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Yesterday 2. Hey Jude 3. Love Me Do 4. Nowhere Man 5. Girl 6. Blackbird 7. And I Love Her 8. In My Life 9. Michelle 10. The Long And Winding Road 11. The Fool on The Hill 12. Across The Universe
앨범소개 비틀즈(Beatles)의 위대한 명곡들이 그레고리안 챈트의 따뜻하고 아름다운 목소리로 되살아난다. 아우스쿨타테(Auscultate)의 감동적인 비틀즈, Songs of the Beatles. 800여년의 유구한 역사를 자랑하는 덴마크의 올레보르그 수도원과 버글럼 수도원의 실제 수사들이 그레고리안 성가의 목소리로 불러낸 감동적인 비틀즈의 노래들... 비틀즈의 아름다운 멜로디에 그레고리안 챈트의 단선율 성부를 조화시켜 듣는 이를 감화시키는, 따스한 감동이 밀려오는 비틀즈 재해석!!. 가장 순수하고 아름다운 무공해적인 사운드로 채색해 낸 비틀즈의 대표적인 명곡 12곡들!!! * 비틀즈의 아름다움을 우아하게 드러낸 명곡 < Yesterday > * 경쾌한 록큰롤의 성스러운 변신 < Love Me Do > * 비틀즈의 새로운 발견 < Nowhere Man >
그레고리안 성가로 부활한 비틀즈, 그 안온한 위안 - 아우스쿨타테의 비틀즈 ■ Gregorian Chants 그 유구한 역사적 배경을 짧게 설명하자면, 그레고리안 챈트 혹은 그레고리오 성가라고 불리는 이 성가(聖歌)는 복잡한 화음구성이나 여러 성부(聲部)를 두지 않는 단 선율로 인해 플레인 챈트(Plain Chant)로 불린다. 단순히 설명할 수 없는 그레고리안 챈트의 유구한 전통은 다양한 기독교의 성가들 중, 특히 중세와 르네상스를 통해 종교음악의 다성 음악 (Polyphony)의 발전의 주요한 축이었다는 점에서 가장 중요한 양식의 하나로 평가되고 있다. 그레고리안 챈트는 성 그레고리오 대 교황 (Papa Gregorio Magno, 540~604)에 의 해 카톨릭 교회 최초의 공식 전례 성가(Cantus Liturgia)로 인준되면서 현존하는 수많은 서양 음악 중 가장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그레고리안 챈트라는 이름을 얻게 된 것은 지역별로 다양하게 나누어지고 분파되었던 당시의 성가를 재정립하면서 하 나의 성가집 로 묶게 되었는데 이를 두고 그레고리안 챈트로 부르게 된 것이다.
■ 아우스쿨타테 (Auscultate) 이 앨범의 주도적인 역할을 한 연주자 아우스쿨타테(Auscultate)에 대해선 아직까지도 제 대로 알려진 바가 없는 미스테리한 인물(!)이다. 음반을 제작한 음반사 역시 의도적이든 아니든 상관없이 그에 대해 그 어떤 정보나 자료도 배포하지 않았다. 한동안 그가 실제로 수사(修士)이며 아티스트라는 소문도 나돌았지만 여전히 확인된 것은 아무것도 없이 은일 (隱逸)한 상태로 남아있다. “듣다” 또는 “청진(聽診)하다”의 의미의 라틴어에서 그 이름 을 차용해 온 이 아티스트의 음악은 비록 수수께끼로 남아 있지만, 그 이름에서부터 따뜻함과 안온함을 주고 있다. 사실 이 앨범에서 그의 역할이 도대체 무엇인지는 알 수 없지 만, 가장 빛나는 부분은 역시 이 비틀즈의 노래를 평온한 그것으로 만들어 낸 목소리들이 다. 이 앨범에 참여한 목소리의 주인공들의 목소리가 매우 친근감 있게 들리는 것은 이들 이 정식 성악 수업을 받은 인물이 아닌 실제로 덴마크의 올레보르그와 버글럼 (Aalborg와 Bøglum) 수도원에서 수도 생활을 하고 있는 실제 수사(修士)들이기 때문이다. ■ And 비틀즈 이 수도원에서 실제로 수도생활을 하고 있는 수사들의 친근한 목소리는 그레고리안 챈트 라는 이름에서 전달하는 성스럽고 무거운 분위기와 달리 너무도 친근한 목소리로 비틀즈 의 명곡들을 들려준다. 재즈로 클래식으로 혹은 헤비메틀로 시대를 변화해 갈수록 더욱 다채로운 재해석의 근원이 되어온 위대한 비틀즈의 음악을 그레고리안 챈트의 방법으로 들어보는 것도 색다른 즐거움을 제공한다. 레오나드 번스타인이 또 하나의 클래식으로 칭송한 부터 국민적인 히트곡 와 에 이르기까지, 비틀즈의 다양한 곡들을 안온한 분위기에서 느낄 수 있도록 만들어 내었다. 또한 경쾌한 비트로 넘쳤던 같은 곡들이 평온한 그레고리안 챈트의 방법론으로 재탄생되고 있다.
