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5월 12일 특징주 ■
■ 지누스(013890)
: 1분기 실적 호조에 급등.
▷전일 장 마감 후 1분기 실적 발표. 21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2,742.99억원(전년동기대비 +48.83%), 영업이익 250.62억원(전년동기대비 +7.66%), 순이익 190.95억원(전년동기대비 +11.83%).
■동양생명(082640)
: 1분기 어닝 서프라이즈 분석 등에 상승.
▷KB증권은 동사에 대해 1분기 별도기준 순이익은 1,065억원으로 컨센서스(725억원) 및 당사 전망치(658억원)를 크게 상회했다고 밝힘. 이는 부리이율 하락 및 투자부문의 이익 기여도가 예상치를 상회했기 때문 등으로 분석.
▷아울러 1분기 어닝 서프라이즈와 부리이율 하락 영향을 반영하여 연간 별도기준 이익 전망치를 1,834억원으로 직전대비 37.9%로 상향한다고 밝힘.
▷투자의견 : HOLD[유지], 목표주가 : 4,400원 -> 5,600원[상향]
■SK바이오팜(326030)
: 1분기 흑자전환에 상승.
▷21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1,399.89억원(전년동기대비 +3,463.87%), 영업이익 759.32억원(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 순이익 1,289.91억원(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
▷이와 관련, 동사는 뇌전증 신약 '세노바메이트'의 매출 상승 등에 힘입어 올해 1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이 큰 폭으로 성장했다고 밝힘.
■현대그린푸드(005440)
: 2분기 턴어라운드 기대감 등에 상승.
▷신영증권은 동사에 대해 코로나 영향이 완화됨에 따라 외식, 식재유통 부문이 가장 빨리 회복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며, 특히 외식 부문의 경우 현대백화점 신규점포들 수혜를 크게 입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고 밝힘. 이에 금번 2분기부터 본격적으로 실적 턴어라운드가 가능할 것으로 전망. 이에 따라 올해 2분기 매출액 및 영업이익은 각각 7,793억원(-0.8% yoy), 225억원(+2.2% yoy)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한편, 1분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전년동기대비 0.9%, 28.4% 감소한 8,273억원, 222억원을 기록했다며, 단체급식 부문에서 코로나 영향에 따른 식수 감소 지속과 회계 기준 변경 등의 효과로 영업이익이 60억원 이상 감소하며 적자전환함에 따라 1분기 전사 영업이익 감익을 초래했다고 분석.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12,000원 -> 14,000원[상향]
■더블유게임즈(192080)
: 1분기 호실적 분석 및 자회사 DDI 美 상장 기대감 등에 상승.
▷삼성증권은 동사에 대해 코로나19 효과 지속과 공격적 마케팅으로 1분기 매출은 YoY +19.2% 증가했고, 영업이익도 매출 증가에 인건비 감소가 더해지며 YoY +31.2% 증가하여 컨센서스 4.7% 상회했다고 밝힘.
▷아울러 동사는 공격적 마케팅과 캐주얼게임 출시로 소셜카지노 시장 성장 둔화를 극복하고 있으며, 경쟁사 대비 낮은 밸류에이션은 자회사 DDI 상장을 계기로 재평가될 가능성이 높다고 밝힘. 특히, 자회사 DDI은 6월에 미국에 상장할 예정이라고 밝힘.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77,000원 -> 80,000원[유지]
■삼성바이오로직스(207940)
: 화이자 코로나19 백신 위탁 생산 부인 속 상승.
▷이날 일부 언론을 통해 동사가 8월부터 미국 제약사 화이자의 코로나19 백신을 위탁생산한다는 소식이 전해졌음. 동사가 인천 송도 3공장에 화이자 백신 생산을 위한 설비를 깔고 있으며, 8월부터 양산에 들어갈 수 있는 것으로 알려짐.
▷다만, 동사는 보도에 대한 해명을 통해 해당 보도는 사실이 아니라고 밝힘.
