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덕경 본문 제 12장 해설
五色令人目盲. 五音令人耳聾. 五味令人口爽.馳騁 獵 令人心發狂, 難得
오색령인목맹. 오음령인이롱. 오미령인구상.치빙전엽 영인심발광, 난득
之貨 令人行妨,是以聖人 爲腹不爲目, 故去彼取此.
지화 영인행방,시이성인 위복불위목, 고거피취차.
* 本文第十二章= 다섯 가지 빛깔이 사람의 눈으로 하여금 멀 게하고(*황홀한 색에 빠지면 빛의 판단을 흐리게 한다) 다섯 가지 음향이 사람의 귀로 하여금 먹게 하고 (*음률가락이 지극히 황홀하면 제대로 음률에 참 맛을 분간 못한다는 뜻) 다섯 가지 맛이 사람의 입으로 하여금 맛을 잃어버리게 하고(*여러 맛을 음미 하다보면 맛에 깊이 젖어 제멋을 식별해 내기 어렵다) 말달려 사냥함은 사람의 마음으로 하여금 미쳐 날뛰게 하고 얻기 어려운 보화는 사람의 행위로 하여금 방해 꺼 리를 일으킨다 이래서 성인이 배를 위하고 눈을 위하지 않는 까닭이 여기에 있는 것이니 저쪽을 버리고 이쪽을 취함인 것이다
* 청황적백흑등 오색은 사람의 눈으로 하여금 현란하게 해선 그 색상의 분간을 제대로 못하게 멀게하고, 궁상각치우 등 다섯 가지 음률은 사람의 귀를 현란하게 하여선 멀게 한다 달고 쓰고 맵고 시고 짜고 등 다섯 가지 맛은 사람의 입으로 하여금 그 떫게 한다 [땡감이 사람 입을 떫게 하 듯 하면 다른 것을 금새 먹음 그 무슨 맛인지를 분간할 수가 없다]
말몰아 사냥하면 사람의 마음으로 하여금 발광하게 한다, 얻기 쉽잖은 재화는 사람의 가고자하는 길을 훼방을 놓는다 , 이래서 성인은 뱃심의 알참을 위하고 눈요기를 위하려 들지 않는다 그러므로 저를 버리고 이를 취하게되는 것이다
蘇註소주
視色 聽音 嘗味 其本皆出於性 方其爲性而未有物也 至矣 及目緣五色 耳
시색 청음 상미 기본개출어성 방기위성이미유물야 지의 급목연오색 이
緣五音 口緣五味 奪於所緣而忘其本 則雖見而實盲 雖聞而實聾 雖嘗而實
연오음 구연오미 탈어소연이망기본 즉수견이실맹 수문이실농 수상이실
爽也 聖人視色聽音嘗味皆與人同 至於馳騁田獵未嘗不爲 而難得之貨 未
상야 성인시색청음상미개여인동 지어치빙전엽미상불위 이난득지화 미
嘗不用也 然人皆以爲病 而聖人獨以爲福 何也 聖人爲腹 而衆人爲目 目
상불용야 연인개이위병 이성인독이위복 하야 성인위복 이중인위목 목
貪而不能受 腹受而未嘗貪故也 彼物之自外至者也 此性之凝於內者也.
탐이불능수 복수이미상탐고야 피물지자외지자야 차성지응어내자야.
* 소 씨는 주석하대. 빛을 봄과 소리를 들음과 맛을 보는 것이 그 근본은 모두 성품에서 나나니 방법 을 쓰건대 그 성품을 위하고 물질에 연연하지 않는 게 지극한 경계에 다다랐음이라 할 것이다 및 눈은 다섯 가지 빛을 인연하고 귀는 다섯 가지 음향을 인연하고 입은 다섯 가지 맛을 인연한다 인연하는 것에 마음을 빼앗겨 그 근본을 잃으면 비록 본다해도 눈이 멀게 되어 제대로 파악 질 못하게 되고 비록 듣는다해도 귀먹은 게 찬 것이라 제대로 듣지 못하고 비록 맛본다 해도 맛을 잃어 버려 제 맛을 모른다 성인이 빛을 봄과 소리를 들음과 맛을 봄이 모두 여 너 사람들과 같고 말달려 사냥함에 이르러도 일 찍 히 하지 아니한바가없으며 얻기 어려운 보화 일 찍 히 사용하지 아니함이 없었음은 그렇게 사람들이 모두 병 됨으로 여기나 성인만은 유독 복을 삼는 이유는 어째서인가? 성인은 배를 위하고 여 너 사람들은 눈을 위하기 때문이다 눈으로 탐하여선 잘 받아 드리질 못하고 뱃심으로 받아 들여서 일 찍 히 탐하지 않는 연유가 여기에 있음이라 저- 물건은 밖으로부터 이르는 것이고 이- 성품은 안에서 엉기는 것이다.
