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농업 한결어린이집內 1100여평 자연학습농장
한결어린이들의 먹을거리 신토불이 김장
한결어린이집에서 직접 수확한 배추로 김장준비 배추절이기를 합니다

친환경농업 한결자연학습농장 김장배추밭
배추를 좌우로 흔들어 뽑아요.



자~ 이제 배추를 들고 옮겨 볼까? ㅎㅎ
있는 힘껏 배추를 들고!!

초록풀잎반(만 2세) 친구들이 김장수확 체험에 여념이 없어요^^

^^

와! 뽑혔다 ^^

꼭 들고 말거야! 의지의 초록풀잎반(만 2세) 생태어린이 ^^

우리는 초록풀잎반(만 2세) 생태어린이예요 으라차차!^^

와! 들었다^^

^^
올해는 배추파동으로 많은 어머님들이 힘들어 하셨는데
다행히 한결어린이집 자연학습농장의 무우와 배추는 잘 자랐어요^^
잘 자라도록 지켜주셔서 감사합니다!!


만 3세 언니들은 작년에 수확한 경험이 있어서 훨씬 표정이 부드럽죠



아이들이 수확한 배추는 올챙이 선생님께서 도와주셨답니다!!

친환경농업 한결어린이집 자연학습농장 김장무우

흔들흔들 쑤욱!! 뽑기 시작!!

선생님! 식은죽 먹기예요^^

벌써? 이렇게 많이?^^


무우와 잎을 분리해요

초록풀잎반(만 2세) 친구들도 김장배추를 수확하여 나릅니다

우리는 초록풀잎반(만 2세) 장사! 몸도 튼튼 자연의 지혜도 쑥쑥! 자라요^^

^^

^^

김장배추의 구조에 대해 선생님께 설명을 듣는 초록풀잎반(만 2세)^^

우리 초록풀잎반(만 2세) 친구들 생태어린이답게 너무 잘하죠^^

초록풀잎반(만 2세) 친구들이 꼬마농부답게 차곡차곡 김장준비 체험을 아주 잘했어요 ^^

^^

김장배추수확을 하고나서 뒷정리를 말끔히 하는 초록풀잎반(만 2세) 친구들^^
^^

산교육은 어려서부터예요 인격형성과정은 10세 이전의 교육에서 결실을 맺습니다.
한결어린이들은 내나라 내고장 과천을 사랑하는 훌륭한 어린이로 자라납니다^^
열심히 배추수확 체험에 참여한 초록풀잎반(만 2세) 친구들 모두 모두가 대견해요^^

우와! 한아름이죠.
한결친구들이 수확한 배추는 우리의 먹을거리로 직접 김장을 담궈요
한결생태어린이들도 김장담그기 프로르램에 직접 참여하여 가정으로 갖어갑니다.

배추 절이기
자연학습농장에서 수확한 배추 절이는 과정을 지켜보았어요.
배추의 밑동을 칼로 잘라서 반으로 잘랐어요.

내일은 한결어린이집 김장하는 날이랍니다.
우리가 수확한 배추를 반으로 잘라서 소금에 절이는 과정을 살펴보아요
배추의 속이 노랗죠





배추절이기
반으로 자른 배추를 소금물이 든 통에 넣어요.

한결친구들도 소금물이 든 통에 배추를 넣어 보았어요.




소금물에서 건져낸 배추를 소금으로 절여보아요.


소금물에 반으로 자른 배추를 목욕시켜요~

소금물에서 목욕을 끝낸 배추 랍니다
소금물에서 목욕을 끝낸 배추에 다시 소금을 뿌려 절여야해요


왜 배추를 소금으로 절어야 할까요??




아이들과 소금에 절이고 있는 배추를 관찰해 보았어요!!

배추에 왜 소금을 뿌렸을까??

배추가 맛있으라고 소금을 뿌렸대요~ㅎㅎ

배추를 소금에 절이는 이유는??
소금물에 배추를 담가 놓으면 삼투압 때문에 배추 속의 수분이
소금물 쪽으로 빠져나와 김치 담그기에 적당하게 된다고 해요~

삼투압 현상이란??
농도가 낮은 곳에서 농도가 높은 곳으로 물이 이동하는 현상이며
식물의 뿌리에서 물을 흡수하는 원리도 바로 삼투압 현상이라고 합니다~^^

김치의 맛과 향기는 주로 김치 국물에 들어있는 냄새와 맛이 김치에 가미되는
삼투압 현상 때문에 나타나는데 삼투압 작용이 빨리 일어나게 하기 위해
김장을 하기 전 미리 배추를 소금에 절입니다!!


