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만을 중국으로부터 보호하고 싶다면 일본이 돈을 내놓으라" / 4/7(일) / 프레지던트 온라인
만약 트럼프가 미국 대통령에 재선될 경우 일본에는 어떤 영향이 있을까. 국제정치학자 시노다 히데아키 씨는 「트럼프 제2차 정권이 성립했을 경우에도, 「FOIP」나 「쿼드」로 상징되는 외교 노선을 대폭적으로 변경하는 것은 생각하기 어렵다. 그래도 더 구체적인 내실에 대해서는 크게 불투명한 요소가 남는다는 것이다.
■ 'FOIP'도 '쿼드'도 1차 트럼프 행정부 때 태어났다
트럼프 씨는 대통령 시절 일본 우파층에게 인기가 있었다. 그 큰 이유 중 하나는 대중정책이었을 것이다. 전임자인 오바마 대통령은 중국과의 초강대국 간 대립을 피하는 온건한 태도를 취하고 있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그것을 변경하고, 엄격한 자세로 중국과의 관계를 재검토하는 노선을 취했다.
아베 일본 총리가 주창하던 '자유롭고 열린 인도태평양(FOIP)' 개념에 동참했고, 각종 정부 문서에 그 개념을 담을 때도 트럼프 행정부는 중국에 대한 경계심을 숨기지 않는 태도를 취했다. 미국·일본·인도·호주라는 중국을 둘러싼 4개국이 '쿼드'로서 외교 협의를 계속·실시하는 구조를 만들어낸 것도 트럼프 대통령 시절인 2019년부터다.
「FOIP」와 「쿼드」는 바이든 대통령도 계승했기 때문에, 당파를 초월한 미국의 외교 노선이 되었다. 트럼프 대통령이 확립한 미국의 외교정책 지침은 드물다. 이에 대해서는 일본도 당사자로 참여하고 있어 관심을 갖지 않을 수 없다.
이런 경위를 감안할 때 트럼프 2차 행정부가 성립될 경우에도 FOIP나 쿼드로 상징되는 외교노선을 대폭 변경하기는 어렵다. 그럼에도 더 구체적인 내실에 대해서는 크게 불투명한 요소가 남는다.
그러나, 비록 예측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더라도, 일본에 있어서의 미국의 중요성을 생각하면, 여러가지 가능성은 검토해 두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 대중정책은 '무역전쟁' 중심으로
현재 트럼프 씨는 자신이 대통령 재직 시절 중국과의 무역전쟁에서 강한 태도를 취한 것이 미국에 이익을 가져다줬다고 거듭 주장하고 있다. 그리고 다시 대통령에 취임하면 재임 중 중국에 부과한 25%의 관세를 대폭 웃도는 60%의 관세를 새로 도입하겠다는 화려한 발언도 하고 있다.
선거운동 중의 발언이기는 하지만 기존의 미국 퍼스트 노선에 따른 암반 지지자층을 향한 발언이기 때문에 농담으로 받아들일 수는 없다. 가장 「거래」를 좋아하는 트럼프 씨 때문에, 실제로 이 정책을 추구할지 어떨지는 중국이 나서기 나름이라고 하는 곳도 있다. 코로나19 시기부터 경제가 부진한 상태에 있는 중국으로서는, 미국과의 치열한 「무역 전쟁」의 재래는 피하고 싶은 바일 것이다.
그렇다고 중국에 끊을 수 있는 유효한 카드가 있을까. 대만 문제는 물론 북한, 러시아와의 관계 등 안보와 관련된 분야에서 중국이 저자세로 대응할 것 같지는 않다.
트럼프 씨의 무역전쟁 도발을 중국이 받아 맞서는 태도를 보일 가능성도 있을 것이다. 트럼프 씨가 정말 관세 60% 등 본격적인 무역전쟁을 시작할 경우 일본 경제를 포함한 세계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어떤 것이 될지 좀처럼 상상하기 어렵다.
어쨌든 트럼프 행정부가 성립되면 미국은 안보상의 고려를 중심으로 동아시아 정책의 내용을 결정해 나갈 여유를 보이지 않게 되지 않을까. 「미국 퍼스트」 자세의 관철과, 그에 의한 중국과의 「무역 전쟁」의 격화는, 동아시아에 있어서의 미국의 안전 보장 분야에서의 중퇴를 초래할 우려가 강하다. 미국은 무역정책의 추진을 중심으로 동아시아 정책의 내용을 결정하고, 안보정책을 그 종속변수로 삼아 가는 것이 아닌가.