呂註여주
目之所以爲目者 色色而非色也 屬乎五色 則失其所以爲目 而無異乎盲矣
목지소이위목자 색색이비색야 속호오색 즉실기소이위목 이무이호맹의
耳之所以爲耳者 聲聲而非聲也 屬乎五音 則失其所以爲耳 而無異乎聾矣
이지소이위이자 성성이비성야 속호오음 즉실기소이위이 이무리호농의
口之所以爲口者 味味而非味也 屬乎五味 則失其所以爲口 而無異乎爽矣
구지소이위구자 미미이비미야 속호오미 즉실기소이위구 이무리호상의
萬物無足以撓之者 心之所以靜而聖也 逐乎外則罔念而發狂矣 事莫不然
만물무족이요지자 심지소이정이성야 축호외즉망념이발광의 사막불연
而馳騁田獵爲尤甚 知足不辱 知止不殆 行所以全也 求乎外 則辱殆而行妨
이치빙전렵위우심 지족불욕 지지불태 행소이전야 구호외 즉욕태이행방
矣 物莫不然 而難得之貨爲尤甚 腹無知者也 目有見者也 是以聖人爲腹不
의 물막불연 이난득지화위우심 복무지자야 목유견자야 시이성인위복불
爲目 故去彼有見有欲之追求 取此無知無欲之虛靜也
위목 고거피유견유욕지추구 취차무지무욕지허정야
* 여씨는 주석하대. 눈이 눈을 위하기 위해 쓰는 것은 빛과 빛이라 해도 그릇된 빛이요 다섯 가지 색에 속하는 빛을 말할 것 같으면 눈을 위하여 쓰는 것을 잃게 되어서 눈 멀 은거에와 다름이 없다 하리라(*소위 겉눈의 쾌락만을 쫓다보면 그 가치 됨됨이의 진면목을 볼 수 없음으로 봐도 당달봉사처럼 눈이 멀어 있다는 것이다 다른 오감각 또한 같은 뜻의 내용이다) 귀 또한 귀만을 위하는 소리 중에 소리라 할지라도 그릇된 소리인 것이니 다섯 가지 음향에 속하는 소리를 말할 것 같으면 그 귀를 위하는 바를 잃게되니 귀먹음에와 다름이 없으라며 입이 입을 위하기 의한 맛 또한 그렇다 할 것이니 다섯 가지 맛에 속하는 맛을 말할 것 같으면 입을 위하는걸 잃어서 혀 맛 느낌을 잃어버림과 다름이 없으리라 만물을 요란케 못할 것이니 마음을 고요하게 하는데서 성인이라 함인 것이다 외양만 쫓으면 깊은 생각이 없어서 밀쳐 날뛰게 되리니 일 또한 그러해서 말달려 사냥함이 더욱 심해지리라 흡족함을 알면 욕되지 않고 정지할 줄 알면 위태하지 않으니 행위를 안전함을 쓰는 게요 밖같에서 찾아구하면 위태한 게 되어서 실천하는데 방해 스러움이 있으리라 물질에 대해서 도 또한 그러해서 얻기 어려운 보화를 얻으려고 하는 행위가 더욱 심해지라 이는 뱃심으로 받아드릴 줄 모르는 자요 눈으로만 보려는 자이다 이래서 성인이 뱃심을 위하고 눈을 위하지 않는다 (*배짱 포부가 넓은 자는 사소한대 얽매여 구애되거나 한쪽으로 치우친 편견을 갖거나 옹졸하고 용렬한 행위에 빠지지 않는다 그러므로 보는 눈의 욕망의 추구를 버리고, 이- 모르는데 와(*남이 모른 는걸 내가 통달한다 길(*道) 이 득달한곳을 가리킴). 욕망 없는 비고 고요한걸 취함인 것이다
朴註박주
五者之過皆殉於物欲妨生害德聖人則不然衣取蓋體 食取充腹不以物妨生不
오자지과개순어물욕방생해덕성인즉불연의취개체 식취충복불이물방생불
以欲害德 故曰爲腹不爲目 言腹言目者蓋省文也 去彼取此 去奢取倫也 .
이욕해덕 고왈위복불위목 언복언목자개성문야 거피취차 거사취윤야 .
* 박씨는 주석하대 五 感覺 할게 지나침은 다- 물욕을 쫓음에서니 삶을 방해하고 덕을 해를 끼친다 성인인즉 그런데 의지하여 취하지 아니하시니 대저 몸은 먹음을 취해 배를 채움이라 물질로써 삶을 방해치 않고 욕망의 추구로써 덕을 害(해)하지 않음이라 그런 까닭에 배를 위하고 눈은 위하지 않는다 말한다 배를 말하고 눈을 말하는 것은 대저 글을 살펴 볼 진데 저를 버리고 이를 취함인 것이다 사치함을 버리고 겸손함을 취한다는 뜻이다. * 역자 부언한 다면 길이란 게 논리성향을 띈 궤변을 길게 늘어 놀게 아니란 것이니 지금 여기서 주석을 다는 사람들이 편견에 빠져 있다는 뜻이요 그 편견에 빠짐으로 이끈 老子(노자) 역시 편파적인 사람임엔 틀림없다 무슨 주장을 내세우는 건 정신이 그리로 쏠려 기운 것이므로 어떻게든 합리성의 동조자를 구하는 편견에 빠진 것일 뿐이다 이런 말하는 역자 또한 불손하고 건방지며 어리석은 심성에 껍질을 뒤집어 쓴 줄 모르는 편파적인데 빠진 자임을 부언 할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