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덕경 제3장 해설
不尙賢, 使民不爭. 不貴難得之貨, 使民不爲盜.不見可欲, 使民心不亂,是以
불상현, 사민부쟁. 불귀난득지화, 사민불위도.불견가욕, 사민심불란,시이
聖人之治, 虛其心, 實其腹, 弱其志, 强其骨,常使民無知無欲, 使夫智者不
성인지치, 허기심, 실기복, 약기지, 강기골,상사민무지무욕, 사부지자불
敢爲也,爲無爲, 則無不治.
감위야,위무위, 즉무불치.
*본문第三章= 어짊을 숭상치 않아서 백성으로 하여금 타투지 않게 하고 어렵게 득 하는걸 보화로서 귀하게 여기지 아니해서 백성으로 하여금 도적질 삼지 않게 하면 바르다하는 욕망을 보지도 못할 것이며 마음으로 하여금 어지럽지 않게 된다 이래서 성인의 다스림은 그 마음을 비우고 그 배를 알차게 하며(* 자기 베품을 생색치 않고 그 백성을 부유롭게 한다. 또는 한꺼번에 두 토끼를 잡을려 쫓지 않는다) 그뜻은 부드럽게 하고 그 골격은 굳세게 하며(*의지가 너무 굳으면 한골수로 빠지기 쉽기 때문에 되려 허술한 면이 있게되어 차분한 맛이나 건실한 면이 부족하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뜻을 부드럽게 하고 골격을 든든하게 쌓아 올리라는 것이다) 늘 상 백성을 부리대 아는 것도 없는 것 같이하며(*잘난 체도 말며 항시 겸 허 하란 뜻) 욕심도 없는 것 같이 할 것이니 (* 사람이 물욕이 너무 지나치면 심이 흐려 보인다는 것이다) 부리길 지식으로 한다는 것은 감히 그렇게도(*엄두도 내질) 하질 못 할 것이지만 하염없음 (*제절로 되는 것처럼 마음을 비우고 방관하는 듯한 자세로 임하여 일을 하면 무슨 얽매임이 있겠느냐 이다) 으로 하면 다스릴게 없다.
* 어짊을 숭상하려 들지 않음 백성으로 하여금 다투게 할 일이 없고, 얻기 어려운 財貨(재화)를 귀하게 여기지 않으면 백성으로 하여금 도적 되지 않게 하고, 그렇게 욕망을 보려들지 않는다면 백성으로 하여금 마음을 어지럽게 하지 않는다 이래서 성인의 다스림은 그 마음을 비우고, 그 배를 알차게 하고,[그 실속을 차리게 한다는 것이리라] , 그 뜻은 유연하게 하고, 그 근골은 강하게 하며, 늘 상 백성으로 하여금 앎이 없게 하고 욕망이 없게 한다 보고 듣는 게 많지 않다면 그만큼 물욕도 적다는 것이고 그래 순박하고 질박한 백성을 만들어선 편안한 자세로 삶을 영위하게 한다는 것이리라 , 대저 지혜로운 자로 하여금 구태여 하려들지 않게 하는 것이니 함 없음을 하게된다면 다스리지 못할게 없다할 것이다
蘇註소주
尙賢則民恥於不若而至於爭貴難得之貨則民病於無有而至於盜見可欲則民
상현즉민치어불약이지어쟁귀난득지화즉민병어무유이지어도견가욕즉민
患於不得而至於亂雖然天下知三者之爲患而欲擧而廢之則惑矣 聖人不然未
환어불득이지어난수연천하지삼자지위환이욕거이폐지즉혹의 성인불연미
嘗不用賢也 獨不尙賢耳未嘗棄難得之貨也 獨不貴之耳未嘗去可欲也 獨不
상불용현야 독불상현이미상기난득지화야 독불귀지이미상거가욕야 독불
見之耳 夫是以賢者用 而民不爭難得之貨可欲之事 畢效於前而盜賊禍亂不
견지이 부시이현자용 이민불쟁난득지화가욕지사 필효어전이도적화란불
起 是不亦虛其心而不害腹之實 弱其志而不害骨之强也哉 今將擧賢而尙之
기 시불역허기심이불해복지실 약기지이불해골지강야재 금장거현이상지
寶貨而貴之衒可欲以示之則是心與腹皆實也 若擧而廢之 則是志與骨皆弱
보화이귀지현가욕이시지즉시심여복개실야 약거이폐지 즉시지여골개약
也 心與腹皆實則民爭 志與骨皆弱則無以立矣 不以三者衒之則民不知所慕
야 심여복개실즉민쟁 지여골개약즉무이입의 불이삼자현지즉민부지소모
澹然無欲 雖有智者無所用巧矣 卽因三者之自然 而不尙不貴不見 所謂爲
담연무욕 수유지자무소용교의 즉인삼자지자연 이불상불귀불견 소위위
無爲也
무위야.
