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덕경 본문제 11장 해설
三十輻共一 . 當其無, 有車之用. 埴以爲器. 當其無, 有器之用.鑿戶 以
삼십폭공일곡. 당기무, 유차지용.연식이위기. 당기무, 유기지용착호유이
爲室, 當其無, 有室之用. 故有之以爲利. 無之以爲用.
위실, 당기무, 유실지용. 고유지이위이. 무지이위용.
* 本文 第十一章= 수레 바퀴 살이 서른 개라야 한바퀴 통을 이뤄 궁글대가 들어가게끔 적당하게 그 가운데를 비 게 해야 지만 수레에 사용할 수 있고 진흙으로 질그릇을 빚어 그릇을 만들더라도 그 속을 파내야 지만 그릇을 쓸 수 있게 되고 창호를 뚫어 집을 짓더라도 그 속이 비어 있어야 지만 사람이 살수 있게 된다 그런 까닭에 채워지는 것으로 잇속을 삼고 속이 비어 없음으로 사용함을 삼는다
* 共字(공자)를 其子(기자)로 본다면 '서른개의 바퀴 살로 이루어진 그 하나의 수레바퀴라도 그 응당 속 심이 비어야 지만 그 수레 굴대 축에 낑궈 사용할수 있고, 로 해석이 된다할 것이다
* 서른개의 수레바퀴 살이 하나의 수레바퀴통과 연결되어선 함께 하더라도 그 응당 그 바퀴 통의 속을 파내 없애치워야 지만 굴대 구멍이 생겨선 수레바퀴로써 써먹을 수 있다, 진흙을 갖고선 질그릇을 만들 더라로 응당 그 속을 파내야 지만 그래서 속을 없애야 지만 그릇으로 써먹을 수 있게된다 , 끌로서 창호를 파 재켜선 집을 만드는데 응당 그 속을 파내 없애 치워야 지만 집의 용도로 쓸수 있다, 그러므로 거기 效用(효용)이 존재할 수 있게 함으로 이로움을 삼는데, 그렇게 하려면 필이 먼저 차있던 것을 덜어내던가 파내 없어치워야만 그러한 용도로 쓸수 있다, 소위 먼저 덜어 내야지만 그 빈자리를 다른 것으로 유용하게 활용 할 수 있다는 것이다
蘇註소주
竭知盡物以爲器 而器之用常在無有中 非有則無無以致其用 非無則有無以
갈지진물이위기 이기지용상재무유중 비유즉무무이치기용 비무즉유무이
施其利 是以聖人常無以觀其妙 常有以觀其 知兩者之爲一而不可分 則
시기이 시싱성인상무이관기묘 상유이관기요 지양자지위일이불가분 즉
至矣.
지의.
* 소씨는 주석을 달길
야위고 마르면 담긴 물건이 다한 줄 알아서 그릇을 삼고 그릇의 사용은 늘 상 가운데 담긴걸 없앰에 있으니 담기지 아니하면 속이 비어 있는 것이요 속을 없앰으로써 그 사용함에 이르게 되나니 속을 없애지 아니하면 속이 알찬 것이라 그 잇속을 펼 수가 없는 것이다 그러니까 먼저 속에 들은 것을 비워 내야지만(*파내야 지만) 다시 다른걸 담을수 있는 그릇이 된다 할 것이다 *역자 부언= 교역 유통 이치가 다- 여기에 있는 것이니 항상 자기만 갖고 있다면 가득한 게 될 것이니 무슨 다른 잇속이 와서 담길 여지가 있을 것인가? 그러므로 남의 이속을 채워주기 위하여 먼저 덜어내는 듯 하는 데에 나에 이속도 와서 담긴다는 뜻이니 항상 저- 잇속만 생각지 말라는 뜻이다 그寶貨(보화)를 늘 상 저만 끌어안고 있다면 무슨 값어치 발휘를 크게 한다 하랴? 유통하는 가운데 自他(자타)의 실리가 있게 되는 것이니 그대의 잇속을 파낼려는 꼬득이는 말이라고만 생각할게 아닌 것이다(*물론 피치 못하게 내놓치 못할 사정이 있어서 내어 놔선 안될 그런 것도 많다할 것이나 여럿이 공유하고 유통되는 가운데 그 진가를 발휘하는 것을 여기선 주로 말한다 할 것이다 내가 조금 먼저 양보하면 나중은 바라지 않더라도 그 양보한 만큼의 몇 곱절이 돌아 돌아들게 될 것이라는 뜻이다 남에 이속을 챙겨주기 위해 알고도 모르고도 속아주라는 것이니 그렇타고 作害(작해)를 짓는 간괴한 사기꾼 같은데 속아넘어가란 뜻은 아니다 그 한계가 있고 그 적절한 적용이 있는 것이니 어림짐작은 자기심중에 있다 할 것이다 =번역이 옆으로 새어 역자의 의중을 말한 것 같다 각설하고) 이래서 성인이 느상 없이 함으로써 그 묘용을 관찰하며 느상 차있는 것으로써 그 구해 맞을걸 관찰한다 함인 것이니 이 두가지가 하나로 되어서 나눌수 없는 줄알면(* 불가분의 관계인 줄 알면 ) 지극한 경계에 다 달았다 할 것이다
呂註여주
三十輻其一穀 當其無有車之用 車 吾所乘也 埴以爲器 當其無有器之用
삼십복기일곡 당기무유거지용 거 오소승야 연식이위기 당기무유기지용
器 吾所用也 鑿戶 以爲室 當其無有室之用 室 吾所居也 乘則觀乎車 用
기 오소용야 착호유이위실 당기무유실지용 실 오소거야 승즉관호거 용
則觀乎器 居則觀乎室 其用未嘗不在於無 其則不遠矣 至於身則不知吾之
즉관호기 거즉관호실 기용미상불재어무 기즉불원의 지어신즉부지오지
所以用者何邪 故有之以爲利 無之以爲用 有有之爲利 而無無之爲用 則所
소이용자하사 고유지이위이 무지이위용 유유지위이 이무무지위용 즉소
謂利者亦廢而不用矣 有無之爲用 而無有之爲利 則所謂用者亦害而不利矣
위이자역폐이불용의 유무지위용 이무유지위이 즉소위용자역해이불이의
是故聖人入而未嘗有物也 所以爲無之之用 出而未嘗無物也 所以爲有之之
시고성인입이미상유물야 소이위무지지용 출이미상무물야 소이위유지지
利 故曰精義入神以致用也 利用安身以崇德也.
