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선전기의 지리지와 지도
지리지 - 관찬지리지, 통치자료, 백과사전식 기술 - 세종실록지리지, 동국여지승람
지도 -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 : 중화사상, 현존동양 최고(最古)의 세계지도
천하도 : 관념적 상상도, 중국 중심의 추상적 세계지도, 대부분 조선후기의 것이 남아있음
* 조선후기의 지리지와 지도
- 조선 후기 상업의 발달과 민족 주체성에 대한 각성이 이루어지면서 국토에 대한 정확한 지식의 필요성이 대두 → 과학적인 지리학이 자주적으로 발달
지도 - 동국지도(정상기) : 최초로 축척 사용 (백리척)
청구도(김정호) : 대동여지도의 모태가 된 대축척지도
대동여지도 : 청구도를 수정·보완하여 제작한 실측지도
지리지 - 택리지(이중환) : 가거지(可居地)를 체계적으로 서술
도로고(신경준) : 각 도의 역참과 도로망을 정리
아방강역고(정약용) : 우리 나라의 국경의 변천과 경계을 기록
< 조선 시대의 세계 지도 >
①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 : 김사형, 이무, 이회 등(1402), --현존하는 동양 최고의 세계 지도
② 천하도 : 중국 중심의 세계관이 반영된 관념적 세계 지도, --중세 유럽의 T - O 지도(기독교적 세계관)와 유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