■ 계속 중국과의 '거래' 재료되는 북한
트럼프 1차 행정부가 큰 공을 들이면서 끝내 아무것도 성과를 내지 못한 것이 북한과의 관계다. 경제적 인센티브 등을 보여주며 핵무기 포기를 요구한 트럼프 대통령에 대해 김정은은 나름대로 대응은 했다. 적어도 미국 대통령에게 이례적이라고 생각되는 진지한 대응은 했다. 그러나 그렇다고 안보정책을 변경하는 데까지 설득되지는 않았다.
주의해야 할 것은 과거 트럼프 대통령이 주한미군 철수 가능성도 염두에 둔 협상 태도를 취하려 했던 것처럼 보였다는 점이다.
하기야 단번에 전면 철수하는 것은 역시 트럼프 대통령이라도 어려웠다. 아프가니스탄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은 철군 약속을 탈레반 측과 주고받는 데까지 했다. 다만 실제 전면 철군의 부담은 바이든 행정부가 짊어지게 되어, 결과적으로 바이든 행정부가 무참히 아프가니스탄 철군의 책임을 지게 되었다. 아프가니스탄 정세의 이후 추이를 보면 트럼프 2차 행정부가 만약 등장한다 해도 너무 안이한 주한미군 철수까지는 없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계속해서 한반도는 동아시아 안보의 '거래'의 재료가 될 수 있다. 중국의 북한에 대한 영향력을 깎아 가고 싶다는 생각을 트럼프가 가질 것 같지는 않다. 또한 북한이 좋은 관계를 가진 러시아와의 관계는 트럼프 씨가 호전시켜 나갈 것이다.
오히려 트럼프 씨는 안보 문제에 미국을 깊숙이 들이지 않고 한국의 자주방위 능력 향상을 요구하는 방향으로, 혹은 일본에도 관여를 요구하는 방향으로 한반도에서의 미국의 군사적 관여 정도를 줄일 가능성을 모색하는 것이 아닐까.
■ 대만 방위에 대해서는 일본의 역할 증대 요구
세계에 이름난 반도체 산업 등을 가진 대만을 중국에 내주고 싶은 마음까지는 트럼프도 갖고 있지 않을 것이다. 다만 트럼프 씨는 과거 대만의 반도체 산업이 미국의 반도체 산업을 압도하는 것을 높은 관세를 부과함으로써 막았어야 했다는 견해를 밝힌 바 있다. 안보로 미국 우산에 의존하고 있는 대만은 트럼프에게 중요한 '거래' 협상 의제가 될 것이다.
어쨌든 동맹관계를 중시하고 대만 방위에 관해 자주 심도 있는 발언을 했던 바이든 대통령 시절과 비교하면 트럼프 씨가 대통령에 취임할 경우 미국의 대만 관여 정도는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일본에서는 트럼프 씨가 대통령이 되면 주일미군 주둔 경비 부담 문제가 불거지는 것 아니냐는 사람이 많다. 그러나 실제로는 이미 일본은 주일미군 주둔 경비의 대부분을 부담하고 있어 그다지 늘지는 않는다. 보다 중요한 것은 일본에 주변 영역을 방위하는 능력을 높이는 요청을 해올 것인가이다.
일본의 방위비 배증의 흐름과도 맞물려, 대만 해협 위기의 가능성도 염두에 둔 일본의 도서 방위 능력의 향상을, 미국은 지금 이상으로 기대할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이라면 보다 구체적으로 미국 방위산업에 이익이 되는 형태의 일본 방위비 증대를 강력히 요구할 것이다.
■ 초강대국화해 중국과 경합하는 인도와의 관계는
다음 대통령이 임기를 다 채울 때까지의 향후 5년간 인도의 초강대국화는 계속 진행된다. 그 5년 안에는 인도가 국내총생산(GDP) 세계 3위 지위를 손에 넣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 그러한 변화는 국제사회에서의 인도의 정치력뿐만 아니라 군사력 증강에도 반영되어 갈 것이다. BRICS 등을 통한 대화의 기회는 유지하면서도, 인도는 중국과의 경합 관계를 강화해 갈 것이다.
