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덕경 제9장 해설
持而盈之, 不如其已. 而銳之, 不可長保.金玉萬堂, 莫之能守. 富貴而驕,
지이영지, 불여기이. 취이예지, 불가장보.금옥만당, 막지능수. 부귀이교,
自遺其咎.功成名遂,身退, 天之道.
자유기구.공성명수,신퇴, 천지도
*本文第九章= 차게(가득) 가지는 게 그만둠만 못하다 예봉을 꺽으려드는 게 차라리 자람(長=장)을 보전하지 않는 게 낳다 금옥 만당을 잘 지키지 못하는 것은 부귀해지면 교만해짐으로 인해 자기의 허물을 성찰 반성하려 들지 않고 공 이룸과 이름만 낼 려 하니 몸은 망가지게 되는 게 하늘 길인 것이다
* 지닌걸 채우려는 것이[ * 채워서 가지려는 것이] 그 고만둠만 못하다 , 예리한걸 꺾어야지[순을 질러야지] 그 자람을 보존하게 하는 것은 옳치 않다, 금옥이 산더미 같다 한들 잘 지킬 수는 없다 , 부귀하면 교만해지는데 이렇게되면 부귀라 하는 것은 자신에게 그 허물을 끼치는 것이다 , 성공을 하게 되면 名振四海(명진사해)는 할수 있을 것이나 그 名振四海(명진사해) 함과 동시 더불어 그 몸은 隱退(은퇴)하게된다 , 이것이 하늘이라 하는 것의 진리이다
蘇註소주
知盈之必溢 而以持固之 不若不盈之安也 知銳之必折 而以 先之不知
지영지필일 이이지고지 불약불영지안야 지예지필절 이이췌선지불지췌
之不可必恃也 若夫聖人有而不有 尙安有盈 循理而後行 尙安有銳 無盈則
지불가필시야 약부성인유이불유 상안유영 순리이후행 상안유예 무영즉
無所用持 無銳則無所用 矣 日中則移 月滿則虧 四時之運 成功者去 天
무소용지 무예즉무소용췌의 일중즉이 월만즉휴 사시지운 성공자거 천
地尙然而況於人乎.
지상연이황어인호.
* 소씨는 주석하대. 차면 필히 넘칠걸 앎에 굳게 지니려 든다 이런 것이 아예 차지 않는 편안함만 못하다 끝이 날카로우면 필히 꺽일 걸 알아서 남보다 앞장서서 꺾으려 든다 이런 것을 애초에 가졌지 않았으면 부러트릴걸 모르리라 이렇틋 성인이 두고 안두고 함에 있어서 오히려 가득 둬도 편안히 여기고 이치를 따른 뒤에 실천하는지라 오히려 날카로움을 둬도 편안히 여긴다 참(盈=영)이 없으면 잡아 쓸 게 없다 날카로움이 없음 꺽어 쓸게 없다 해가 정오가 되면 자리를 옮기게 되는 게 정한이치요 달이 차면 기우는 게 정한이치이니 사계절이 돌아가서 공(功)을 이룬 자가 가게되는 것이다 하늘땅도 오히려 그러하거늘 하물며 사람한텐 말할 나위 있을 건가?
呂註 여주
持所以防溢 而盈之則重溢也 如欲勿溢則 如勿盈 故曰持而盈之不如其已
지소이방일 이영지즉중일야 여욕물일즉 여물영 고왈지이영지불여기이
所以慮失 而銳之則重失也 如欲勿失 則如勿銳 故曰 而銳之不可長保
췌소이려실 이예지즉중실야 여욕물실 즉여물예 고왈췌이예지불가장보
滿而不溢所以長守富也 持而盈之 則金玉滿堂 莫之能守矣 高而不危所以
만이불일소이장수부야 지이영지 즉금옥만당 막지능수의 고이불위소이
長守貴也 而銳之 則富貴而驕 自遺其咎矣 然則何以免此患哉 法天之道
장수귀야 췌이예지 즉부귀이교 자유기구의 연즉하이면차환재 법천지도
而已矣 蓋功成名遂身退天之道 此所以無私而成其私也 封人之告堯曰退已
이이의 개공성명수신퇴천지도 차소이무사이성기사야 봉인지고요왈퇴이
其法天之道之謂乎.
