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 중국사회의 제사
고대 중국사회는 제사지내는 일이 가장 종요한 일이었다.(모든 고대사회의 공통점이다) 어느 사회이든 그 사회에서 가장 중요한 일을 주관하는 자는 그 사회를 이끌어가는 지도자이고, 권력자이다.
제사를 지내려면 대상이 있어야 한다. 대상자는 강력한 힘을 가지고 인간에게서 일어나는 일을 죄지우지하는 힘(능력)을 가진 무엇이다.(이것도 실제로 존재하는 자가 아니고 인간의 상상력이 만들어 낸 존재이다. 그런 면에서는 인간에게 창조당한 자이니, 인간이 더 우위이다. 그래서 인간은 제사지내는 대상을 바꿀 수 있는 권세를 가진 자이다.)
중국에서 인간이 만들어 낸 최고의 초능력자를 上帝라고 하였다. 인간이 만들었지만 인간보다는 더 높은 위치에서 인간에게 일어나는 모든 일을 관리한다. 인간은 나쁜 일을 피하고 편안하게 살아가려면 상제의 기분이 틀어지지 않도록 비위를 맞추어야 한다. 그 방법이 제사이다.
이런 일이 갑골문에 기록되면서 역사가 되었다. 제사를 지낸 왕의 이름이 갑골문에 나타나면서 신화의 세계가 역사로 바뀌어 갔다. 갑골문이 쓰여진 상(은)나라 때이다.
‘황허’라는 눈에 보이는 대상에게 지내던 제사가 상제라는 눈에 보이지 않는 존재에게 제사를 지내는 방식으로 바뀌었다. 상제에게 제사를 지낸 기록도 상의 왕(지도자)인 무정(武丁)때까지 이다, 무정의 아들인 조갑(組甲) 때의 갑골문에는 상제에게 제사를 지낸 기록이 거의 나오지 않는다. 대신에 조상에게 제사를 지냈다는 기록이 나타난다.
갑골문의 자료에 의하면, 황허(구체적인 자연 대상물)에게 지내던 제사가 상제라는 눈에 보이지 않는 하늘의 신에게 제사를 지냈다. 상나라 왕 조갑 때가 되면 상제에게 올리던 제사가 자기의 조상에게로 바뀐다.
조상과 후손, 아버지와 아들 사이에 질서를 부여하는 것이 유가의 질서이다. 조상에게 제사를 지내면서 유교가 태어나는 발판이 만들어졌다.
그림설명 – 제사에는 제물을 바친다. 제물이 사람일 때는 인신공회이고
인지가 발달하면서, 동물 등으로 바뀐다.
기독교도 성경에 보면, 아들 이삭을 바치려다 양으로 바뀐다.
인간의 인지가 발달했다는 뜻이다.
땅에 피를 뿌리는 방식에서 술로 대산하는 것이 우리나라 제사이다.
이것도 인지가 발달한 결과이다.
첫댓글 제사의 유래 잘 알게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