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11. 29. 네이버 카페 오두막 지기.
2023년~2024년, 우주 및 생사, 시공의 이치 등 보다 가치있는 삶부터 맑고 밝은 세상, 더불어 고르게 잘 사는 사회까지 271개의 과제 수행 흔적. 특히, 후자와 관련하여 지나치게 늦어지고 있는 우리나라 주식 시장 및 부동산 시장 대세 상승과 관련하여 무기력, 무능력한 정부, 기업 등 경제 주체에 경각심과 분발을 촉구 함.
게으른 네이버 단칸 모옥 청소부 A-2.
2023. 11. 17.
식욕, 성욕 등에 관한 원론적, 피상적인 답변 도중 막간을 활용.. 물질적 인간다운 생활권 확보, 유지, 강화를 위해 인간, 국민의 기본적 본성 본능 중 하나인 물욕 및 이를 실현하는 수단 중 하나인 정치, 경제 등의 영역에 관한 과제 3.
과제, 목표 달성의 몸풀기 단계인 2024년과 2025년 우리 경제는 앞으로 장기 글로벌 경제의 핵심 산업 중 하나가 될 반도체 산업 및 고성능 AI와 첨단 고성능 반도체를 융합한 각종 완전 자율 전기 자동차, 배터리, 각종 의료, 바이오, 로봇, 빅 테크 등등의 산업에서 비약적으로 가격, 비가격 경쟁력을 강화해 나가야 한다. 우리나라 글로벌 초우량 기업 1년 매출고가 1000조, 수백조 원을 향해 꾸준히, 안정적으로 성장할 정도로.
2035년, 2040년 코스피 1~2만 포인트, 그 이상, 환율 달러 당 900~600원 대, 그 이하로 달려 나가야 할 과제의 중간인 2027년과 2030년 경에 코스피 1만 포인트 이상, 환율 달러 당 900원 이하가 될 정도로 강한 국민 경제를 만드는 것이 정부와 기업이 반드시 달성해야 할 경제 영역에 있어서의 기본 밥값 중 하나다. 지금의 100엔 800원대가 가능했듯 1 달러당 800원대, 그 이하도 불가능하지 않다.
장기 본격화될 한국 경제의 비약적 도약 과제, 목표 달성의 몸풀기 단계인 2024년 2025년까지 정부와 기업은 매년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기업 매출고와 영업 이익을 증가를 증명해 우리 주식 시장 등 금융 시장은 물론 실물 시장까지 대세 상승시키고, 국민의 소득, 자산을 크게 증가키는 것 또한 정부, 기업의 기본 밥값이다. 이하, 모니터링 된 관련 자료들.
2023년 11월 1일에 모니터링된 네이버 뉴스... 세계은행(WB) 최신 통계 기준으로, 미국의 1인당 GNI가 7만6370달러로 G7 국가 중 제일 앞섰고 △독일(5만3390달러) △캐나다(5만2960달러) △영국(4만8890달러) △프랑스(4만5860달러) △일본(4만2440달러) △이탈리아(3만7700달러)가 그 뒤를 따랐다. G7 국가와 우리나라의 작년 1인당 GNI는 적게는 1710달러, 많게는 4만380달러 차이가 난 것이다.
WB 통계 기준, 작년 韓國은 1인당 GNI 3만5990달러다. 2021년 국세청 통계 자료에 의하면, 귀속 근로소득 기준 상위 1% 근로소득자(19만9591명)의 총급여는 63조3295억원, 1인당 평균 급여는 3억1700만원으로 집계됐다.
2023.11.14.. .‘저출산·고령화로 한국은 끝났다’라고 평가한 日 언론...머니1이 통계청 자료를 인용해 제시한 한국의 GDP증가율은 1980년대 평균 8.88%에서 2000년대 4.92%로 급감했고, 2010년대 3.33%까지 떨어졌다. 그리고 2020년대에는 1.9%까지 추락했다. 머니1은 올해 1.9%였던 한국의 잠재성장률이 내년 1.7%로 떨어질 것이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전망치도 제시했다.
2023.11.14...교보증권은 지난 13일 발간한 '2024년 부동산 시장전망' 리포트에서, "아파트값 최대 30% 내린다‥ 지금부터 드라마틱할 것"...아파트 매물이 최근 급속히 늘고 경매까지 2016년 이후 최대치를 기록하면서 올 들어 반등하던 아파트값이 다시 하락세로 접어들었다는 전망이 힘을 얻고 있다. 이런 가운데 현재의 고금리 상황이 주택 가격에 반영될 경우, 장기적으로 아파트 가격이 현재 가격 대비 최대 30%는 더 내릴 수 있다는 분석이다.