이 고왈정의입신이치용야 이용안신이숭덕야.
* 여씨는 주석을 달대 서른개의 바퀴살이 그 하나의 바퀴가 되서 마땅하게 그 속을 비워 야지만 수레에 쓸 수 있고 (*바퀴굴대가 들어가는 중심부분이 뚫어져야만 된다는 뜻임) 수레란 내가 타는 것이며, 진흙으로 질그릇을 구워 그릇을 만들더라도 적당히 빚은 흙속을 파내야지만 그릇이 되어 쓸수 있게 된다 그릇은 내가 음식 담기 위해 사용하는 것이요, 창문을 내어 집을 만들더라도 구멍을 적당히 파내야지만 집으로 쓸수 있다 (*역자言= 예전엔 토굴이나 옹기 굽는 굴처럼 해갖곤(도요가마) 사람이 거처를 삼았다 한다 ) 집이란 내가 거처하는 곳이다 탐은 곧 수레에서 관찰하고 쓰는 건 곧 그릇에서 관찰하고 머물름은 곧 집에서 관찰함이니 그 써먹음이 일찍이 없이함에 있어 그 곧 멀지 아니하지 아니 함이 없다 (* 찬걸 비워 낸다는 뜻) (*쉽게 말해서 모든 사용은 속을 먼저 덜어내던가 해서 비워 내야지만 그빈걸갖고 그릇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 몸에 이르러선 내 자신을 쓸 곳을 모른다는 것은 어째서인가? (故有)= 차게 함으로써 이속을삼고 없앰으로써(*비게 함을 써) 사용을 삼는 것인데 찬 것으로만 이속을 삼으려 들고 비우지 않는 것으로써(*속을 없앰을 없애지 않는 것으로써) 사용을 삼으면 이른바 이속이란 게 역시 무너져(*폐단이 되어) 쓰지 못하게 되리라 없애지 않는 것으로써 사용을 삼고(*속을 비 게 하는 것으로 씀을 삼고), 차있는걸 없앰으로써 이속을 삼으면 이른바 써먹음이 (*사용하는 것이) 역시 害(해)로워 져 서 이롭지 못하리라 (*譯者言= 소위 제쪽으로 당길 줄만 알지 타인에게 줄줄(베풀줄) 잘 모른다 그래서 자기 자신을 비우질 못해 쓰질 못하는 것이다 허심탄회하게 나를 비우면 사방이 나를 사용할 수 있는 하나의 그릇이 되어 있으리라) 이러므로 성인이 들어가선 일찍이 物 事를 채우려(*有)들지 아니하여 없앰을 위하여서 써먹음을 삼고 나아가선 일찍이 物 事를 비 게 아니하여서(*채워서) 채움을 위하여 써 이 속을 뒀음이라 그런 까닭에 말하길 (*精)정신의 의로움이 귀신에 들어가서 써먹음에 이르름 이라 이익과 사용이 몸을 편안하게 하여서 덕을 숭상함을 쓴 것이 되리라
朴註 박주
有車以載 有器以盛 有室以居 三者皆資其有以爲利而至其受用則皆賴其虛
유차이재 유기이성 유실이거 삼자개자기유이위이이지기수용즉개뢰기허
中而容物耳 無者言其虛中也 此形容虛中之妙用 凡曰谷曰牝皆此意也.
중이용물이 무자언기허중야 차형용허중지묘용 범왈곡왈빈개차의야.
* 박씨 주석을 달길
수레가 있어야 승차 할 수 있고 그릇이 있어야 풍성하게 담을수 있으며 집이 있어야 거처를 삼을 수 있는 것이니 이 세 가지 다- 그 있는걸 (*資)=유효 적절하게 써먹음으로써 이 속을 삼는 것이고 그 받아씀에 이르러선 다- 그 빈속을 (*賴)=널리 하여서 물건을 용납시킬 뿐이다 없앤 것이란 그 빈속을 말하는 것이다 이것이 빈속의 써먹음을 형용한다 함인 것이니 대저 말하길 골짜기라 하기도 하고 암 것이라 하기도 하는 게 다- 이런 뜻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