* 소씨는 주석을 달대. 어짊을 숭상하면 백성들이 그렇지 못함을 부끄럽게 여겨 다툼에 이르고 얻기 어려운 보화를 귀히 여기면 백성이 그걸 못가 진걸 병되게 여겨 도둑질함에 이르고, 욕망을 드러내 보이면 백성들이 얻지 못할까를 근심해서 어지러움에 이른다 비록 그렇게 천하에 이세가지 돌아감을 잘 알아서, 근심을 삼아선 들어내려했단 그만둔다면 의혹에 들 것이다. 성인은 그렇잖아서 일찍이 어짊을 쓰지 아니함이 없었으나 유독 어짊만을 숭상하진 않았고 또 일찍이 얻기 어려운 보화를 포기하진 않았으나 유독 그것만을 귀하게 여기지 않았고 일찍이 욕망을 바르게 함(*욕심의 성취)을 버리지 않았으나 유독 그것만을 틔겐 하지 않았다 대저 이래서 어짊을 썼어도 백성이 다투지 않고 얻기 어려운 보화의 일과 욕심을 성취하려는 일이 필히 앞의 뜻과 같음을 본받아서 도둑질 환란 등이 일어나지 않았다 이것이 또한 마음을 비우고 배를 채움에 해롭지 않게 한 것이고, 뜻을 부드럽게 하고 골격을 굳세게 하는데 해롭게 아니한 것이라 아니하리요? 이제 장차 어짊을 들어 숭상하고 보화를 귀하게 여기고 바르다하는 욕망을 자랑해 보인다면 이것은 마음과 뱃속이 다함께 (*검게)채워 진 것이라 이처럼 (*좋지 못한 것을) 드러내려다 그만두면 이것을 뜻과 함께 골격이 모두 유약해진 것이라 할 것이다. 마음과 배를 모두 채우려 들면 (*한 그물에 두 토끼를 포획하려들면) 백성이 다툴 것이고 (*베풀고 생색을 내던가 보상받을 심리를 갖는다면 백성이 그것을 보고 본받아 그대로 따라하려 들것이니 서로 이기성향에 의해 다툼사가 일게 된다는 것이다) 뜻과 골격이 모두가 유약해지면 설 수가 없다 이세가지를 자랑치 아니하면 백성이 어디 치우치게 정 붙칠데를 몰라 담백해진다. 그렇게 욕심이 없어지면 비록 간괴한 자라도 그 재주를 쓸데가 없을 것이다 곧 이 세 가지가 온 곳은(*因) 자연이라서 높일 것도 아니고 귀하게 여길 것도 아니고 눈에 띄게 틔는 것도 아니니 이를 일러 하염없음이라 할 것이다.(*하염없음이 한다, 또는 제절로 그렇게된다 할 것이다).
呂註여주
聖人知 夫美斯惡 善斯不善 而我無容心焉故 雖應天下之爵 因任而已 而
성인지 부미사악 선사불선 이아무용심언고 수응천하지작 인임이이 이
賢非所尙也 聚天下之財 養人而已 而難得之貨非所貴也 民之爭 常出於相
현비소상야 취천하지재 양인이이 이난득지화비소귀야 민지쟁 상출어상
賢知賢 非上之所尙則不爭矣 故曰擧賢則民相軋 民之盜常出於欲利 知貨非
현지현 비상지소상즉불쟁의 고왈거현즉민상알 민지도상출어욕이 지화비
上之所貴則不爲盜矣 故曰 苟子之不欲雖賞之不竊 君子之所欲者賢也 小
상지소귀즉불위도의 고왈 구자지불욕수상지불절 군자지소욕자현야 소
人之所欲者貨也 我皆不見其可欲則心不亂矣 然不尙賢者 非道於野而不用
인지소욕자화야 아개불견기가욕즉심불난의 연불상현자 비도어야이불용
也 不貴難得之貨者 非委之地而不收也 內不以存諸心 外不以遺其迹而已
야 불귀난득지화자 비위지지이불수야 내불이존제심 외불이유기적이이
矣 是以聖人之治也 虛其心實其腹 弱其志强其骨心藏神 而腹者心之宅 虛