■녹십자 그룹주
: 식약처, GC녹십자 코로나 혈장치료제 조건부허가 불허 소식에 일부 관련주 하락.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전일 GC녹십자의 코로나19 혈장치료제 '지코비딕주(항코비드19사람면역글로불린)'에 대해 첫 번째 전문가 자문회의인 검증자문단 회의를 열고 GC녹십자가 제출한 환자 63명 대상 국내 초기 2상(2a상) 자료를 평가한 결과 조건부 허가를 내리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는 결과를 발표했음. 이와 관련, 식약처는 치료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한 11개의 탐색적 유효성 평가지표에서 시험군과 대조군의 효과 차이는 전반적으로 관찰되지 않았다고 설명했음.
▷한편, GC녹십자는 입장문을 통해 "혈장치료제는 신종 감염병 발발 시 '1차 방어선'으로 활용하는 공익적인 가치가 개발 의의라고 할 수 있다"며, "이에 따라 식약처의 이번 권고사항이 혈장치료제 한시적 역할의 일몰을 의미한다면, 동사는 품목 허가를 위한 당면 과제에 급급하지 않겠다"고 언급.
▷이 같은 소식에 녹십자홀딩스, 녹십자셀, 녹십자엠에스, 녹십자웰빙 등 일부 녹십자 그룹주가 하락세를 기록중임.
▷한편, 녹십자는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 지수 정기 변경에 따른 종목 편입 소식에 상승세를 기록중임.
[종목] : 녹십자홀딩스, 녹십자셀, 녹십자엠에스, 녹십자웰빙
■에이프로젠 그룹주
: 에이프로젠 상장 대표주관사 선정 소식에 급등.
▷전일 일부 언론에 따르면, 에이프로젠의 한국거래소 상장을 위한 공동 대표 주관사에 신한금융투자와 KB증권이 선정된 것으로 알려짐. 이와 관련, 신한금융투자는 에이프로젠에 제출한 주관사 업무 제안서에서 에이프로젠의 기업가치를 5조원을 상회하는 수준으로 평가했으며, 공동 대표주관사로 선정된 KB증권이 평가한 에이프로젠의 기업가치도 신한금융투자의 평가와 크게 다르지 않은 것으로 알려짐.
▷이 같은 소식에 에이프로젠 H&G, 에이프로젠 KIC가 급등세를 기록중이며 에이프로젠제약은 강세를 기록중임. 아울러 에이프로젠의 지분(1.14% 2020.12 사업보고서 기준)을 보유중인 에스맥도 시장에서 부각.
[종목] : 에이프로젠제약, 에이프로젠 KIC, 에이프로젠 H&G
■RF머트리얼즈(327260)
: 고출력 레이저 다이오드칩 국산화 과제 선정 소식에 급등.
▷동사는 금일 언론을 통해 소재·부품·장비(소부장) 업체 육성을 위해 산업통상자원부가 진행하는 산업용 고출력 레이저 다이오드칩과 모듈 제조기술 국산화 과제에 선정됐다고 밝힘. 이번 과제는 총 170억원 규모로 고출력 레이저 다이오드와 이를 활용한 수 KW급 고출력 레이저 다이오드 모듈개발을 목표로 하며, 이를 통해 전량 수입에 의존하던 부분을 국산화해 방산 및 산업용 제품, 의료기기 등에 적용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짐.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핵심 원천기술 과제가 성공할 수 있도록 국내 중소기업, 연구기관, 대학과 긴밀하게 협력해 나갈 것"이라며, "고출력 레이저 다이오드 분야 국산화를 이루고 수출 경쟁력까지 확보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언급.
■바텍(043150)
: 1분기 호실적 분석 및 2분기 분기별 최대 실적 전망 등에 강세.
▷하나금융투자는 동사에 대해 1분기 당사 실적 추정(매출액 644억원, 영업이익 102억원)을 크게 상회한 매출액 752억원(+38.0%, YoY)과 영업이익 130억원(+105.7%, YoY)를 시현하였으며, 이는 주요 수출 지역에서의 빠른 영업 회복과 지역 확장 효과 때문이라고 분석. 아울러 2분기에도 주요지역에서의 QoQ성장을 통한 분기별 최대 실적을 시현할 것으로 전망.
