지역의 지세( 地勢 )가, 높은 산으로 둘러싸인, 산골짜기와 같은 모양을 하고 있어, 생겨났다고 하는 설( 說 )과, 이 지역을 흐르는, 강( 江 )의 이름이, 미탄 강이어서 생겨났다고 하는, 2가지 설이 있다고 합니다, 미탄면에 속( 屬 )하여 있는, 창리( 倉里 )라는 마을은, 조선말기( 朝鮮末期 )에 군량미( 軍糧米 )를 저장( 貯藏 )하는, 창고( 倉庫 )가 있었다고 합니다, 미탄치( 味呑峙 )의 다른 이름은, 멧둔재, 메뚠재, 면둔치( 綿屯峙 ), 미탄현, 미탄령( 味呑嶺 )이라고 합니다, 평창군 평창읍의 남쪽에 있는 고개입니다, 이 고개를 다른 이름으로 멧둔 재라고도 하는데, 이는 산세가 두루 뭉실하고, 크다는 뜻의, “ 메둔 ”과, 고개라는 이름이, 합하여 저서 생긴 이름이라고 합니다,
한국의 지명유래집, 서울 중부편, 영월군, 평창군에서 참조하였습니다,
1 산행년월일시 :
영월지방 날씨 : 2019년 6월 5 수요일 맑음 31/15(도), 미세먼지 : 나쁨
이후에 나오는 지점들의 명칭은, 첨부한 지형도의 " 웨이 포인트 명 " 과, 함몰지역, 그리고 기타 지점에 대한 명칭은, 첨부한 지형도, 첨부한 모자이크 사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2 산행 지가는 길 :
① 상계역 : 4호선->창동역 : 1호선->청량리역 1호선 하차( 下車 )->청량리역 역사( 驛舍 )로 이동( 移動 )->2019년, 6월 4일, 화요일, 23시 20분, 청량리 발, 강릉 행, 무궁화 열차에 승차( 乘車 )->
2019년, 6월 5일, 수요일, 01시 43분, 영월역 도착->역 주변에 있는, 세종장 여관에 숙박( 宿泊 )->
04시 30분에 일어나->준비한 샌드위치로, 아침식사->05시 00분에 세종 장 출발->
동강 변 도로를 따라 걸어감->영월대교 지나->영월 시외버스 터미널 도착->
주위에 있는 편의점에서, 불고기 버거, 새우 버거 구입->
05시 50분, 영월 시외버스 터미널에서 가까운 거리에 있는, 버스정류장에서 미탄 버스터미널을 거처, 마하 리 까지 가는, 버스에 승차->밤 재 터널 통과->밤 재로 올라가는, 지점에서 하차, 산행시작
② 영월 시외버스터미널에, 도착을 하여, 영월군 농어촌 버스 정류장( 시내버스 )에서 출발 하는, 버스의 출발지 지명을 보니, 고 씨 굴, 김삿갓, 녹전, 함백, 상동, 문산 방면으로 가는, 버스의 출발지라고, 쓰여 저 있습니다, 영월 시외버스터미널 인근에 있는, 편의점에서, 산행 중 먹을, 먹거리를 구입 한 후, 터미널 방향으로 오면서, 주민 한 분을 만나, 미탄으로 가는 버스 정류장의 위치를 물어 보니, 터미널 근처 사거리 건너, 김 약국 앞쪽에 있는, 버스 정류장에 가서, 버스를 타라고, 안내하여 주십니다, 김 약국 앞, 버스 정류장에, 도착을 하여, 여러 종류의 시내버스 안내 시간표 중, 하나의 시간표에, 한반도 면, 수주면, 북면, 남면, 주천면 방향으로 가는 버스는, 김 약국 앞 버스 정류장에서, 버스를 타라고 안내가 되어 있습니다, 05시 50분 버스가 도착을 하고, 버스에 승차를 하며, 기사 분에게, 밤 재 터널 지나, 밤 재정상으로 올라가는 지점에서, 버스를 세워달라고, 부탁을 합니다, 버스 승객은, 나 말고, 평창군 미탄면 마하리 로 가는, 한 분, 단 2사람이 승객의 전부입니다,