인도의 초강대국화라는 국제정치의 구조전환에 미국 대통령이 어떻게 대응해 나갈지는 하나의 큰 주목점이다. 인도와의 관계를 중시해 중국을 봉쇄하자는 발상은, 「미국·퍼스트」의 트럼프 씨에게는 희박하다고 생각된다. 인도태평양 지역에서의 자유무역권 형성 같은 다자주의적 의제에도 아마 관심이 없는 것은 아닐까. 이미 트럼프는 자신이 대통령에 취임하면 바이든 행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인도-태평양 경제 틀(Indo-Pacific Economic Framework: IPEF)'에서는 이탈하겠다고 발언한 바 있다.
■ 미국과의 '군사동맹' 원치 않는 인도
다만 인도의 초강대국화가, 예를 들면 미국의 군사 산업을 윤택하게 하는 형태로 진행된다면, 트럼프 씨는 그것을 물론 환영할 것이다. 모디 총리 등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전면 침공에 비판적인 발언을 내놓기도 했지만 결국 인도는 러시아와의 관계 냉각은 계속 피하고 있다. 그 배경에는, 냉전 시대에 길러진 인도의 무기 체계의 러시아에의 의존이 있다고 한다. 하지만 인도는 이 상태에 만족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미국의 최신 무기 도입에는 관심을 갖고 있으며, 미국도 당연히 그런 인도의 움직임을 이미 환영하고 있다.
'미국 퍼스트' 트럼프 2차 행정부에서 군수산업을 접점으로 한 미국과 인도의 관계 강화 흐름이 가속화할 가능성은 있을 것이다. 쿼드에서는 군사문제가 논의된 적이 없지만 트럼프는 그런 관례에 얽매이지 않을 것이다. 애초에 트럼프가 인도와의 관계를 강화한다면, 그것은 (사이비) 군사 동맹을 형성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경제적 이익을 추구하기 위해서일 것이다.
그것은 인도의 기본적 자세에도 부합한다. 인도는 미국과의 군사 동맹은 원하지 않는다. 미국이 먼 곳에서 인도를 방어하러 올 리는 없고, 핵무기를 이미 자국에서 생산하고 있는 인도로서는 미국과의 동맹관계에서 얻을 수 있는 국방상 이익은 적다.
다만 인도 태평양 지역에서의 항행의 자유라는 의제에는 해군력 증강을 도모하고 있는 인도도 관심을 가질 것이다. 공동작전의 가능성은 염두에 두면서 무기체계 강화에 대한 관심을 통해 미국과의 관계를 진전시켜 나가는 정책은 인도에 있어서 합리적이다. 트럼프 씨와 인도 정부의 뜻이 맞아떨어져 양측의 군사적 협력관계에 더 나아가 일본과 호주의 참여가 요청되는 사태도 상상할 수 없는 것은 아니다.
■ '실리 강조' 외교정책으로 FOIP의 미래를 지켜라
트럼프 씨가 이념적 화두를 즐겨 거론하는 경우는 드물다. 이념적인 부분에 공명해, 트럼프 씨가 「FOIP」를 강하게 추진한다, 라고 하는 일은 일어날 것 같지 않다. 다자간 협조주의를 추진하는 틀로서 「FOIP」를 해석하려고 하는 바이든 행정부의 자세는, 트럼프 씨는 아마 계승하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트럼프가 FOIP에 강하게 관여할 가능성은 1차 정부 때와 마찬가지로 반드시 낮지는 않다. 일본으로서는 방위 노력 향상 요청이 큰 부담이 될지도 모른다. 그런데도 미국과 인도가 관계를 돈독히 할 때 'FOIP'의 틀을 통해 이에 관여하는 것에는 일본의 외교정책상의 이익도 있을 것이다.
트럼프 씨가 진짜 대통령이 될 경우에는 실리적인 관심을 화제의 중심에 두고 외교정책을 펴나가는 자세가 요구된다. 그러나 그것은 반드시 「FOIP」의 이념의 포기를 의미하지는 않는다. 트럼프 행정부가 출범했을 때일수록 세심하게 배려한 외교정책의 발전이 모색돼야 한다.