기법천지도지위호.
* 여씨는 주석하대. 잡아가지는 게 가득한걸 넘치는걸 막아재키는 게 차면 거듭 찬 것이 된다 (그러니까 아주 많이 높이 차게 된다는 뜻임) (*가질려 하는걸 못하게 막아 재킴이 지나치면 더욱 가질려 한다) 넘쳐지게 말고자 하는 게 차지 말게 하고자 하는 것과 같다 그러므로 말하길 가득 가지는 게 그만둠만 못하다 한다 꺽으려 드는 건 잃을까 를 염려해서 함인 것인데 그에 또 날카로우면 거듭 잃게 됨인 것이다 잃치 말고자 하는 게 날카롭지 말고자 하는 것과 같다 그래서 말하길 날카로움을 꺽으려 드는 게 아예 자람을 보전 안 하는 것만 못하다한다 가득하게 해서 넘치지 않게 하는 게 오래도록 富(부)를 지키는 방법이다 지닌 게 가득 차면 金玉滿堂(금옥만당=황금과 구슬 등 보화가 마루에 가득함을 말함 한마디로 말해 부유함을 뜻함)도 잘 지키지 못한다 높아도 위태치 않는 것이 오래도록 귀를 지키는 방법을 씀에서 인 것이다 예봉을 꺽으려 드는 게 부귀해져 교만해짐으로 인해 자기의 허물을 버릴려 듦이라 그렇다면 무슨 이 근심을 면한다할 것인가? 하늘 길을 법할 따름이지..... 대저 공을 이루고 이름을 내면 몸은 망가지는 게 하늘의 길이다 이것을 갖다 사사로움이 없음으로써 그 사사로움을 성숙 시킨다는 뜻이다 (*즉 私的(사적)인게 깨우침 받아 고개 숙이게 한다는뜻) 封人(봉인=그어떤 한시대의 인물인 것 같다)이란자가 요임금님을 가르켜 말하길 몸을 망가트려 하늘 길을 법 한이다 했다
朴註박주
持手執物也 手度物也 執持之而求其盈 盈則必溢 度之而求其銳 銳則
지수집물야 췌수도물야 집지지이구기영 영즉필일 췌도지이구기예 예즉
必折 金玉滿堂而莫之守則盈而至於溢矣 富貴而驕自遺咎 則銳而至於折矣
필절 금옥만당이막지수즉영이지어일의 부귀이교자유구 즉예이지어절의
知足知止 則無折溢之憂功成名遂身退 則能知足而止矣 日中則 月盈則
지족지지 즉무절일지우공성명수신퇴 즉능지족이지의 일중즉측 월영즉
虧 四時之序成功者去 故曰天道.
휴 사시지서성공자거 고왈천도.
* 박씨는 새겨 풀대. 가짐이란 손을 갖고 물건을 잡음을 뜻한다 꺽음이란 손으로 물건을 훼절시켜 가늠함을 말한다 잡아 가진다는 것은 그 참에서 찾는 것이니 차면 반드시 넘치게 된다 가늠(*잼) 하여 꺽어 재키려 드는 것은 그 날카로움에서 찾는 것이니 날카로우면 필히 꺽어지 게 되 있는 것이다 금옥 만당을 지키지 못하면 차서 넘침에 이름이라 부귀하여 교만해져서 자기 허물을 버리면 (*자기만이란 뜻을 갖어 독선과 아집으로 흘름) 날카로와져 꺽임에 이른다 (*즉 누가 가만히 내버려 둘 건가 어떻게든 헐뜯어 끌어 내릴려 하지 더 높이 되라고 덕 주진 않을 것이란 것이다= 그래서 혼자만 유아독존 격으로 잘난 체 하지 말라는 것이다) 흡족함을 알고 머물을대 머물을 줄 알면(*詩에 이르길 꾀꼬리는 幽谷에서 나와 울창한 喬木[좋은 삶의 터전]에 머문다 했음) 꺽이고 넘치는 근심이 없고, 공을 이뤄 이름을 남기고 몸이 망가지면 흡족함과 배부름을 잘 안다할 것이다 해가 가운데 온 즉 기울고 달이 찬즉 이지러진다 사계절의 차례가 공을 이룬 것이 감을 표현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말하길 하늘길이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