2023.11.15... 피데스개발과 대우건설, 이지스자산운용, 한국자산신탁, 해안건축 등이 공동으로 더리서치그룹을 통해 수도권(서울, 경기, 인천) 주택 소유자 1000명 대상으로 '2023년 미래주택 소비자 인식조사'를 실시한 결과, 현 거주지의 향후 1년 부동산 시세 전망에 대해서는 지난해 5.1%보다 7.7%가 많은 12.8%로 올라갈 것으로 전망했다. 14일 주택산업연구원(주산연)이 발표한 11월 전국 주택사업경기전망지수는 전월보다 18.9p(포인트) 하락한 68.8이었다.
2023년 11월 17일에 모니터링된 자료.
2023년 11월 17일 부동산 단신 6.
22억 아파트가 석 달 만에 14억?‥서울 강남구 도곡동 도곡쌍용예가 전용 107㎡는 지난 4월 19억 5000만 원에서 이번 달 14억 원에 거래됐다. 도곡렉슬 전용 114㎡가 35억 원에, 도곡삼성래미안 전용 122㎡가 지난달 28억 원에 거래됐는데 각각 지난 7월, 9월 거래가 대비 4억 원 하락했다. 관악구 관악드림타운 전용 59㎡는 지난달 7억원에, 노원구 상계주공14단지 전용 45㎡는 지난달 23일 4억원에 손바뀜하며 소폭 내렸다.
반면, 서울 용산구 이촌동 래미안 첼리투스는 지난달 16일 47억2000만원(35층)에 거래되며 9월(43억998만원)에 비해 4억원 넘게 올랐다. 강남구 압구정 신현대(9·11·12차)는 지난달 5일 전용 183㎡가 69억5000만원에 손바뀜하면서 최고가를 다시 썼다. 강남구 대치동 미도아파트 전용 128㎡는 9월 38억8000만원으로 한 달 전(36억5000만원)보다 2억3000만원 뛰었다. 같은 달 전용 161㎡는 42억7000만원으로 최고가를 갈아치웠다.
서울 강남구 개포주공1단지 재건축 디에이치 퍼스티어 아이파크 전용 96.9㎡(38평) 입주권이 지난달 10일 38억원에 거래됐다. 경기도 과천시 별양동 과천자이 전용 59㎡는 이달 3일 15억원에, 중앙동 과천푸르지오써밋 전용 59㎡가 지난달 15억3000만원에, 광명시 일직동 광명역센트럴자이 전용 84㎡는 지난달 10일 전용 84㎡가 12억8000만원에, 철산역 롯데캐슬&SKVIEW클래스티지 전용 84㎡가 지난 9월 12억9700만 원에 거래되며 매매가 회복을 이어가고 있다.
경기도 하남시 감이동 더샵포웰시티 전용 90㎡은 지난달 2일 11억1000만원에 거래돼 신고가를 썼다. 학암동 힐스테이트센트럴위례 또한 지난달 7일 전용 92㎡, 전용101㎡이 각각 12억6900만원, 13억4500만원에 거래돼 최고가를 갈아치웠다. 반면, 서울 강북구 미아동 미아동부센트레빌 전용59㎡은 지난 9월 7억5500만원에서 지난달 26일 7억원에 매매됐다. 노원구 상계동 상계주공14단지 전용45㎡도 지난달 23일 두 달 새 2000만원이 떨어진 4억원에 새 주인을 찾았다.
서울 강남구 압구정 현대, 한양, 미성 재건축에서 압구정2구역과 4구역은 설계 업체를 최종 선정했고, 5구역도 설계 공모를 내고 설계 업체 선정 준비에 착수했다. 양천구 목동신시가지에서는 7·8·10·12·13·14단지 등 총 6개 단지가 신통기획을 추진하고 있고, 여의도 한양, 시범아파트 등도 신속통합기획 대상지로 선정됐다.