----------
시노다 히데아키 / 도쿄 외국어 대학 교수
1968년생. 와세다 대학 정치 경제학부 졸업, 동대학 대학원 정치학 연구과 석사과정 수료, 런던 대학(LSE) 대학원에서 국제 관계학 Ph.D취득. 전문은 국제관계론, 평화구축학.저서에 전쟁의 지정학(고단샤) 집단적 자위권으로 일본은 지켜진다 왜 '합헌'인가'(PHP연구소), '파트너십 국제평화활동: 변동하는 국제사회와 분쟁해결'(勁초서방) 등
----------
https://news.yahoo.co.jp/articles/a8fef4c88761e68c2f9cc552e36ff663b353327e?page=1
「台湾を中国から守りたいなら、日本がカネを出せ」トランプ大統領再選で想定される現実的なシナリオ
4/7(日) 12:17配信
142
コメント142件
プレジデントオンライン
ミシガン州の支持者集会で演説するトランプ元大統領(2024年4月2日) - 写真=AFP/時事通信フォト
もしトランプ氏がアメリカ大統領に再選した場合、日本にはどんな影響があるのか。国際政治学者の篠田英朗さんは「トランプ第2次政権が成立した場合でも、『FOIP』や『クアッド』に象徴される外交路線を大幅に変更することは考えにくい。それでも、さらに具体的な内実については、大幅に不透明な要素が残る」という――。
【写真】中華民国(台湾)軍が使用するMGLグレネードランチャー
■「FOIP」も「クアッド」も第1次トランプ政権時代に生まれた
トランプ氏は、大統領時代に、日本の右派層に人気があった。その大きな理由の一つは、対中政策であっただろう。前任者のオバマ大統領は、中国との間の超大国間対立を避ける穏健な態度をとっていた。トランプ大統領は、それを変更して、厳しい姿勢で中国との関係を見直す路線をとった。
日本の安倍首相が提唱していた「自由で開かれたインド太平洋(FOIP)」の考え方に賛同し、もろもろの政府文書にその概念を盛り込む際にも、トランプ政権は中国に対する警戒心を隠さない態度をとった。アメリカ・日本・インド・オーストラリアという中国を取り囲む4カ国が、「クアッド」として外交協議を継続・実施する仕組みを作り出したのも、トランプ大統領時代の2019年からだ。
「FOIP」と「クアッド」はバイデン大統領も継承したため、党派を超えたアメリカの外交路線となった。トランプ大統領が確立したアメリカの外交政策の指針は、珍しい。これについては日本も当事者として加わっており、関心を持たざるを得ない。
このような経緯を考えると、トランプ第2次政権が成立した場合でも、「FOIP」や「クアッド」によって象徴される外交路線を大幅に変更することは考えにくい。それでも、さらに具体的な内実については、大幅に不透明な要素が残る。
しかし、たとえ予測することがほとんど不可能であっても、日本にとってのアメリカの重要性を考えれば、さまざまな可能性は検討しておかざるを得ないだろう。
■対中政策は「貿易戦争」が中心に
現在トランプ氏は、自分が大統領在職時代に、中国との「貿易戦争」で強い態度をとったことが、アメリカに利益をもたらした、と繰り返し主張している。そして改めて大統領に就任したら、在任中に中国に対して課した25%の関税を大幅に上回る60%の関税を新たに導入するといった派手な発言も行っている。
選挙キャンペーン中の発言ではあるが、従来の「アメリカ・ファースト」の路線にそった岩盤支持者層に向けた発言ではあるので、冗談と受け止めることはできない。もっとも「取引」好きのトランプ氏ゆえに、実際にこの政策を追求するかどうかは中国の出方次第というところもある。コロナ禍の時期から経済が不調の状態にある中国としては、アメリカとの熾烈(しれつ)な「貿易戦争」の再来は避けたいところだろう。
とはいえ、中国に切ることができる有効なカードがあるだろうか。台湾問題はもちろん、北朝鮮やロシアとの関係など、安全保障に関わる分野で、中国が弱腰の対応をとってくるとは思えない。
