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설날에 관한 글 모음 **
☆ 설' 의 뜻
음력 1월 1일 정월 초하루를 '설날' 이라고 합니다.
'설' 은 "사린다, 사간다." 란 옛말에서 유래한 것으로 "삼가다, 조심하다." 의 뜻을 가지고 있으며,
"쇠다." 는 "몸가짐이나 언행을 조심하여 나쁜 기운을 쫓아낸다." 는 말입니다.
즉 설날은 일년 내내 탈 없이 잘 지낼 수 있도록
행동을 조심하라는 깊은 뜻을 새기는 명절입니다.
'설' 을 언제부터 쇠기 시작하였는지는 정확한 기록이 없어서 잘 알 수가 없지만, 중국의 사서에 있는 "신라 때 정월 초하루에 왕이 잔치를 베풀어 군신을 모아 회연하고 일월신(日月神)에게 배례했다." 는 내용으로 보아 상당히 역사가 오래된 것은 분명합니다.
그러나 구한말인 1895년에 양력이 채택되면서
그 빛이 바래기 시작했고 1985년 "민속의 날" 로
지정, 이후 설날 명칭을 되찾아 사흘간의 공휴일로
결정되어 오늘에 이르렀습니다.
아직도 구정(舊正)이라고 하는 이들이 있습니다.
구정이란 이름 그대로 옛 '설' 이란 뜻입니다.
구정은 일제가 한민족의 혼과 얼을 말살시키기 위해 신정(新正)이란 말을 만들며 생겨났습니다.
모두 일본식 한자어이며 설날이 바른 표현입니다.
조선 총독부는 1936년 "조선의 향토오락" 이란 책을 펴내 우리의 말, 글, 성과 이름까지 빼앗아 민족문화를 송두리째 흔들어 놓았고, 이 때부터 '설' 도 구정으로 격하해 우리 민족정신을 말살시키려 했습니다.
이제부터는 꼭 설날이라 하시고 " '설' 잘 쇠십시요, 쇠셨습니까?" 로 불러 주시길 부탁 드립니다.
그리고 떡국은 나이 한 살 더 먹으라는 게 아니라,
희고 뽀얗게 새로이 태어나라고 만든 음식입니다.
순백의 떡과 국물로 지난 해 묵은 때를
씻어 버리는 것입니다.
즉 순백은 계절에 흰 한복을 입고 흰떡을 먹으며,
묵은 그림을 버리고 하얀 도화지에 한해의 새로운
그림을 그리는 것과 같은 의미입니다.
☆ 설날의 의미
설은 음력 정월 초하룻날로 한 해의 첫날 전후에 치루는 의례와 놀이 등을 통틀어 가리키는 말로 쓰이기도 한다.
옛 기록들에 의하면
원일(元日) · 원단(元旦) · 원정(元正) ·
원신(元新) · 원조(元朝) · 정조(正朝) ·
세수(歲首) · 세초(歲初) · 연두(年頭) ·
연수(年首) · 연시(年始)라고도 하는데
이는 대개 한 해의 첫날임을 뜻하는 말이다.
설은 묵은 해를 보내고 새해 첫 아침을 맞는 명절이다. 따라서 사람들은 새로운 기분과 기대를 가지고 명절을 맞았다.
☆ 설날의 유래
설이라는 말의 유래는 정확하게 밝혀져 있지 않고
있다. 다만, 이에 관한 여러 의견이 있는데
삼간다는 뜻으로서, 새 해의 첫날에 일 년 동안
아무 탈 없이 지내게 해 달라는 바람에서 연유
했다는 견해와,
‘섦다’의 뜻에서 유래된 뜻으로, 해가 지남에 따라
점차 늙어 가는 처지를 서글퍼 하는 뜻에서 생겼을 것이라는 견해, ‘
'설다, 낯설다’의 의미로 새로운 시간주기에 익숙하지 않다는, 그리하여 완전하지 않다는 의미에서 생겼다는 견해,
한 해를 새로 세운다는 뜻의 ‘서다’에서 생겼을 것이라는 견해,
마지막으로 설이라는 말이 17세기 문헌에 ‘나이, 해’를 뜻하는 말로 쓰여진 것으로 보아 ‘나이를 하나 더 먹는 날’의 의미를 가진 것으로 보는 견해가 있다.
우리나라에서 설에 관련한 기록은 삼국시대부터
찾아 볼 수 있다. 삼국사기에는 백제에서는 261년에 설맞이 행사를 하였으며, 신라에서는 651년 정월 초하룻날에 왕이 조원전에 나와 백관들의 새해 축하를 받았는데 이때부터 왕에게 새해를 축하하는 의례가 시작되었다고 쓰여 있다.
설은 일제 강점기에 양력을 기준으로 삼으면서
강제적으로 쇠지 못하게 하였으나, 오랜 전통에
의해 별 실효가 없었다.
이러한 정책은 광복 후에도 그대로 이어져 제도적으로 양력설에 3일씩 공휴일로 삼았으나, 오히려 2중과세의 문제가 사회적으로 대두되기 까지 하여
1985년 ‘민속의 날’이라는 이름으로 정하여 공휴일이 되었다가 사회적으로 귀향인파가 늘어나면서부터 본격적인 설날로 다시 정착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 까치설 유래
"까치 까치 설날은 어저께고요
우리 우리 설날은 오늘이래요"
우리가 어릴때 흥겹게 불렀던 설날 노랫 말이다.
설하면 떠오르는 이 노래는 윤극영(1903~1988)
선생이 작사 작곡한 '설날'에(1924) 불렀던 노래
이다.
까치설이 왜 설 전날 섣달 그믐날 수 많은 동물과
조류들중에서 까치만의 설이 되었을까?
유래는 정설이 없고 의견만 분분한데 국어 학계에
따르면 까치 설이라는 말은 1935년 한 신문에 등장하면서 알려진 역사가 짧은 것이라고만 추측만 할 뿐 정확한 어원은 찾기가 어렵답고 한다.
가장 힘을 얻는 까치설은 '작은 설' 이라는 뜻을 가진 '아찬설, 아치설'이 세월이 흐르면서 '까치설'로 변형했다고 하는 설(說)이다.
고(故) 서정범 전 경희대 국어 국문학 교수는 추석을 '한가위'라고 불리는 것과 마찬가지로 큰설은 '한설, 한첫날'로, 작은 설은'아찬설, 아치설'로 불렸는데
'아치'라는 말이 '까치'로 바뀌면서 정착됐다는
설명이다.
국립 국어원 관계자는 "문헌에서 아치설이 까치설로 이어지는 원형은 찾을 수는 없다"고하며 변형됐을 개연성은 높다는 것이 학계에 널리 통용된 생각이라고 전한다.
어째거나 올해 설은 1월 29일이고
까치설은 28일이다.
설 잘 쇠시고 복(福)많이 받으세요.
첫댓글 잘 알았습니다
감솨합니다 😀
설의 의미와 떡국의 의미를 알게 되었네요.
고맙습니다.
훌륭한 연성씨~~
늘 고맙고 감사합니다
건강하시고
복많이 받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