서울 용산구 한남뉴타운 3구역이 관리처분인가 후 주민 이주를 시작했고, 한남뉴타운 2·4·5구역도 사업에 속도를 내고 있다. 서울시가 성동구 성수전략정비구역 개발 가이드라인을 확정하고 아크로서울포레스트(49층)보다 30층 더 높은 77층 등 정비계획을 계획하고 있다. 동작구 노량진뉴타운 노량진6구역이 내년 일반분양을 목표로 하고 있다.노량진1구역과 3구역도 사업성이 좋고 노량진6구역과 2구역이 이르면 2026년 입주를 완료한다
연말까지 서울 강남구 도곡동 ‘래미안레벤투스’(308채·일반분양 133채), 대치동 ‘디에이치 대치 에델루이’(245채·일반분양 79채)와 서초구 잠원동 ‘신반포메이플자이’(3309채·일반분양 162채) 등에서 분양 예정이다. 이달 송파구 문정동 ‘힐스테이트e편한세상 문정’, 성동구 용답동 ‘청계리버뷰자이’도 분양한다. 송파구 잠실 진주아파트 재건축 신천동 ‘잠실래미안아이파크’, 강남구 청담동 ‘청담르엘’는 내년에야 분양할 것으로 보인다.
2023년 8월 17일에 모니터링된 자료.
2023년 8월 17일 부동산 단신 6.
같은 단지여도 '한강뷰' 누리려면 5억 더 줘야...용산구 이촌동 '래미안 첼리투스' 전용 124㎡ 18층 기준 한강 조망권을 갖춘 101동의 주택 공시가격은 25억~29억원대지만 단지 뒤쪽 103동은 24억~26억원대다. 강남구 압구정동 현대아파트도 한강뷰 전용 196㎡ 매매가는 지난 4월 기준 78억원으로 비한강뷰 시세보다 5억 이상 높다.
서울 서초구 반포 원베일리 전용 84㎡ 입주권은 지난 7월 45억9000만원에 거래돼 6월(37억1400만원)보다 9억원 올랐다. 인근 아크로리버파크(38억1000만원)나 래미안퍼스티지(34억5000만원)보다도 10억원 이상 높다. 한편, 강동구 고덕그라시움 전용면적 84㎡는 2021년 7월 전셋값이 10억원에서 이달 8억3000만원에 거래됐다.
"속도가 관건" 추진위 건너뛰고 조합설립 바람... 서울시 동대문구 청량리동 ‘미주아파트’는 최근 조합 직접설립제도 도입을 위한 주민 동의율 77%를 확보했다. 중구 신당10구역도 최근 조합 직접설립제도 도입을 위한 동의율 75% 이상을 달성했다. 이 밖에 중구 중림동 398번지 일대도 약 60%의 동의율을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동대문구 휘경5구역, 성동구 금호동3가 금호21구역도 주민 의견을 수렴 중이다. 이 제도를 도입한 후 금천구 시흥동 ‘남서울무지개아파트’, 영등포구 문래동5가 ‘문래진주아파트’는 사업시행인가를 획득한 후 관리처분인가를 기다리는 중이다. 양천구 신정동 ‘수정아파트’는 올 3월 서울시의 건축심의를 통과했다.
한 달 새 1억 뛰어...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행신동 ‘샘터2단지’ 전용면적 59㎡는 지난달 말 3억6000만원에, 인근 무원6단지 두산 전용 84㎡는 지난달 5억5000만원에, 행신동 ‘샘터2단지’ 전용면적 59㎡도 지난달 말 3억6000만원에 손바뀜했다. 지난해 초 고양장항 S1의 사전청약이 진행됐고 고양창릉S3 나눔형은 본청약 예정이다.
이달 DL이앤씨가 강동구 ‘e편한세상 강동 프레스티지원’(263가구)을, 포스코이앤씨는 ‘둔촌현대1차 리모델링’(가칭·572가구)과 ‘천호4구역’(가칭·670가구)’을 공급 예정이다. 경기 평택시 화양지구 6-2블록,광주시 광주연구개발특구 첨단3지구 A1블록 힐스테이트 첨단센트럴', 세종시 5-1생활권 L12블록 등도 분양을 앞두고 있다.
1000가구 이상 대단지... 부산 남구 우암1구역 재개발 ‘해링턴 마레’ 인천 계양구 효성동 ‘제일풍경채 계양 위너스카이’를 분양할 예정이다. 충북 청주시 ‘신영지웰 푸르지오 테크노폴리스’는 평균 73.75대 1, ‘서울 광진주 자양동 롯데캐슬 이스트폴’은 98.4대 1, 경기 광명 센트럴 아이파크도 18.9대 1의 1순위 청약 경쟁률을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