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율무_ 미백, 각질 제거,
얼굴빛을 환하게 해준다. 잡티를 없애준다. 도 있으니 임의로 쓰면 안 된다. 쉽게 이용해볼 만하다. 과가 있어서 외부 스트레스 및 공해로 시달리는 현대 여성들의 피부를 차분히
정리해준다. 우수하다. 건조한 피부에 활력을 불어넣는다. 감초와 함께 독일과 프랑스 등 유럽에서도 주목하는 약재로 에센스로 만들어 사용하는 피부연구소, 화장품 회사 등도 있다.
▶ 감초 :
세포재생, 알레르기, 해독, 진정, 소염작용 ■ 야채재료 - 감자 : 일광화상에 진정효과 ■ 과일재료 - 건성에 사용시 우유를 첨가하고 지성에 사용시 요쿠르트를 첨가한다. - 귤 : 기미, 건성, 미백 ■ 기름재료 - 행인류 : 기미, 노화 , 피부수축 9. 특수팩 ■ 모공수축 지성피부인 경우 피지분비가 많아지면 모공이 계속
넓어진다. 그런데 피지 분비량이 너무 많으면 모공이 피지 분비량을 따라가지 못해
모공이 막히게 되고 이로 인해 여드름이 생기기도 한다. 설사 여드름이 생기지 않더라도 모공이 커져 있는 상태에서 계속 분비되면 모공에 때가 끼어
전체가 거무튀튀하고 거칠어 보인다. - 얼음 찜질과 워터 스프레이 ①땀을 너무 많이 흘리지 않도록 하고 세안을
한다.
한약재와 천연 재료 이용한 피부관리-
피부를 맑고 깨끗하게 가꾸어주는 한약재에는 여러가지 종류가 있다. 피부에 윤기를 더해주는 당귀, 염증완화와 수렴작용이 있는 작약, 각질제거와 유연작용을 해주는 숙지황, 기의 순환을 원활하게 도와주는 생지황, 혈액을 맑게 하는 맥문동, 피부진정과 항염작용이 있는 지모, 염증완화와 자외선차단효과가 있는 감초 등이 그것으로 한방 화장품에 사용하는 주요 성분이기도 하다. 이외에 녹차나 생강, 꿀, 녹두, 쑥 등 한약재는 아니지만 예전부터 즐겨 먹던 아시아에서 나는 천연 재료들도 피부에 대한 신비한 효능이 입증되면서 화장품에도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 재료들을 이용해 한방차나 좌욕, 팩 등을 하면 피부를 윤택하게 가꾸는 데 효과를 볼 수 있다 | ||||||||||||||||||||||||||||||||||
약재 종류입니다.
[갈근(葛根)] 칡뿌리. [감초(甘草)] 콩과의 식물 뿌리. [강활(羌活)] 땅두릅의 어린 뿌리를 말린 것. [개자(芥子)] 갓의 씨앗. [결명자(決明子)] 긴강남차의 씨앗. [계지(桂枝)] 계수나무 껍질. [과려근(瓜呂根)] 노랑 하눌타리의 뿌리를 겨울에 채취하여 말린 것. [과려실(瓜呂實)] 노랑 하눌타리의 씨앗. [곽향(藿香)] 배초향의 잎과 줄기. [금은화(金銀花)] 인동꽃을 말린 것. [길경(桔梗)] 도라지 뿌리. [노봉방(露蜂房]) 말벌의 집. [녹각(鹿角)] 사슴의 뿔. [녹용(鹿茸)] 새로 돋은 사슴의 연한 뿔. [당귀(當歸)] 당귀 뿌리를 온수 처리하여 말린 것. [대조(大棗)] 대추를 말린 것. [대황(大黃)] 중국에서 나는 장군풀과의 식물 근경(根莖). [도인(桃仁)] 봉숭아 씨. [독활(獨活)] 땅두릅의 묵은 뿌리를 말린 것. [두중(杜仲)] 두중의 껍질. [마황(麻黃)] 마황의 줄기를 말린 것. [망초(芒硝)] 천연의 함수유산(含水硫酸) 