③ 06시 32분 경, 시내버스에서 내려, 산행 준비를 하고, 밤 재정상으로 걸어 올 라 갑니다. 상쾌한 산천의 아침 공기, 울창한 주위의 수목들, 멀리 보이는 멋들어진 산세, 행복한 감정에 감싸이며, 밤 재정상으로, 구불거리며, 올라가는 도로를 따라, 힘차게 걸어올라 갑니다, 한참을 올라가는 길, 앞쪽에서 새끼 고라니 인 듯한, 짐승이 인기척을 느끼고, 놀라서 황급히 도로를 횡단하여, 경사진 골짜기로 내려갑니다, 잠시 후, 어미 고라니 인 듯한, 짐승의, 경계 하는 듯한 울음소리가, 새벽 산천의 공기를, 날카롭게 가르며, 허공으로 울려 퍼집니다, 내 귀한 새끼에게, 접근을 중지하라는, 협조의 부탁 같기도 합니다, 인간들의 탐욕으로 인하여, 설 자리가, 점점 줄어드는, 야생 동물들의 슬픈 이야기를 듣는 듯합니다, 한 밤중 인기척이 없는 사이, 잠시 먹이를 구하려고, 한 모양입니다, 그런데 아침 일찍 산행을 즐기려는, 어리석은 한 인간이, 그들을 이렇게 불편하게 하였으니, 그저 미안하고, 죄송스러운 생각뿐입니다,
3 집으로 오는 길 :
① 멧둔 재에서, 창리 매점까지 내려와, 산행을 종료 합니다->미탄 택시를 불러->
미탄 버스터미널에 도착->마하 리 에서 오는, 영월 가는 버스에 승차->덕포 삼거리 하차->
걸어서 영월역->19시 02분, 정선에서 오는, 새마을 아리리 열차에 승차->21시 30분, 청량리역 도착->
지하 청량리역으로 이동->1호선 : 창동역->마을버스, 노원 05번에 승차
② 주왕지맥과 이별을 고하는, 멧둔 재정상에서, 미탄 방향으로 난 넓은 길을 따라, 구불거리며 한 없이 내려옵니다, 평창 어디에서나 볼 수 있는 울창한 수림과, 멀리 보이는 산천들의 파노라마, 군데군데 쉼터를 장만하여 주는, 나무들의 시원한 그늘 들, 산길은 아주 서서히, 그리고 느린 걸음으로, 고도를 점점 낮추어 갑니다, 뒤 돌아 보니, 까마득히 보이는, 멧둔 재정상, 아래로는 멧둔 재를 통과한 차량들의 굉음이, 서서히 가까워 저 오고 있습니다, 다 내려 온 지점, 미탄면 창리, 사육장 우리에 갓인 견공들이, 처량하게 군무( 群舞 )를 하듯이, 낯 설은 이방인( 異邦人 )을 보고 반갑다는 듯이 짓 어 댑니다, 그리고 창리 매점, 민박과 간단한 음료수를 파는 작은 매점입니다, 매점 인근에서 오늘의 산행을 종료합니다, 우선 갈증( 渴症 )을 풀어 줄 음료수 한 캔, 주인아주머니에게, 택시 연결을 부탁하니, 미탄에 있는, 개인택시를 불러 주신다, 이렇게 고마울 수가, 혹시 평창 산 산행시 참조하세요 !!!
미탄 개인 택시 : 전화 : 033-333-7789
오홍범 : 010-5370-9971
김영종 : 010-8795-8383
이국부 : 010-8781-4908
* 산행시간, 설명에 나오는 지점들에 대하여 :
산행 과정에서, 각각의 지점에 대한, 시간은, 조건에 따라, GPS의 ON/OFF 시간, 웨이포인트를 작성한 시간( 시, 분, 초 단위의 시간 ), 사진기로 이정표 등을 찍은 시간( 시, 분 단위의 시간 )으로 기록이 되어 있습니다, 설명에 나오는, 지점들에 대한 지점의 이름은, 웨이포인트 이름, 첨부 지형도를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4 산행시작 :
밤 재 터널 통과 후, 밤 재정상으로 올라가는 지점( 포인트 명 : 밤 재 터널 입구 ),
GPS ON : 06시 26분 30초
5 산행종료 :
평창군 미탄면( 美灘面 ) 창리에 있는 매점 근처,
GPS OFF : 16시 35분 24초
6 산행시간 : 10시간 08분 54초
7 산행거리 : 14.2197( Km )
모자이크 사진 :
8 이정표 통과시간( 숫자의 단위는 Km ) :
06 : 26 : 30 밤 재 터널 입구, 산행시작
06 : 32 밤 재 터널 입구에 있는, 밤 재 터널 500( 미터 ) 앞,
입간판 촬영
07 : 04 평창군 종합관광안내도 촬영
07 : 05 밤 재정상, 주왕지맥 산행 길 초입, 급경사의 오름길
( 포인트 명 : 밤재, 첨부한 모자이크 사진 참조 )
============================
“ 첨부한 모자이크 사진 참조 ”에 사진들은, 이번 산행을 하며, 필요 할 것으로 생각이 되는 여러 개의 사진들을 모자이크 모양으로 모아 놓은 것입니다, 산행기를 읽으시며 많이 참조를 하시기 바랍니다,
