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강 (Zingiberis rhizoma)
과명 : 생강과(Zingiberaceae)
학명 : Zingiber officinale Roscoe
생약명 : 생강(生薑)


[기원] 생강(生薑) Zingiber officinale의 뿌리줄기(根莖)
[다른이름] 새앙,새양,자강(子姜),노강(老姜),포강(炮姜)
[약초이야기] 뿌리줄기(根莖)를 말린 것을 건강(亁薑),그대로를 생강(生薑)이라 한다.
[분포 및 주산지] 열대아시아 원산으로 우리나라에는 전북 봉동, 충남 서산 등에서 많이 재배하며 지리적으로는 열대아시아,인도에 분포한다.
[유사종] 양하(Zingiber mioga),강황(Curcuma longa)
[형태] 여러해살이풀로 근경은 굵고 옆으로 자라며 육질이고 연한 황색으로서 맵고 향기가 있다. 줄기가 곧게 자라 높이가 30~50cm에 달하며 윗부분에 잎이 2줄로 어긋난다. 잎은 선상 피침형이고 양끝이 좁으며 밑부분이 긴 엽초로 된다. 8~9월경에 엽초로 싸인 길이 20cm정도의 화경이 자라서 그 끝에 화수가 다리며 등황색의 꽃이 핀다.
[성분] 정유 2~3%, gingerol, zingiberene, rozingibel, shogaol 등이 함유되어 있고 gingerol은 구강과 입점막에 자극작용이 있으므로 소화액의 분비를 촉진시키고, 장내의 이상발효 억제, 장도(腸道)를 흥분시켜 체기(體氣)배출을 촉진한다.
[사용부위] 뿌리줄기(근경 ; 根莖)
[채취 및 수치] 가을과 겨울에 근경을 채취하여 그대로 또는 말려서 복용한다.
[효능] 생강에는 발한해표(發汗解表), 온중(溫中), 지토(止吐), 건위(健胃)의 효능이 있고 말린 건강(乾薑)에는 온중거한(溫中祛寒)의 효능이 있다.
[주치료] 생강은 풍한감모(風寒感冒), 구토(嘔吐), 담음(痰飮), 천해(喘咳)에 사용하며, 건강(乾薑)은 심복냉통,구토하리,사지냉미맥(四肢冷微脈)을 치료한다.
[처방] 소반하가복령탕(小半夏加茯笭湯), 귤피탕(橘皮湯), 소반하탕(小半夏湯), 대건중탕(大建中湯), 생강반하탕(生薑半夏湯), 진무탕(眞武湯), 인삼궁귀탕(人蔘芎歸湯)
[민간요법] 뿌리줄기 10g에 물 700ml를 넣고 달인 액을 반으로 나누어 아침 저녁으로 복용한다. 기침과 천식에 생강 30g, 설탕30g, 물 2L를 넣어서 반 정도 줄어들게 달여서 나누어 복용한다. 타박상의 어혈을 푸는데 생강즙, 청주, 갈분을 같은 양으로 반죽하여 환부에 바른다. 황금, 깽깽이풀(황련), 천화분, 박쥐똥과 같이 쓰면 약해를 본다. 생강분말과 술을 1:5비율로 만든 生薑丁幾(생강정기)는 건위약으로 널리 이용된다.
[약재외 사용] 뿌리줄기를 건조시켜 차로 음용하며 과자, 향로로도 사용한다.
[재배기술]
1)재배적지 : 온난다습한 기후로 일기변화가 심하지 않고 일조량이 많으며 배수가 잘 되고 보수력이 좋은 황토진흙이 좋으며 토양산도는 ph6.0이 적당하다. 적정온도는 25~35도이며 3~4년간 윤작재배가 좋다.
2)번식 및 정식 : 번식은 근경으로 한다. 봄철에 외관상 싱싱하고 단단하며 껍질이 매끄럽고 윤기가 나는 건강한 것을 선택하여 눈이 2~3개 되도록 붙여 무게 20~30g 크기로 적당하게 갈라 벤레이티수화제나 일광소독을 한 뒤 온상 등에서 최아시킨다. 또는 큰뿌리에서 싹이 터져있거나 싹이 나올 자리가 있는 것을 골라서 심는다.
정식은 유기질거름, 토양살충제,뿌리썩음병 예방약제 등을 살포하고 깊이 갈아서 120cm폭의 이랑을 만들고 배수구를 낸다. 4월 중순~5월 초순에 종강에 씨눈이 나온 것을 깊이 10cm로 골을 파서 싹눈이 위로 향하게 심는다. 3~4cm로 얇게 복토하고 흙이 건조하면 관수한 후 흑색 비닐을 피복한다.
3)주요관리 : 피복관리로써 미숙퇴비를 사용하면 지온이 올라갈때 유독가스가 발생되므로 구멍을 뚫어서 배출시킨다. 싹이 올라오는 시기에 비닐을 제거하고 건조할 때는 관수한다.
시비관리는 밑거름으로는 퇴비,석회,요소,용성인비,염화칼리,붕사 등을 넣고 웃거름으로 뿌리를 튼튼하게 하는 N-K복합비료를 살포한다.
물관리는 뿌리가 얕으므로 5월 봄에 가뭄때는 관수를 하고 7월 장마에 대비하여 배수로를 정비한다. 배수불량시 뿌리썩음병, 부패병 등의 피해가 많다.
병해충방제는 뿌리썩음병,무늬마름병,백성병,생강도열병,조명나방,파밤나방을 방제한다.
4)수확 및 조제 : 9월에 수확하여 품질별로 선별한다. 저장방법으로는 깊이 3~6m의 토굴 저장을 한다. 저장 굴 안의 온도가 13도 정도로 유지되어야 하고 종자용 생강은 베노람수 화제로 소독 후 저장한다.
더 많은 정보 공유는 ~ ♡내린천 오지마을♡ 클릭 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