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행계기-2) 고도계 (Altimeter)
이번에는 지난 회에 이어 고도계(Altimeter)에 대하여
알아 보겠습니다.
먼저 아날로그식 고도계는 아래 그림과 같습니다.

* 참고로 위 사진의 고도표시는 600피트 입니다.
큰 바늘은 백피트 단위이고 작은 바늘은 천피트 단위이며 시계를 읽듯이 읽습니다.
위 사진 좌측 하단 노란 화살표 부분은 현지 대기압에
맟추기 위하여 돌려주는 다이얼로서 이 다이얼을 돌려주면 우측 노란색 동그라미 부분(Kollsman Window)
에 방금 설정한 대기압이 표시됩니다.
비행 출발 전에 이 다이얼을 돌려 현재의 대기압으로
맟추거나 대기압을 모르면 현지 비행장의 해발고도로 고도를 세팅해주어야 합니다.
또한 비행중에는
관제소나 근처 공항에서 불러주는 대기압으로 맟추어야 정확한 고도를 표시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대기압의 단위는 mb (milibar) 또는 Inch.hg로 표기합니다.
아래 사진은 디지털
Glass Cockpit 인 Dynon Skyview 입니다.

위의 사진에서도 아날로그 고도계와 마찬가지로 우측의
노란 동그라미 부분이 고도표시이고 바로 밑부분 노란 화살표가 대기압입니다.
고도계의 기본 구조는 아래 그림과 같습니다.

비행속도는 지난회에 설명드렸듯이 피토관을 통하여 들어온 동압력과 정압력을 비교하여 비행 속도를 측정하지만
고도계는 피토관이 아닌 항공기 측면에 있는 정압공(Static Port)에서 들어 온 공기압력을 감지하여
고도를 표시하게 됩니다. 고도가 높으면 대기압력이 감소하고 고도가 낮아지면
대기 압력이 높아지는 현상을 이용합니다.
고도계 내부에는 “아네로이드, Aneroid” 또는 “Bellows”
라고 하는 디스크가 있는데 대기압력에 의해 수축과 팽창을 하고 이를 기계적으로 검출하여
계기판에 나타내 주는것입니다.
한편 고도의 종류에는 아래와 같이 몇가지 형태가
있습니다.
1) 지시고도(Indicated Altitude) :
현재의 압력을 설정한 상태에서 고도계(Altimeter)가 표시하는 고도를 말합니다.
2. 진고도(True Altitude) :
평균해수면(MSL : Mean Sea Level)으로 부터 항공기가 떨어져 있는 수직거리-실제
고도입니다.
항법차트의
공항, 지형, 장애물들의 표고(Elevation)는 모두 진고도(True Altitude)로 표시됩니다.
3.절대고도(Absolute Altitude) :
지형 이나 지표면으로부터
항공기가 떨어져 있는 수직 거리를 말합니다.
4.
압력고도(Pressure Altitude) :
고도계(Altimeter) 세팅 창에 29.92 inHg로 설정했을 때 지시되는
고도를 말합니다.
이 고도는 밀도고도(Density Altitude), 진고도(True Altitude), 진대기속도(TAS : True Airspeed), 기타 성능 데이타를 산출할 때
사용된다고 합니다.
5. 밀도고도(Density Altitude) : 기압고도(Pressure Altitue)가 표준온도(Standard
Temperature)로 부터 벗어나 있는 편차를 수정한 고도입니다. 만일 표준대기상태(Standard Condition)라면 기압고도(Pressure
Altitude)와 밀도고도(Density Altitude)는 서로 같습니다.
만일 온도가
표준치 보다 더 높다면, 밀도고도(Density Altitude)도
기압고도(Pressure Altitude) 보다 더 높아집니다. 이 고도는 항공기
성능(Performance)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므로 중요하다고 합니다.
아래 고도계에 대한 교육 동영상을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영문원본 출처 :
https://www.youtube.com/watch?v=OiVCX04YJMY&t=55s
다음에는 VSI 에 대하여 준비하겠습니다.
Good Pilot is always Learning !!
훌륭한 파일럿은 항상 공부를 합니다. !!

첫댓글 워치맨 컨택하면은 altimeter ,값 불러주는거 같더라구요, 잘 읽고 갑니다
MCRC는 altimeter 값을 불러주지 않습니다.
MCRC의 위치는 대구와 오산이고 각 항공기의 위치는 전국에 걸쳐 비행하므로 해당지역의 대기압을 알수가 없기 때문이죠. 감사합니다.
아 그렇지, 아마 광주 어프로치 였나봅니다
금전적으로 뒷받침만 된다면 저희 경량에 절대고도계 장착했으면 좋겠다는 마음입니다.
굳이 그렇게까지 ㅎㅎ
@지바고 ㅎㅎㅎㅎ
그냥 GPS의 고도계로 만족하시지요~
(오차는 좀 있지만서도)
@정원사(S2206) 오차도 그리 문제가 될정도는 아니죠
@지바고 네.. 낮은구름이나 안개속등에서 안타까운 소식에서 좀 벗어날수 있을까해서요.. 예전 헬기탈때 유용하게 써먹는 계기여서 VFR만 하는 경량에도 있으면 좋겠다는 마음에 몇자 적어봤습니다^^
@수호신(김수호,DS3NGN) 네
잘알겠습니다
좋은 자료 감사합니다. 계기 내용 계속 읽다보니 재밌게 느껴지네요. 읽다보니 하나 궁금한점이 생겼습니다. 온도가 올라가면 밀도고도가 기압고도 보다 높다고 하셨는데 제 생각으론 여름철에 온도가 올라가면 기압이 낮아지면서 그걸 계산한 밀도고도가 기압고도보다 더 낮게 지시해야 되는거 아닌가 헷갈리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