▷또한, 2021년 연간 실적을 매출액 2,961억원(+21.1%, YoY)과 영업이익 481억원(47.4%, YoY)에서 매출액 3,126억원(+28.0%, YoY)과 영업이익 519억원(64.2%, YoY) 으로 상향 조정함.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46,500원 -> 50,600원[상향]
■넥스턴바이오(089140)
: 美 투자사, miRNA 기반 당뇨치료제 개발 박차 소식에 강세.
▷동사는 전일 언론을 통해 미국 소재 신규 투자회사 로스비보 테라퓨틱스(RosVivo Therapeutics)가 특정 항당뇨·비만 조절 miRNA(RSVI-301/302)를 세계 최초로 발견해 논문을 발표하고, 미국과 국제 특허를 출원했다고 밝힘.
▷이와 관련, 동사의 관계자는 "RSVI-301/302는 우리 몸의 건강에 꼭 필요한 항당뇨성 miRNA로써 잃어버린 miRNA를 보충해주는 치료 방법이라며, 기존 당뇨병 치료제의 부작용으로 거론되는 위장장애 등이 나타나지 않고 오히려 위장 운동의 기능을 정상으로 회복시키며 부작용이 없는 새로운 당뇨병 치료제로서의 성공 가능성을 높였다"고 밝힘.
■인크로스(216050)
: 1분기 호실적 속 광고시장 성장 수혜 기대감 등에 강세.
▷신한금융투자는 동사에 대해 1분기 연결 매출액 및 영업이익이 각각 105억원(+53.9% 이하 YoY), 38억원(+132.3%)을 기록해 지난해 4분기에 이어 또다시 어닝 서프라이즈를 시현했다고 밝힘. 특히 미디어렙 매출이 4.94% 증가한 82억원을 기록해 실적 성장을 견인했다고 분석.
▷아울러 코로나19에 따른 기저효과가 본격화되면서 올해 미디어렙 매출액은 보수적으로도 19.6%(yoy) 증가한 374억원이 기대된다고 밝힘.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75,000원[유지]
■지니뮤직(043610)
: 1분기 실적 호조에 상승.
▷전일 장 마감 후 1분기 실적 발표, 21년1분기 별도기준 매출액 609.81억원(전년동기대비 +0.77%), 영업이익 41.87억원(전년동기대비 +101.00%), 순이익 36.75억원(전년동기대비 +99.18%).
■모트렉스(118990)
: 1분기 호실적에 상승.
▷분기보고서를 통해 1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1,094.13억원(전년동기대비 +2.64%), 영업이익 87.72억원(전년동기대비 +55.59%), 순이익 64.83억원(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
▷동사는 언론을 통해 지난해 영업이익을 흑자전환 한데 이어 금년 1분기, 역대 최고 수치의 경영 성과를 달성했다고 밝힘. 이와 관련, 차세대 차량 인포테인먼트(IVI) 제품인 AVNT의 판매 증가, 자회사 전진건설로봇의 매출 증대 등이 실적 성장을 견인했다고 밝힘.
■휴젤(145020)
: 1분기 어닝 서프라이즈 분석 및 올해 중국 실적 본격화 전망 등에 상승.
▷SK증권은 동사에 대해 2021년 1분기 영업이익 295억원(+139.3%YoY)으로 어닝 서프라이즈를 시현했다고 분석. 이는 해외수출 증가, 국내 높은 시장점유율 유지, 필러 수출 확대 때문이라고 설명.
▷아울러 작년 10월 중국허가 획득으로 2021년 중국 실적 본격화가 예상되며, 중국 다음으로 허가를 기다리고 있는 유럽 승인은 2021년 하반기에 예상되고 3월에 BLA를 제출한 미국 허가는 2022년도 승인을 목표하고 있어 동사의 글로벌 진출은 순항중에 있는 것으로 분석.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250,000원[유지]
■이스트소프트(047560)
: 1분기 흑자전환에 상승.
