텍스트와 컨텍스트
Text and context
전통적으로 문학의 이미지는 저자의 생애, 취향, 정념에 집중되어 있었으며, 작품에 대한 설명은 언제나 작품을 만들어 낸 작가 쪽에서 모색되어 왔다. 바르트는 이러한 현상에 대해 '보들레르의 작품은 인간 보들레르의 실패이며, 고흐의 작품은 곧 그의 광기이며, 차이콥스키의 작품은 그의 악덕이라고 말한다.'라는 예를 들어 단적으로 표현하기도 했다.
그러나 현대에 들어서 작품은 저자와의 관계―창조물과 조물주의 관계로부터 텍스트, 즉 그 사회의 다양한 술화들의 공동작용이라는 개념으로 전환되었다. 물론 작품에는 작가의 세계관이 투영되어 있다. 그러나 바르트의 관점에서 바라본다면, 작가의 세계관 자체도 여러 가지 사회어들의 교차에 의해서 생성된 것으로서 텍스트 속의 여러 가지 다양한 언어 층위 중 하나의 위치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바르트는 텍스트에 대해 '하나의 유일한 의미, 즉 <신학적인>(신의 <메시지>인) 의미를 드러내는 단어들의 행으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그 중 어느 것도 근원적이지 않은 여러 다양한 글쓰기들이 서로 결합하며 반박하는 다차원적인 공간이다.'라고 정의하였다.
바르트 이후 텍스트라는 말은 후기구조주의자들에게 채택되어 기호의 무한한 놀이를 통해 의미를 산출하는 모든 담론을 가리키게 되었다. 광고, 그림, 도표 등등의 이미지나 메시지를 담고 있는 모든 기호체계가 텍스트 개념으로 파악된다. 광고 등의 사회에서의 의사소통적 텍스트와의 구별을 위해 문예물은 문학 텍스트, 혹은 허구 텍스트라는 명칭을 붙인다.
컨텍스트는 우리말로 '문맥', '맥락', '연관관계'를 뜻한다. 텍스트와 연관되는 모든 주변 상황을 말한다. 로트만은 텍스트란 저자와의 연관을 배제하고 의미를 산출하는 기호체계라고 규정한다하더라도 역시 사회적 컨텍스트를 고려할 때에만 텍스트란 무엇인가에 대한 물음에 대해 해명이 가능해진다고 하였다. 예를 들어 글의 화용론적 기능을 근거로 어떤 메시지 X가 문화적 컨텍스트 A에서는 텍스트로서 읽혀지는 반면, 컨텍스트 B에서는 그 의미가 근본적으로 바뀌거나 심지어는 전혀 텍스트가 아닌 어떤 것으로 되어버릴 수도 있다고 하였다. 따라서 텍스트에 대한 비평과 이해는 하나의 텍스트와 그것을 둘러싼 다양한 텍스트간의 상호적 과정에서 출발해야 한다. 따라서 텍스트와 컨텍스트에 관한 논의는 여러 종류의 텍스트들의 가공에 의해 생산되는 의미라는 차원에서 상호텍스트성에 대한 고찰로 이어진다.(노현주)
삶의 자리(sitzim leben)
320세기에는 궁켈(Gunkel)이 주창한 양식비평(Form Criticism)이 새로운 연구 방법으로 등장하였다. 궁켈은 구전(口傳)의 역사와 그것이 자료화된 때의 삶의 정황(Sitzim Leben)과 그것들의 문학적 양식(장르)들을 연구함으로써 구약 본문의 의미를 파악하려고 하였다. 1965년 아이스펠트(O.Eissfeldt)는 벨하우젠의 문서설과 궁켈의 양식비평을 사용하여 구약개론을 썼다.
이런 자유주의적 구약 연구에 대항하여, 19세기에 헹스텐베르크(E. W. Hengstenberg), 헤베르닉(H. A. C. Haevernick), 카일(F. Keil), 알렉산더(J. A. Alexander), 그린(W. H. Green)등은 보수적 입장에 서서 성경의 진리를 옹호하였고, 20세기에는 영(E. J. Young), 엉거(M. F. Unger), 아처(G. L. Archer, Jr.), 해리슨(R. K. Harrison)등이 보수적 입장에서 구약 개론을 썼다.
구약 언어에 관하여, 구약의 거의 대부분은 히브리어로 쓰여졌으나, 에스라 4:8-6:18; 7:12-26과 다니엘 2:4b-7:28은 아람어로 쓰여졌다. 셈어를 분류해보면, 북부 셈어는 아람어이며, 남부 셈어는 아랍어와 이디오피아어다. 동부 셈어에는 아카드어(주전 3,000년-2,500년경)를 비롯 바벨론어와 앗수르어가 있고, 서부 셈어에는 우가릿어, 페니키아어, 가나안어가 있고, 가나안어에서 히브리어와 모압어가 나왔다. 그 외에, 고대 근동 언어로 주전3500년경의 수메르어, 주전3000년경의 이집트어 등이 있다. 수메르어는 설형문자(쐐기문자,cuneiform)이고 이집트어는 상형문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