■ 에필로그 성속(聖俗)의 경계를 넘어 비틀즈가 그려놓은 아름다운 바탕 그림위로 마치 아무런 채색 도 하지 않은 듯 담담히 들려주는 성스럽고 감미로운 성가의 이미지를 겹쳐놓은 이 앨범 은 그 어떤 화학적인 첨가제도 사용하지 않은 자연스러운 무공해의 음악으로 듣는 이를 자연스럽게 감화시킨다. 일상의 녹록치 않은 스트레스의 압박과 소음처럼 난무하는 음악들 사이로 이처럼 따뜻한 위안으로 다가오는 음반도 드물 것이다. 그것이 이 음반의 첫 번째 존재 증명원이다.
■ Gregorian chant 그레고리안 성가는 그레고리안 찬트(Gregorian chant)라고 하는데, 대그레고리오 교황의 이름을 따서 붙인 성가 형태이다. 물론 교황께서 그레고리오 성가를 모두 직접 만드신 것은 아니고, 그 분께서 당시의 성가들을 정리하도록 하셨기 때문에 그분의 이름을 기리기 위해서 붙인 이름이다.
■ History
그레고리안 성가는 원래 중세 유럽의 수도원에서 시작된 미사성가로, 무반주로 남성이 부르는 가톨릭교회의 전례음악이다. 7세기 초에 그레고리오 교황에 의해 그때까지 유럽지역에 구전 되던 음악들을 모아 채보한 것이므로(이 시기의 채보기법은 물론 오늘날의 오선기법과는 다르다)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음악인 셈이다. 그것이 8~14세기에 걸쳐 점차로 형성되어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그레고리안 성가집으로는 미사전례에 사용하는 [그라두알레](Graduale)와 [안티포날레](Antiponale)가 있다. 그라두알레는 독서 후 화답송(그라두알레는 ‘층계’라는 뜻으로 예전에는 화답송을 성가대가 층계에서 불렀기 때문에 '층계송’이라고 불렀다)에 부르는 것이고, 안티포날레는 주일미사나 대축일미사 때 회중이 두팀(교창)으로 나누어 한 구절씩 화답하는 교송 모음집으로 2,160여 가지의 곡이 수록되어 있다.
중세 이후에는 좀 더 복잡하고 다양한 미사전례곡이 등장하게 되면서 전통적인 그레고리안 성가가 쇠퇴하게 되었다. 그 이유는 전례의식의 순서가 확정되고 미사의 스케일이 커지면서 회중이 부르던 부분을 성가대가 대치하게 되고, 14세기 이후 미사곡이 다성음악으로 발전하면서 작곡가들이 통상미사 부분을 작곡하여 작품화하는 경우가 늘어났기 때문이다. 차츰 이러한 경향은 미사전례 음악을 예술작품으 변모시켰고, 민중의 생활음악이던 그레고리안 성가의 단순성은 사라지게 되어 그레고리안의 올바른 창법 마저도 잊혀지게 되었다. 연주회용 미사곡을 작곡한 작곡가는 바흐를 비롯하여 모차르트, 베토벤, 슈베르트, 리스트, 베를리오즈, 현대의 스트라빈스키에 이르기까지 음악사에 남아있는 모든 작곡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러나 그와는 상관없이 전 세계의 가톨릭교회에서는 매 주일마다 라틴어로 된 그레고리안 성가가 불려졌고, 성무일도의 양식도 유럽 각지의 수도원에서 원형 그대로 보존되었다. 이 흐름은 제 2차 바티칸 공의회(1962)에서 라틴어가 아닌 각 나라의 언어로 미사 드리는 것을 허락할 때까지, 무려 천 오백여년의 긴 세월 동안 이어진 것이다. 19세기 말에는 다시 솔렘 수도원을 중심으로 그레고리안 성가 부흥운동이 일어나 오늘날에는 솔렘식 창법이 정통 그레고리안 창법으로 인정되고 있다. 그레고리안성가는 중세에 있어서의 대표적인 음악이었을 뿐만 아니라, 모든 시대의 ‘폴리포니(다성부, 多聲部)’음악 작품의 핵심역할을 했으며, 정선율(定旋律)로서도 이용되어 왔다. 그래서 18~19세기의 음악작품, 예컨대 J.S.바흐의 [나단조 미사곡], L.H.베를리오즈의 [환상 교향곡] 등에서도 그레고리안 성가를 사용한 것이 적지 않고, 20세기의 음악에도 그레고리안성가 기법을 사용한 곡들이 있다. ■ 특징 그레고리안 성가의 언어는 원칙적으로 라틴어를 사용하며, 가톨릭 교회의 전례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가톨릭의 전례는 단순한 말보다 운율에 맞추어 낭송을 하는 것이 특징인데, 바로 이 운율을 가락으로 정리하여 낭송하는 형태의 음악이 그레고리안 성가라고 할 수 있다. 예전에는 미사 전례나 성무일도에 그레고리안 선율을 많이 이용하였는데, 오늘날에도 로마 베드로 성당에서는 대축일에 그레고리안 선율을 사용하며, 우리나라 에서도 주일미사 때 알렐루야를 그레고리안 선율에 맞추어 부르는 곳이 많이 있다. 악보는 네우마(neuma)라는 독특한 기보법이 전통적으로 사용되었으며, 오늘날에도 4선보의 네우마악보를 기본으로 삼고 있다.
■ 형태 그레고리안 성가의 종류는 [안티포날레](Antiponale), [레스폰소리아](Responsoria) 그리고 합창의 세 가지 형태가 있다. 안티포날레는 회중이 두 패로 나누어 한 구절씩 화답하는 교송이고, 레스폰소리아는 독창자와 회중이 교송으로 부르는 성가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