▷21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213.81억원(전년동기대비 +26.24%), 영업이익 26.03억원(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 순이익 23.32억원(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
■게임빌(063080)
: 1분기 영업이익 호조에 상승.
▷21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320.64억원(전년동기대비 -8.16%), 영업이익 84.20억원(전년동기대비 +35.10%), 순이익 76.30억원(전년동기대비 +82.66%).
▷이와 관련, 동사는 언론을 통해 '2021 게임빌프로야구 슈퍼스타즈', '별이되어라!' 등 기존작들이 견조한 매출 성과를 거뒀고 관계기업에 대한 투자이익이 증가해 안정적인 성장세에 힘을 보탰다고 밝힘.
■컴투스(078340)
: 1분기 실적 발표 속 상승.
▷21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1,166.70억원(전년동기대비 +18.68%), 영업이익 176.57억원(전년동기대비 -25.32%), 순이익 290.43억원(전년동기대비 -1.17%).
▷아울러, 주가안정 및 주주가치 제고 목적으로 100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신탁계약 체결 결정(기간:2021-05-12~2021-11-12, 삼성증권주식회사(Samsung Securities Co., Ltd.)) 공시.
▷동사는 컨퍼런스콜을 통해 1분기 매출은 세계 전역에서 고루 증가해 전년동기대비 상승했고, 해외 매출은 전체 78%인 909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힘. 다만 전년동기대비 인건비와 마케팅비 등 영업비용 증가 등으로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이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고 밝힘. 최근 출시된 서머너즈 워: 백년전쟁이 글로벌 시장에 성공적으로 출시 됨에 따라 향후 더 큰 폭의 실적 성장이 기대된다고 밝힘.
■휴림로봇(090710)
: 스마트 서비스 로봇 '테미' SK텔레콤 인공지능 서비스 탑재 소식에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SK텔레콤과 '누구(NUGU) SDK(소프트웨어 개발 키트)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힘. 이번 계약을 통해 동사의 스마트 서비스 로봇 '테미'에서도 NUGU의 음성인식 기반 AI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됐음.
▷동사 관계자는 "NUGU는 한국어 인식 능력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실생활에 유용한 다양한 서비스 콘텐츠들도 제공하기 때문에 국내 사용자들로부터 큰 환영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며, "NUGU를 기반으로 한 표준콘텐츠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보다 더 다양한 장소에서 테미를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힘.
■파인텍(131760)
: 1분기 흑자전환에 상승.
▷분기보고서를 통해 1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240.69억원(전년동기대비 +65.18%), 영업이익 18.37억원(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 순이익 18.49억원(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
▷동사는 언론을 통해 디스플레이 본딩장비 수주를 기반으로 한 2차전지 제조장비 실적 증가세에 힘입어 지난 1분기 영업이익 흑자전환에 성공했다고 밝힘. 아울러 주력사업인 디스플레이 및 2차전지 투자가 본격화됨에 따라 하반기 실적성장도 기대된다고 밝혔음.
■NEW(160550)
: 계열사 뉴아이디, 美 로쿠에 라쿠텐 비키, 키즈팡 TV 채널 공급 소식에 소폭 상승.
▷언론에 따르면 동사의 계열사인 뉴아이디가 현지시간 11일부터 美 로쿠의 무료 프리미엄 엔터테인먼트 서비스 로쿠 채널에 라쿠텐 비키, 키즈팡 티비 채널을 공급하는 것으로 알려짐. 로쿠는 시청시간 기준 美 최고 TV 스트리밍 플랫폼으로 뉴아이디는 아시아에서 유일하게 로쿠 채널에 총 4개 실시간 채널을 공급하고, 유료 구독 기반의 OTT를 광고 기반의 실시간 OTT(FAST)로 서비스하는 미디어 회사가 된 것으로 전해짐.