의 시이성인지치야 허기심실기복 약기지강기골심장신 이복자심지택 허
其心則 神不虧而腹實矣 賢藏志 而骨者賢之餘 弱其志則 精不搖而骨强矣
기심즉 신불휴이복실의 현장지 이골자현지여 약기지즉 정불요이골강의
虛其心而腹實則 常使民無知也 弱其志而骨强則 常使民無欲也 智者知賢
허기심이복실즉 상사민무지야 약기지이골강즉 상사민무욕야 지자지현
非上之所尙 而貨非上之所貴 則爲之非所利 故不敢爲也 夫唯如此 則爲無
비상지소상 이화비상지소귀 즉위지비소리 고불감위야 부유여차 즉위무
爲 而無不治也
위 이무불치야
* 여씨는 주석하대. 성인이 무릇 아름다움과 더러움 및 착함과 착하지 못함을 알아서 스스로 마음(*我=자기=성인자신)에 (*그런걸 어느한쪽을 치우치게 들어)용납시킴이 없는지라 그러므로 비록 천하에 어떤 직분에 얽혀 든다하더라도 원인이나 사유(*因에)의해서 맡아서 할 따름이지 어짊을 (*숭상하는 건 아니다)숭상해서 그렇게 하는 건 아니다 또 천하의 재물을 걷워서 사람들을 먹여 기를 따름이지 얻기 어려운 보화를 귀하게 (*여기는 건 아니다)여겨서 그렇게 하는건 아니다 백성의 다툼이 늘 상 모양을 어짊 게 지을려 함에서 남이니 어짊이란 게 윗 되게 숭상할게 아닌걸 알면 겸쟁치 아니하리라 그러므로 말하건대 어짊을 드러낼려 하면 백성이 서로 삐그덕 거리게 되고(*불협화음이 남을 뜻함) 백성들이 도둑질하는 것은 늘 상 잇속에서 나온 것이라 보화가 윗 된 귀함이 아닌 줄 알면 도둑질하지 않으리라 그러므로 말하건대 진심으로 그대가 욕심이 없다면 비록 상줄려 들지언정 훔치려 들진 않으리라 (*그 마음을 채우려 들지언정 뭘 훔치려 들진 않을 것이란 뜻)
군자가 욕심을 내는 것은 어짊이라는 것이요 여 너 사람이 탐 익 하는 건 재물인데 저마다 그 바르게 탐함을 드러내지 않으면 마음이 어지럽지 않으리라 그렇게 어짊을 숭상하지 않는 자라해서 들판에 버린 게 있으면 쓰지 못할게라 아니하며 얻기 어려운 재물을 귀하게 여기지 않는 자라해서 땅에 버려진 재물을 줍지 않는 건 아니다 내적으로 마음에 존재치 않게 하고 밖으로 그 자취를 버리지 아니할 따름이다 이래서 성인의 다스림은 그 마음을 비우고 배를 채웠다 하는 것이며 그뜻을 부드럽게 가지곤 그 골격을 굳게 했다는 것이다. 마음이란 신성함을 갈무린 곳이요 배(*포)란 것은 마음의 집이다. 그마음을 비우면 신성함이 이지러지지 않고 배를 가득 채우리라 어짊은 의지를 갈무린 것이며
골격이란 것은 어짊의 여력이다(*어짊의 기세가 든든한 뼈대를 이룬상태). 그 뜻이 부드러우면 정령(*精靈)이 흔들리지 않고 골격이 강해진다 그 마음을 비우고 배를 채우면 늘 상 백성으로 하여금 간괴함이 없게함인 것이고. (*잔꾀를 쓰지 못하게 한다) 그 뜻을 부드럽게 하고 그 골격을 굳게하면 느상 백성으로 하여금 탐욕을 없게 함인 것이다 지혜로운 자가 어짊을 윗 되게 숭상할게 아닌 줄 알고 재물을 윗되게 귀하게 여길게 아닌줄 알면 하는 것마다 잇속을 챙기려 드는 게 아닐테니 그러므로 구태여 하려고도 않을 것이다 대저 결론이 이렇게 난다면 하염없는 것으로 하여서 다스리지 못할게 없다할 것이다.
