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 제목을 길게 적을 수 없을 관계로 그림을 일단 삽입하겠습니다.
만일 중복성 글이라면 어디에 위치 되어 있는지 귀찮더라고 설명 부탁드릴깨요!!


지금 경부고속철도 노선 [서울-지천]중에서 일부 기존 노선과 병행하는 지천역과 대전조차장역의 사진인데요.
Q1) 제가 궁금한 것은 2단계 공사 완공후에 이 부분의 구간은 새롭게 만드는 것인지? 아니면 지금처럼 계속 사용하는 것인지?
Q2) 그리고 완공후에는 서울-부산 기준으로 대략 1시간 40분대 주파 가능하다고 하는데 실제로 그렇게 될 수 있을런지?
Q3) 또한 HSR350X는 언제쯤 투입이 될거 같으며, 경부고속 노선에 투입이 될수 있을런지? 제가 듣기로는 일단 호남선에 먼저 투입한다는데!!
초보라 아직 여러가지 알고 싶은 부분 많아서 많은 분들의 지식을 탐닉하고자 합니닷~
첫댓글 이미 1단계구간은 서울~동대구구간은 이미 만들어지고 운행도 되고 있습니다. 저런 구간은 비고속선구간인데 저런것이 어찌할수 없죠. 더구나 역을 지나서 조차장역을 지나 서서히 고속선으로 진입하는 고가구간이 나옵니다. 저런것은 광명이나 천안아산을 빼고는 다 마찬가지입니다.
현재 광명역 이전까지, 대전조차장 근처에서 옥천역 근처까지, 신동역부근부터 동대구역을 지나 부산역까지 기존 경부선을 공유하여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것이 2단계 공사가 완료되면, 대전 시내의 경부선을 복복선으로 늘려서 가운데 두 선로를 KTX 전용선으로 사용합니다. 물론 이곳은 고속선이 아니므로 고속을 낼 수는 없지만, 어차피 시내구간이고 대전역 근처라 지하화 하지 않는 이상 고속을 내기는 힘든 구간입니다. 대신 옥천까지 기존선을 쓰던 것을 개선해서 대전시 바로 동쪽까지 고속선을 연장할 계획입니다. 또 신동역 부근부터 동대구역 넘어 가천역 부근까지인 대구 시내구간도 마찬가지로,
기존 경부선을 복복선화 해서 사용합니다. 이렇게 하면 중간에 대전, 대구만 정차했을 때 서울에서 부산까지 2시간 10분에 주파가 가능합니다. 그리고 HSR350x는 편성을 작게 만들 수 있기 때문에 수요가 적은 호남선과 새로 KTX 서비스가 시작되는 개량 전라선에 먼저 투입됩니다. 현재 호남선에 투입되고 있는 KTX는 수요가 많은 경부선으로 빠지게 될 것 같습니다.(물론 그 때가 되어 봐야 아는 것입니다만...)
대전 2계획에서 가운데선을 고속선으로 쓰신다는건가요? 조금은 안될듯 싶은데요.. 서울방향에서는 외각선에서 접근해서 외각에서 붙고 옥천에서는 중앙에서 분리되는 마당에 대전역에서 평면교차 할것 같지 않나요?
방향별 복복선이 아니라 각각다른 복선일듯.. 확실한건 아니지만 대전역 7,8번홈 사이드의 그 넓은 공간에 고속철승강장과 선로를 만드는걸로 아는데..
대구시내구간에서 가운데선을 KTX선으로 쓰길래 대전시내구간도 그렇지 않을까 생각했습니다.
서울 대전 동대구에 김천구미,오송,울산추가 정차시 2시간 10분으로 알고 있는데 아닌가요?-_-
다 정차하고 2시간 10분이면 얼마나 좋겠습니까 ㅠㅠ 중간 2역(대전, 동대구) 정차시 2시간 10분입니다. 거기에 1개씩 더 정차할 때마다 대략 5분 정도가 추가된다지요.
그리고 대전-옥천간 신선으로 달리게 되면 기존경부선의 굴곡을 타지 않고 빠르게 갈수 있을듯.. 동대구-대전의 선로가 안정화가 된다면 지금처럼 50분걸리지 않고 30~35분정도로 단축될 것 같네요.~
흠-_- 무정차시엔 1시간 58분정도 되지 않을까 싶네요 뭐 서비스적으로 1시간대열차도 (무정차)배치하지 않을까 싶습니다.-_-
굳이 무정차 열차를 운행하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 1역 추가정차시 5분이라는 말은 고속선상의 역(천안아산역, 오송역 같은)에 것인데, 대전역이나 동대구역은 고속선 상의 역이 아니므로 그곳을 무정차 한다고 해도 시간 단축효과는 적습니다. 서울-부산 논스톱이라도 2시간 내에 끊기는 힘들겁니다. 다만 경부고속철도는 원래 350km기준으로 건설되었으므로 앞으로 장기적인 속도향상의 여지는 아주 큽니다.
2단계 구간 개통 이후에도, 기존 고속선-기존선 연결선은 계속 사용할 듯 합니다. 예를 들어 향후 마산 방면으로 KTX를 운행하려면, 선로 구조상 지금처럼 신동-지천 사이에서 합류/분리되야 하지요(대구 시내 고속선 구간에서는 연결선 계획이 없습니다).
동대구역에서 빠지면 됩니다 어차피 동대구역에 다 정차 할꺼니깐요 연결선 굳이 필요 없구요 대구는 그 복복선화에 일반선남는 선으로 광역전철 계획에 있습니다 ^^
많은 의견과 내용에 감사 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