나트륨. [맥문동(麥門冬)] 소엽맥문동의 뿌리를 말린 것. [모란피(牡丹皮)] 모란의 뿌리 껍질. [목통(木通)] 으름의 줄기. [박하(薄荷)] 박하 잎을 말린 것. [반비(反鼻)] 살무사의 껍질과 내장을 제거해 말린 것. [반하(半夏)] 반하의 겉껍질을 제거한 덩이줄기를 소금물에 우려서 말린 것. [백두옹(白頭翁)] 가는 잎 할미꽃의 뿌리를 말린 것. [백지(白芷)] 구릿대(향초)의 뿌리를 말린 것. [복령(茯笭)] 베어낸 소나무 뿌리에서 자라는 균핵(菌核). [부자(附子)] 바곳의 덩이뿌리를 가공한 것. 독약임. [빈랑자(檳?子)] 빈랑 나무의 열매. [사향(麝香)] 사향노루 수컷의 사향선 분비물을 말린 것. [산수유(山茱萸)] 산수유의 열매. [산약(山藥)] 참마의 뿌리를 말린 것. [산조인(山棗仁)] 산대추의 씨앗 [생강(生薑)] 생강 뿌리의 껍질을 벗겨 말린 것. [서각(犀角)] 코뿔소 뿔. [석결명(石決明)] 전복 조개의 조가비. [소자(蘇子)] 소엽의 씨앗. [시호(柴胡)] 시호의 뿌리를 건조한 것. [애엽(艾葉)] 산쑥 잎을 말린 것. [연교(連翹)] 연교의 열매를 말린 것. [연육(蓮肉)] 연꽃 열매 껍질을 벗겨 쪄 말린 것. [연호색(延胡索)] 양귀비 종류의 덩이줄기. [영지(靈芝)] 영지버섯. [오매(烏梅)] 덜 익은 매실을 훈제하여 건조시킨 것. [오미자(五味子)] 오미지의 열매를 말린 것. [우슬(牛膝)] 우슬의 줄기 등을 말린 것. [우황(牛黃)] 소의 쓸개 안에 생기는 응결물 [울금(鬱金) 열대 지방에서 나는 생강의 땅 밑 뿌리. [웅담(熊膽)] 곰의 쓸개 말린 것. [위령선(威靈仙)] 참으아리 뿌리 [의이인(薏苡仁)] 율무의 씨앗 껍질을 벗긴 것. [익모초(益母草)] 익모초의 잎. [인동(忍冬)] 인동잎을 따서 말린 것. [인삼(人蔘)] 인삼의 뿌리. [인진고(茵蔯고) 사척쑥의 이삭을 말린 것 [작약(芍藥)] 함박꽃의 뿌리를 양건한 것. [저령(??)] 저령의 균핵(菌核). [전호(前胡)] 전호, 또는 바다 나물의 뿌리를 말린 것. [진피(陳皮) 밀감의 껍질을 말려 오래 놓아둔 것 [진해(津蟹)] 중국산 게를 불에 쬐어 말린 것. [차전자(車前子)] 질경이 씨앗. [천궁(川芎)] 천궁 뿌리를 말린 것. [천남성(天南星)] 천남성과 식물의 줄기. [천문동(天門冬)] 천문동 뿌리를 쪄서 말린 것. [축사(縮砂)] 생강과 식물의 씨앗 덩어리. [출(朮)] 삽주(창출)의 뿌리. [치자(梔子)] 치자나무의 익은 과일을 가볍게 쪄서 말린 것. [택사(澤瀉)] 택사의 덩이 줄기. [패모(貝母)] 산갓 백합의 비늘 줄기를 약처리한 것. [하고초(夏枯草)] 꿀풀의 꽃이삭을 늦여름에 채취하여 바로 말린 것. [하수오(何首烏)] 하수오의 뿌리. [해인초(海人草) 바닷말 해인초를 말린 것. [행인(杏仁)] 살구 씨. [향부자(香附子)] 향부자의 땅밑 줄기를 말린 것 [현삼(玄蔘)] 현삼의 뿌리. [형개(荊芥)] 정가의 풀 전체를 말린 것. [홍화(紅花)] 잇꽃의 꽃잎을 따서 말린 것. [황금(黃芩)] 황금의 뿌리. [황기(黃耆)] 황기 풀의 뿌리. [황랍(黃蠟)] 밀랍 [황련(黃蓮)] 황련의 뿌리줄기를 말린 것. [황백(黃柏)] 황백나무의 속껍질을 말린 것. [회향( 茴香)] 회향의 과일. [후박(厚朴)] 일본 목련의 