■덴티스(261200)
: 1분기 영업이익 흑자전환에 소폭 상승.
▷21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187.57억원(전년동기대비 +43.05%), 영업이익 29.43억원(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 순이익 34.71억원(전년동기대비 +1,346.25%).
■진매트릭스(109820)
: 지카 바이러스 백신 개발 관련 특허권 취득에 소폭 상승.
▷동사는 지카 바이러스 변이주와 이를 포함한 지카 백신 조성물 관련 특허권을 취득했다고 공시. 향후 모기매개 전염병 예방을 위한 핵심 기술 확보를 통해 효능이 탁월한 지카 바이러스 백신의 개발을 할 계획임.
■오로스테크놀로지(322310)
: SK하이닉스와 23억원 규모 공급계약 체결에 소폭 상승.
▷SK하이닉스와 23억원(최근 매출액대비 13.11%) 규모 공급계약(장비수주) 체결(계약기간:2021-05-11~2021-05-28) 공시.
■아이크래프트(052460)
: 1분기 실적 부진에 소폭 하락.
▷전일 장 마감 후 1분기 실적 발표. 21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151.91억원(전년동기대비 -7.00%), 영업손실 21.85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지속), 순손실 18.89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지속).
▷아울러 21년1분기 별도기준 매출액 116.67억원(전년동기대비 -10.54%), 영업손실 22.70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지속), 순손실 16.12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지속).
■롯데칠성(005300)
: 곰표 밀맥주 판매 호조 속 OEM 사실 부각에 상승.
▷편의점 CU에서 판매하는 곰표 밀맥주가 매출 신기록을 달성했다는 소식에 곰표 밀맥주 위탁생산(OEM) 제조사인 동사가 시장에서 부각되는 모습. CU 등에 따르면, 곰표 밀맥주는 대량 공급 2주 만에 월 생산량 300만개 완판을 앞두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생산량이 판매량을 따라가지 못해 이번 주말을 기점으로 당분간 품절 상태일 것이란 전망도 제기되고 있음.
■KT(030200)
: 1분기 호실적 분석 및 5G, 미디어, B2B 성장 기대감 등에 상승.
▷미래에셋증권은 동사에 대해 연결기준 1분기 매출 및 영업이익이 각각 6조294억원, 4,442억원으로 영업이익이 시장 기대를 크게 상회했다고 밝힘. 이는 지난 4분기보다도 500억원 이하의 마케팅 비용 집행에도 불구하고 4분기 수준인 78.5만명의 5G 가입자 순증을 보인 것 등 때문으로 분석.
▷아울러 동사의 미디어 및 B2B 부문이 향후 성장 이끌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힘. 특히, IPTV와 OTT 서비스인 Seezn을 중심으로 한 플랫폼 지배력을 바탕으로 컨텐츠 제작 역량을 부가하며 미디어 시장에서의 지배력을 강화하려는 전략은 유효하다고 판단. 또한, 5G 지배력을 강화하고 있고 효율적인 마케팅 비용 집행을 통한 가입자 모집을 원활히 하면서 수익성을 빠르게 개선하고 있는 것이 긍정적이라고 밝힘.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36,500원 -> 38,500원[유지]
■이연제약(102460)
: 인트론바이오와 항진균제 신약 후보물질 기술이전 계약 체결 소식에 소폭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항진균제 신약 파이프라인 확보를 위해 인트론바이오의 신약 후보물질 ‘iN-EYD’에 대한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힘. 이번 계약을 통해 동사는 인트론바이오가 보유한 폴리케타이드(Polyketide) 계열의 항진균제 신약 후보물질인 iN-EYD와 관련 특허권 및 노하우에 관한 기술을 이전 받아 본격적인 개발에 착수할 예정임.
■DL(000210)
: 경상 영업이익/순이익 추정치 하회 분석 속 급락.
