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더 영상과 낙뢰영상을 보다가 보기 드문 기상현상이 나타나고 있어서 글을 올립니다.
(약간 기상용어가 많아서 무시하는건 아니지만 비전공자나 기상에 입문(?)하는 회원님들에게 쉽게 다가가고자 자세히 설명을 적겠습니다^^ 보기 불편하시다면 해당 글은 삭제 하겠습니다)


충청도 지역에 다소 강하게 발달한 대류운(소낙성 강수)이 있습니다.
이로 인해 충청도 지역에 천둥번개를 동반한 강수가 내리고 있구요.
오늘 기상청 예보에서는 천둥번개 치는 곳이 있겠다 라는 문구가 없었습니다.
천둥번개가 칠 때 보는 예측장이 있습니다.

우선 SSI지수 입니다.
이건 대기불안정의 요소를 측정하는 자료인데 -6으로 갈수록 심하다는 의미 입니다.

위의 범위안에 들어야 뇌우가 가능하죠

그 다음은 K지수 입니다.
이 값은 보통 30이 넘어야 천둥번개를 동반한 뇌우가 가능합니다.
그런데 전남 서해상 일부에만 가능하다고 되어있지 내륙에서는 없었습니다.

개인적인 견해이지만, 남해상에서 서풍이 강하게 불고, 북쪾에서는 차가운 공기가 내려와도 온도경도(온도의 변화율)가 커짐에 따라 대기불안정이 심해지면서 2월에 천둥번개를 동반한 뇌우가 내렸지 않나? 생각이 듭니다.
감사합니다^^
첫댓글 고급정보네요!! 많이알아갑니다
감사합니다 좋은정보 많이 알아가요 날씨랑 심화버젼 화이팅
오~~~ 대단하세요 ㅎㅎ
ㄷㄷ 뭔 말인지는 모르겠지만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ㅋㅋ
특히 충청내륙 중 청원상주고속도로 기준으로 이런 현상 많이 잦더라고요
덤으로 하절기에 벌레테러로 인해서 차가 더러워 지다가 중간에 소낙비 맞으면 언제 그랬냐는듯이 깨끗해집니다.
하지만 그 쪽 으로 지나가다 보면 저도 모르게 무섭더라고요~~--;;;
아마 그 곳에는 백두대간 때문에 그럴꺼예요~
백두대간이 해발고도가 제법 높아서 대기가 쉽게 불안정 해지는거 같더라구요
뭐 겨울에도 천둥번개를 동반한 눈이 내리는 경우도 간혹 있습니다만
기상 예보라는게 변동성이 아주 크다보니 예측을 하지 못했나보네요 ㅎㅎ
2017년 1월 20일에 영동지방에 뇌설이 그 예이군요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