============================
08 : 03 폐광지역 위험을 알리는, 버려진 프라스틱 표시판
( 포인트 명 : 폐광지역, 첨부한 모자이크 사진 참조 )
===================================
08 : 14 산행 안내 밧줄, 함몰 지
08 : 27 함몰 지
08 : 31 함몰 지
08 : 32 함몰 지
08 : 42 산행 안내 밧줄, 함몰 지
08 : 53 함몰 지
08 : 55 산행 안내 밧줄, 함몰 지
08 : 56 산행 안내 밧줄, 함몰 지
( 포인트 명 : 함몰 지, 위험 함몰 지, 위험 함몰 지1은 함몰 지를 다 통과한 지점입니다,
첨부한 모자이크 사진 참조 )
능선의 산길 일부에는, 과거 인근에 있던, 광산에서 발파의 영향으로 보이는 듯 한, 함몰지가, 여러 군데 산재하여 있습니다, 추락의 위험성이 없는 작은 규모의 함몰지도 있지만, 상당히 깊고 위험한 함몰지도 있습니다, 함몰 지를 피하여 갈 수 있게, 가는 밧줄로 산행 길을 안내하여 놓았습니다, 그러나 밧줄이 조금은 오래 된 것 같아, 밧줄에 의지하여 산행을 할 경우는, 사용이 가능한지 확인을 하며, 산행을 하시기 바랍니다,
====================================
첨부 지형도의, 포인트 명 “ 위험한 함몰지1 ”부터 경사가 급하여 지며, 818.8봉 가까이는, 거의 직벽에 가까운 경사도를 보이고 있습니다, 함몰지에서부터 계속하여, 밧줄이 산행 안내 역할을 하여 주고 있으나, 이 밧줄을 의지하여 산행을 할 때는, 안전하게 사용을 할 수 있는지, 확인을 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12 : 07 성안산 정상, 해발 843.8( 미터 ),
다음 카페/새 마포 산악회 N054, 프라스틱 표시판 나무에 고정하여 놓음
( 포인트 명 : 성안산 )
14 : 17 철탑 촬영( 포인트 명 : 철탑 )
14 : 22 삼각점, 삼각점 이름은 보이지 않음( 포인트 명 : 삼각점 )
====================================
14 : 32 이정표, 삼방산정상( 2.1K ), 멧둔재 정상( 1.1K )
( 포인트 명 : 삼방산 정상 )
이 이정표가 있는 지점부터, 멧둔재 정상까지 경사도가 급한 내림길이 상당한 거리로 계속됩니다, 오래된 낙엽이 쌓여 있고, 바닥에 잔 돌이 있으면, 미끄러 질 수가 있습니다,
주의하여 산행을 하시기 바랍니다,
====================================
14 : 33 비실이 부부 리본 촬영
15 : 14 멧둔 재 정상, 이정표, 삼방산정상( 3.2K ),
위생환경사업소( 2.6K )( 포인트 명 : 멧둔재 )
15 : 15 멧둔 재 정상, 삼방산 등산로 안내 돌비석 촬영
16 : 35 : 24 창리 매점근처, 산행종료( 포인트 명 : 창리매점 )
9 지점 명에 대한 정보 :
지점 명( 地點 名 )에 대한 정보는, 산행시, 본인이 사용하는, 산행용 GPS( 익스플로리스트 710 )를 사용하여, 작성한, 웨이포인트( way point )를 트랙메이커( GPS TrackMaker )를 사용하여, 다시 한 번 작성하여 본 것입니다, 작성한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10 지형도로 본 산행경로( 첨부 지형도 참조 ) :
밤재터널입구->밤재->643.3봉->폐광지역 표시판->함몰지역->818.8봉->성안산( 838.6봉->858.0봉->철탑->삼각점->삼방산 정상( 삼방산 갈림길 )->멧둔재->내림길 굽이굽이->창리매점
주왕지맥_밤재터널통과후지점_밤재_성안산_멧둔재_창리매점.gpx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