▷한화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1분기 영업/순이익은 660억/3,246억원 기록했으나, 경상 영업/순이익은 399억/776억원을 기록해 당사 추정치(570억원/1,089억원)를 하회했다고 밝힘. 이는 케미칼(OP 203억원, 추정치 291억원) 부문에서 1~2월 PB(윤활유) 부진 및 운송비 상승 영향, Cariflex(OP 42억원, 추정치 80억원) 부문에서 예상보다 길었던 정기보수(1.5개월)로 부진한 판매를 기록했기 때문이라고 분석.
▷한편, 1분기 경상이익이 예상치를 소폭 하회했으나, 2021년 예상 경상 순이익은 3,000억원(PER 5.0배)으로 여전히 저평가(PBR 0.44배)되어있다며, DL이앤씨 공개매입도 21.7%에 그쳐 신주발행이 제한된 점도 긍정적이라고 분석.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120,000원[유지]
■포스코엠텍/포스코 ICT/포스코강판 /웰크론한텍
: 포스코, 아르헨티나 지방정부와 리튬 염호 개발 합의 소식에 상승.
▷일부 언론에 따르면, 포스코가 아르헨티나 지방정부들과 리튬 염호 개발에 합의한 것으로 알려짐. 구스타보 사엔즈 아르헨티나 살타주 주지사와 라울 자릴 카타마르카 주지사는 최근 주 접경지역인 푸나에 위치한 포스코의 '살 데 오로' 프로젝트의 리튬 염호 광권 개발 촉진 및 투자 추진을 위한 기본협약을 체결한 것으로 전해짐. 양 주지사의 합의에 따라 포스코는 아르헨티나 푸나 경계지역에서 안심하고 리튬 염호 광권을 개발할수 있게 된 것으로 알려지고 있음. 한편, 포스코는 지난 2018년 갤럭시리소스社와 리튬 염호(아르헨티나 북서부 지방 옴브레 무에르토 호수 북측 부분) 광권 매매계약을 체결한 바 있음.
▷이 같은 소식에 포스코엠텍, 포스코 ICT, 포스코강판 등 일부 포스코 그룹주가 상승세를 기록중이며, 과거 포스코에 수산화리튬설비를 공급한 바 있는 웰크론한텍도 동반 상승세를 기록중.
[종목] : 포스코엠텍, 포스코 ICT, 포스코강판, 웰크론한텍
■와이지엔터테인먼트(122870)
: 1분기 흑자전환에 강세.
▷21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970.17억원(전년동기대비 +84.30%), 영업이익 95.33억원(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 순이익 86.50억원(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
■아미코젠(092040)
: 엔도리신 생산을 위한 제4공장 건설 추진 소식에 강세.
▷동사는 언론을 통해 본사가 위치한 진주시 문산에 엔도리신 생산을 위한 제4공장을 건설한다고 밝힘. 제4공장은 선진국 기준 시설로 건설될 예정이며, 이를 통해 엔도리신을 비롯한 다양한 의약용 미생물 단백질을 생산할 계획임.
▷동사 관계자는 "엔도리신 기술 상용화에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생산 수율"이라며, "독보적인 생산 기술로 경쟁사 대비 2배 이상의 수율을 낼 수 있으며, 이러한 생산력을 바탕으로 한 원가 절감은 충분한 경쟁력을 발휘할 것"이라고 밝힘.
■현대공업(170030)
: 1분기 실적 호조에 상승.
▷21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552.54억원(전년동기대비 +31.90%), 영업이익 38.26억원(전년동기대비 +85.81%), 순이익 38.84억원(전년동기대비 +170.66%).
■대한뉴팜(054670)
: 1분기 실적 개선에 소폭 상승.
▷분기보고서를 통해 21년1분기 실적발표. 별도기준 매출액 393.82억원(전년동기대비 +10.82%), 영업이익 65.80억원(전년동기대비 +17.42%), 순이익 39.79억원(전년동기대비 +9.50%)
출처 : 인포스탁HTS
|
첫댓글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정독했습니다!!
챠트까지 올려 주시려면 힘드실텐데...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