トランプ氏による「貿易戦争」の挑発を、中国が受けて立つ態度を示す可能性もあるだろう。トランプ氏が本当に関税60%などの本格的な「貿易戦争」を開始した場合、日本経済を含めた世界経済への影響がどのようなものになるのか、なかなか想像はできない。
いずれにせよ、トランプ政権が成立すれば、アメリカは安全保障上の考慮を中心にして東アジア政策の内容を決めていく余裕を見せなくなるのではないか。「アメリカ・ファースト」の姿勢の貫徹と、それによる中国との「貿易戦争」の激化は、東アジアにおけるアメリカの安全保障分野での重しの減退を招く恐れが強い。アメリカは、貿易政策の推進を中心にして、東アジア政策の内容を決定し、安全保障政策をその従属変数としていくのではないか。
■引き続き中国との「取引」の材料になる北朝鮮
トランプ第1次政権が大きな労力を払いながら、ついに何も成果を出せなかったのが、北朝鮮との関係だ。経済的インセンティブなどを見せながら核兵器の放棄を求めたトランプ大統領に対し、金正恩はそれなりの対応はした。少なくとも、アメリカの大統領に異例と思える真面目な対応はした。かし、それでも安全保障政策を変更するところまで説得されることはなかった。
注意すべきは、かつてトランプ大統領が、在韓米軍の撤退の可能性も視野に入れた交渉態度をとろうとしていたように見えたことだ。
もっとも一気に全面撤退することは、さすがのトランプ大統領でも難しかった。アフガニスタンでは、トランプ大統領は、撤退の約束をタリバン側と取り交わすところまでをなした。ただし実際の全面撤退の負担はバイデン政権が背負うことになり、結果としてバイデン政権が無残なアフガニスタン撤退の責めを負うことになった。アフガニスタン情勢のその後の推移も見ると、トランプ第2次政権がもし登場したとしても、あまりに安易な在韓米軍の撤退までを行うことはないように思われる。
しかしそれにもかかわらず、引き続き朝鮮半島は、東アジアにおける安全保障の「取引」の材料になりうる。中国の北朝鮮に対する影響力を削(そ)いでいきたいという考えを、トランプ氏が持つとは思えない。また、北朝鮮が良好な関係を持つロシアとの関係は、トランプ氏は好転させていくはずである。
むしろトランプ氏は、安全保障問題にアメリカを深入りさせることなく、韓国の自主防衛能力の向上を求める方向で、あるいは日本にも関与を求める方向で、朝鮮半島でのアメリカの軍事的関与の度合いを減らす可能性を模索するのではないだろうか。
■台湾防衛については日本の役割増大を要求か
世界に名だたる半導体産業などを持つ台湾を、中国に差し出したいという気持ちまでは、トランプ氏も持っていないだろう。ただしトランプ氏はかつて、台湾の半導体産業がアメリカの半導体産業を圧倒するのを、高い関税をかけることで防ぐべきだったという見解を示したことがある。安全保障でアメリカの傘に依存している台湾は、トランプ氏にとって重要な「取引」交渉の議題になるだろう。
いずれにせよ、同盟関係を重視し、台湾防衛に関してしばしば踏み込んだ発言を行ったバイデン大統領の時代と比べれば、トランプ氏が大統領に就任した場合には、アメリカの台湾への関与の度合いは減っていくと思われる。
日本では、トランプ氏が大統領になると、在日米軍の駐留経費負担の問題が浮上してくるのではないか、と言う人が多い。しかし実際には、すでに日本は在日米軍の駐留経費の大半を負担しており、あまり伸びしろはない。より重要なのは、日本に周辺領域を防衛する能力を高める要請をしてくるかどうか、である。
日本の防衛費倍増の流れともからめ、台湾海峡危機の可能性も視野に入れた日本の島嶼(とうしょ)防衛能力の向上を、アメリカは今以上に期待するだろう。「トランプ大統領」であればより具体的に、アメリカの防衛産業に利益が出る形での日本の防衛費の増大を、強く求めてくるだろう。
■超大国化し中国と競合するインドとの関係は
次の大統領が任期を全うするまでの今後の5年間で、インドの超大国化は進み続ける。その5年のうちには、インドが国内総生産(GDP)世界3位の地位を手に入れている可能性が高い。そうした変化は国際社会におけるインドの政治力だけでなく、軍事力の増強にも反映されていくだろう。BRICSなどを通じた対話の機会は維持しつつも、インドは中国との競合関係を強めていくだろう。