朴註박주
尙尊尙之也 貴貴重之也 言上不尊尙賢能之士 則下無慕名 上人之心而爭
상존상지야 귀귀중지야 언상불존상현능지사 즉하무모명 상인지심이쟁
止矣 君不貴重難得之貨 則民無貪寶嗜利之心而盜息矣 如此者何也 凡人
지의 군불귀중난득지화 즉민무탐보기리지심이도식의 여차자하야 범인
不見可欲之物 其心不亂我不尙賢貴貨以 示可欲於民則 使民心不亂而自無
불견가욕지물 기심불난아불상현귀화야 시가욕어민즉 사민심불난위자무
爭盜之患矣 林氏曰 虛其心無思慕也 實其腹飽以食也 弱其志不趨競也 强
쟁도지환의 임씨왈 허기심무사모야 실기복포이식야 약기지불추경야 강
其骨養其力也 言聖人但使民飽於食而無他思慕力皆杜而無所趨競 故其民
기골양기력야 언성인단사민포어식이무타사모역개두이무소추겸 고기민
淳樸而無所知無所欲 雖其間有機巧之心者 亦不敢有所爲也 此聖人所以爲
순박이무소지무소욕 수기간유기교지심자 역불감유소위야 차성인소이위
無爲也 如此則天下無不治矣
무위야 여차즉천하무불치의
* 박씨는 주석을 달대. 숭상할걸 높이숭상하고 귀할걸 귀중히 여긴다는 것은 뭘 말하는 것인가? 위로는 높이 숭상할만한 어짊고 능력 있는 선비가 없음 아래로는 흠모해서 이름을 치켜 세울만한 사람이 없다 그렇게됨 마음에서 다툼이 그치게된다 는 것이다 임금이 얻기어려운 재물을 귀중히 여기지 않으면 백성이 보화를 탐익하고 잇속을 챙기려는 마음이 없어져서 도둑질함이 쉬게 될 것이다. 이렇게 되는 것은 어째서인가? 대저 사람이 욕심낼 물건이 눈에 띄지 않으면 그 마음이 어지럽지 않다 내(* 임금= 사회의 지도계층 모범자 귀감이 될만한 것을 실천하는 사람)가 어짊을 숭상하고 재물을 귀히 여기지 않음을 백성(*여너 사람)에게 보여서 욕망을 잠재우면 백성의 마음으로 하여금 어지럽지 않게 하는 것이 되어서 저절로 다툼과 도둑의 근심이 없어지리라
임씨가 말하길 그 마음을 비움 사모할게 없고 그 배를 채움 먹는게 풍요로움이며 그 뜻이 부드러우면 겸쟁을 따르지 않는다 그 뼈대가 강하다는 건 그 힘을 길러논 것이라 했다 말하건대 성인은 다만 백성으로 하여금 배불르 게 먹게 하여서 딴 생각을 먹지 않게 한다(* 왜냐? 고뇌는 모든 어지러움의 시발점이기 때문이다) (*달리 思慕할 여력이 없게 한다 로 되 있음). 모두가 건강하면 따라 겸쟁할 게 없는 까닭에 그 백성이 순박해져서 아는 것도 없고 욕심도 없다(*뭘 알려 함도 없고 욕심 부릴려 함도 없다= 이것이 飢寒엔 發道心 富貴엔 思淫欲이란 뜻의 유추를 해 볼진데 정면으로 배치되는 말이라 할 것이다. 인간은 빵만 가지곤 살수 없다에 배치되는 뜻이란 뜻이니 옛 잔주를 달아풀은 사람이 길이란 뜻을 해석함에서 뭔가를 착각한 것 같다) 비록 그사이에 (백가사상을 갖어) 기교를 부리는 사람이 나온다 하더라도 역시 어떻게 해보질 못하리라 (* 뭘 어떻게 할걸 감히 엄두도 못낸다는 뜻) 이는 성인이 하염없음을 하여서 (* 하염없는 원리 방식을 채택하여서)그런 것이니 이 같으면 천하 다스리지 못할게 없다 할 것이다. (*역자 추가설= 이글을 본다면 그저 사람이 개돼지처럼 무지랭이로 먹고살다 죽으라는 것이다. 그렇게 되면 無應生嗔恨 이니 해탈은 절로 된다는 뜻이다. 爲나 作이란걸 注知하는건 생각인데 생각이 마귀의 종자 사탄의 서두가 된다 생각으로부터 모든 고뇌가 일어 일체의 구분 짓는 게 일어나 고해의 늪에서 허덕이게 된다 그런 까닭에 爲作을 가리키는 사상 이끌고 갈려는 진취성향의 수직 사상 [(*이끎에 쫓고 따르고 쳐지고 앞서고 하는 경쟁사상)은 여기서 배격된다 즉 나는 하늘이니 나를 믿어라 그러면 너에게 복을 주리라 하는 서귀 이론은 배격된다는 뜻이다)=저들이 역자의 참말로 유추 해석함을 되려 획 뒤집어서 사탄이 꼬득이는데 넘어간 말이라 질책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