껍질. [감국(甘菊)]들국화 말린것. [감수(甘遂)] 대극과 의 감수 근경을 건조한 것. [강황(薑黃)]생강과의 강황 근경을 건조한 것. [건지황([乾地黃)]현삼과의 지황 괴장근(굵고 길쭉하게 생긴 뿌리) 을 말린 것. [경분[(輕粉)]수은을 승화법으로 제성한 염화제일 수은의 결정성 분말. [계지[(桂枝)]게수나무의 세가지를 잘라 말린 것. [계피[(桂皮)]계수나무의 껍질. [계심[(桂心)]육계의 코르크 층을 제거 한 것. [고본[(藁本)]고본의 근경을 건조한 것. [교이[(膠飴)]쌀로 만든 엿. [관동화[(款冬花)]관동의 화뇌를 건조한 것. [구기자[(枸杞子)]구기자 나무 열매를 말린 것. [구판[(龜板)]거북이의 껍질. [금앵자[(金櫻子)]금앵자의 성숙 과실을 건조 한 것. [나복자[(羅蔔子)]무씨 [단삼[(丹蔘)]단삼의 근을 건조 한 것. [대극[(大戟)]경대극의 괴근을 건조 한 것. [대두황권[(大豆黃券)]콩나물 말린 것. [대복피[(大服皮)]빈랑피 말린것. [동충하초([冬蟲夏草)]맥각균과 동충하초균의 자실체와 기생유충의 사체를 건조 한 것. [등심초[(燈心草)]등심초과 등심초의 경수를 건조 한 것. [마두령[(馬兜鈴)]마두령의 성숙과실을 건조 한 것. [만형자[(蔓刑子)]단엽만형의 성숙한 과실을 건조한 것. [맥아[(麥芽)]보리를 싹을 티워 말린 것. [모려[(牡蠣)]굴 겁질을 추말한 것. [목과[(木果)]모과를 말린것 [목단피([牧丹皮)]목단 뿌리의 심을 빼고 건조한 것. [목적[(木賊)]목적의 전초를 건조한 것. [목향[(木香)]광목향의 뿌리를 건조한 것. [밀몽화([密蒙花)]마전과 밀몽화의 화서 및 봉우리를 건조 한 것. [방기[(防己)]방기과 분부기의 뿌리를 건조 한 것. [방풍[(防風)]산형과 방풍의 뿌리를 건조 한 것. [백강잠([白彊蠶)]누에 말린 것 [별갑[(鼈甲)]자라껍질. [복분자([覆盆子)]딸기 말린 것. [사삼[(沙蔘)]더덕을 말린 것. [사과락([絲瓜絡)] 수세미 말린것. [산사육[(山査肉)]산사를 썰어 말린것. [상백피[(桑白皮)]뽕나무 뿌리의 껍질을 말린 것. [상심자[(桑甚子)]오디를 말린 것. [상지[(桑枝)]산 뽕나무 가지를 말려 썰은 것. [상엽[(桑葉)]뽕나무입을 말린 것. [상표초([桑標哨)] 뽕나무 벌래의 집. [생지황[(生地黃)]지황의 괴장근을 건조하거나 가공하지않고 생것으로 쓸때. [석고[(石膏)]석고를 법제하여 식용화 한것. [선퇴[(蟬退)]매미가 허물을 벗은 껍질. [숙지황([熟地黃)]지황의 괴장근을 구중 구폭의 법제 방법으로 익힌 것. [영양각[(羚羊角)]영양의 뿔. [오가피[(五加皮)]오가피 나무의 가지를 말린 것. [오공[(蜈蚣)]지네 말린 것 [오적골([烏賊骨)]오징어의 뼈. [용골[(龍骨)]공용의 화석에서 나온 각화화석 분말. [전충[(全蟲)]사막에서 나오는 전갈을 잡아 법제 한 것. [죽여[(竹如)]대나무의 껍질을 벗겨 말린 것. [지골피([地骨皮)]구기자 나무뿌리의 심을 빼고 말린 것. [총백[(蔥白)]파의 흰부분. [해구신([海狗腎)]물개의 생식기를 건조한 것. [해송자[(海松子)]잣. [호골경[(虎骨輕)]호랑이의 앞다리 뼈. [황정[(黃精)]둥굴레 말린 것.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