インドの超大国化という国際政治の構造転換に、アメリカの大統領がどのように対応していくかは、一つの大きな注目点である。インドとの関係を重視して中国を封じ込めようといった発想は、「アメリカ・ファースト」のトランプ氏には希薄であると思われる。インド太平洋地域における自由貿易圏の形成といった多国間主義的な議題にも、おそらく関心がないのではないか。すでにトランプ氏は、自分が大統領に就任したら、バイデン政権が推進している「インド太平洋経済枠組み(Indo-Pacific Economic Framework: IPEF)」からは離脱すると発言している。
■アメリカとの「軍事同盟」は望まないインド
ただしインドの超大国化が、例えばアメリカの軍事産業を潤(うるお)す形で進むのであれば、トランプ氏はそれをもちろん歓迎するだろう。モディ首相らがロシアのウクライナ全面侵攻に批判的な発言をしたりしながらも、結局インドはロシアとの関係の冷却化は避け続けている。その背景には、冷戦時代に培われたインドの兵器体系のロシアへの依存があると言われる。だがインドはこの状態に甘んじているわけではない。アメリカの最新兵器の導入には関心を持っており、アメリカも当然そのようなインドの動きをすでにもう歓迎している。
「アメリカ・ファースト」のトランプ第2次政権で、軍需産業を接点としたアメリカとインドの関係強化の流れが加速する可能性はあるだろう。「クアッド」では軍事問題が話し合われたことがないが、トランプ氏はそのような慣例にはとらわれないだろう。そもそもトランプ氏がインドとの関係を強めるとしたら、それは(疑似)軍事同盟を形成するためではなく、経済的利益を追求するためであるはずだ。
それはインドの基本的姿勢にも合致する。インドはアメリカとの軍事同盟は望まない。アメリカが遠方からインドを防衛に来るはずはないし、核兵器をすでに自国で生産しているインドにとっては、アメリカとの同盟関係で得られる国防上の利益は少ない。
ただしインド太平洋地域における航行の自由といった議題には、海軍力の増強を図っているインドも関心を持つだろう。共同作戦の可能性は視野に入れながら、兵器体系の強化への関心を通じて、アメリカとの関係を進展させていく政策は、インドにとって合理的である。トランプ氏とインド政府の意向が合致して、両者の軍事面での協力関係に、さらに日本とオーストラリアの参加が要請される事態も想像できないわけではない。
■「実利強調」の外交政策でFOIPの未来を守れ
トランプ氏が理念的な話題を好んで取り上げることは、めったにない。理念的な部分に共鳴して、トランプ氏が「FOIP」を強く推進する、といったことは起こりそうにない。多国間協調主義を推進する枠組みとして「FOIP」を解釈しようとするバイデン政権の姿勢は、トランプ氏はおそらく継承しないだろう。
しかし、それにもかかわらず、トランプ氏が「FOIP」に強く関与する可能性は、第1次政権のときと同様に、必ずしも低くはない。日本にとっては防衛努力向上の要請は、大きな負担になるかもしれない。それでも、アメリカとインドが関係を深めていく際に「FOIP」の枠組みを通じてそこに関わっていくことには、日本の外交政策上の利益もあるだろう。
トランプ氏が本当に大統領になった場合には、実利的な関心を話題の中心に据えて、外交政策を展開していく姿勢が求められてくる。しかしそれは必ずしも「FOIP」の理念の放棄を意味しない。トランプ政権が成立したときこそ、きめ細かい配慮を施した外交政策の発展が模索されていかなければならない。
----------
篠田 英朗(しのだ・ひであき)
東京外国語大学教授
1968年生まれ。早稲田大学政治経済学部卒業、同大学大学院政治学研究科修士課程修了、ロンドン大学(LSE)大学院にて国際関係学Ph.D取得。専門は国際関係論、平和構築学。著書に『戦争の地政学』(講談社)、『集団的自衛権で日本は守られる なぜ「合憲」なのか』(PHP研究所)、『パートナーシップ国際平和活動:変動する国際社会と紛争解決』(勁草書房)など
----------
東京外国語大学教授 篠田 英朗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