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형돈 입니다. 각론 문제 올려 드립니다.
1. 주거단지의 단위 중 작은 것부터 큰 순서로 올바르게 나열 된 것은?
가. 근린분구 - 근린주구 - 인보구
나. 근린주구 - 인보구 - 근린부구
다. 인보구 - 근린분구 - 근린주구
라. 근린주구 - 근린분구 - 인보구
답)다.
2. 연립주택의 형식 중 테라스 하우스(terrace house)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가. 테라스 하우스는 지형에 따라 자연형과 인공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나. 자연형 테라스 하우스는 평지에 테라스형으로 건립하는 것을 말한다.
다. 경사지일 경우 도로를 중심으로 상향식 주택과 하 향식 주택으로 구분할 수 있다.
라. 테라스 하우스는 경사도에 따라 그 밀도가 크게 좌우 된다.
답)나
3. 한식주택과 양식주택의 차이점에 대한 기술 중 잘못된 것은?
가. 양식주택은 실의 복합용도, 한식주택은 실의 단일용도로 되어 있다.
나. 양식주택은 실의 기능적 분화, 한식주택은 실의 위치별 분화로 구성되어 있다.
다. 일반적으로 양식주택은 조적조, 한식주택은 가구식으로 되어 있다.
라. 한식주택의 가구는 부차적 존재이며, 양식주택의 가구는 주요한 내용물이다.
답)가
4. 지하 2층, 지상 10층의 임대사무소를 계획할 때 다음 사항들 중 일반적으로 가장 부적당한 것은?
(단, 평면형은 25m× 60m의 중복도형)
가. 임대면적은 약 13,000m2로 계산한다.
나. 엘리베이터는 약 6대를 설치한다.
다. 건물의 높이는 40m 정도이다.
라. 2층 이상의 임대사무소에 수용되는 인원은 3,000~ 3,500명으로 본다.
답)라
해설) 이 문제는 자세한 숫치를 요구하는 것이 아니라 개략적인 숫치개념을 적용시 가장 큰 차이가 나는 것을 파악해야 한다. 따라서 정확한 값이 아니더라도 가정상 각론의 기본적인 내용을 이해하고, 풀어야 한다.
“가” 전체 바닥면적의 합계= 25x60x12=18,000제곱미터, 임대부분을 70%로 가정시 18,000제곱미터x0.7=12600제곱미터 정도
“나” 엘리베이터 대수는 1+6층 이상의 거실면적의 합계 / 2,000
=1+25x60x5(개략산정)/ 2,000=1+3.75=4.75, 즉 5대 이상 정도
“다” 건물의 높이는 4+3.5x9=35.5m, 또는 4m x 10층 = 40m 정도
“라” 2층 이상의 임대사무소 수용인원= 25 x 60 x 9개층/10제곱미터=1,350인. 또는 Rental Ratio를 고려하여 25 x 60 x 9개층 x 0.8 / 7제곱미터 = 1,542인 정도.
따라서, 지문중 가장 차이가 나는 것은 수용인원이 된다.
첫댓글 교수님..4번 문제 보기‘나’에서 엘리베이터 대수 산정 식은3000㎡ 이하 1대, 3000㎡ 초과 시 1+(A-3000)/2000 이것이 아닌가요?
흠....그 문제는 일단 1층서부터 5층까진 1대.....그리고 6층이상부터는 처음 3000m^2까지는 1대이므로 한 층당 면적이 1500m^2 인 이 건물에서는 6층,7층이 합해서 3000이고요 그럼 6,7층에 1대.....8,9,10층의 면적은 4500....헌데 3000이상부터는 2000마다 한대이므로 8~10층은 2.25대...올림해서 3대요....결론은 1~5층 1대, 6~7층 1대, 8~10층 3대....이렇게 총 5대..저기 해설은 제가 봐도 좀 이상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