왼쪽 배추는 한결친구들이 금방 소금에 절였고, 오른쪽 배추는 1시간 전에 절인 것으로
배추의 겉잎이 소금에 절여져 있는 것을 볼 수 있어요.



소금에 절인 배추가 점차 달라지겠지요?
아이들과 소금물에 절인 배추도 살펴보고 냄새를 맡아보았답니다.



삼투압 현상
김장김치에 숨겨진 과학
김장을 할 때 가장 먼저 하는 것은 소금물에 주재료인 배추를 넣는 작업이다. 소금물에 배추를 담가놓으면 삼투압 때문에 배추 속의 수분이 소금물 쪽으로 빠져나와 김치 담그기에 적당하게 된다.
김치의 맛과 향기는 주로 김치 국물에 들어있는 냄새와 맛이 김치에 가미되는 삼투압 현상 때문에 나타나는데 삼투압 작용이 빨리 일어나게 하기 위해 김장을 하기 전에 미리 배추를 소금에 절이는 것이다.
삼투압 현상이란 반투막을 통해서 농도가 낮은 곳에서 농도가 높은 곳으로 물이 이동하는 현상을 말한다. 식물의 뿌리에서 물을 흡수하는 원리도 바로 삼투압 현상이다.
김치가 다른 음식물에 비해서 높은 평가를 받는 또 다른 이유는 바로 발효식품이라는 점이다.
김치를 담그는 것은 채소를 오래 저장하기 위한 수단이 될 뿐 아니라, 저장하는 동안 여러 가지 미생물이 번식하면서 유기산과 김치만의 맛있는 냄새가 만들어져 훌륭한 발효식품이 된다.
김치를 담그면 처음에는 여러 가지 잡균이 많이 붙게 되고 점차 젖산균이 많아져 젖산발효가 일어나게 된다. 소금을 많이 넣으면 소금이 부패를 막기 때문에 미생물의 번식이 억제돼 김치의 숙성 정도가 느려지게 된다.
그래서 어머니들께서 오랫동안 먹을 김치에는 소금을 많이 넣어 짜게 만들었다.
김장 김치처럼 오래 먹을 김치를 저장할 때에는 장독을 땅에 묻곤 했는데 그 이유는 김칫독을 땅 속에 묻어둠으로써 공기의 접촉을 피하고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김치가 부패되지 않으면서도 적당하게 발효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출처=사이언스타임즈>
삼투 작용[渗透作用] [삼투 현상] 반투막의 양쪽에 농도가 다른 수용액이 있을 때, 농도가 낮은 수용액에서 높은 수용액 쪽으로 물이 이동하는데 이를 삼투 현상이라고 한다. 식물의 뿌리가 물을 흡수하는 과정은 이와 같은 삼투 현상을 이용한 것이다. 즉, 뿌리털 세포 속의 농도가 흙 속의 농도보다 높아 흙에 있던 물이 뿌리 안으로 흡수된다. 이때 세포에서 물을 흡수하는 힘을 삼투압이라고 하고, 세포의 원형질이 원형질막을 밖으로 밀어내는 힘을 팽압이라고 한다.
[물의 이동 과정] 삼투압에서 팽압을 뺀 압력이 뿌리털 세포가 실제로 물을 빨아들이는 힘, 즉 흡수력이다. 뿌리털 세포는 이 흡수력에 의해 물을 흡수하게 되고, 계속해서 물을 흡수하면 원형질이 물을 많이 포함하게 되어 묽어지게 된다. 그렇게 되면 뿌리털 세포의 안쪽에 있는 피층의 유조직 세포가 물을 빼앗아가고, 같은 방법으로 물은 안쪽으로 계속해서 이동하여 물관에까지 도달하게 된다.
[능동 수송] 흙 속에 물이 부족하여 물이 제대로 공급되지 않는 경우, 즉 화분에 있는 식물에 물을 제대로 주지 않아서 화분의 흙이 마른 경우에도 식물은 한동안 시들지 않는다. 이때 흙 속의 물의 양을 조사해 보면, 뿌리털 세포 속보다 적은 경우가 있다. 그런데도 식물이 시들지 않는 이유는 뿌리털 세포가 흙 속에 유효 수분이 있는 한 자신의 세포 속에서 밖으로 나가려고 하는 물을 나가지 못하게 막으면서 밖에 있는 물을 빨아들이는 능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때에 많은 양의 에너지를 소비하게 되는 데, 이것은 마치 아래로 흐르는 물을 모터 펌프를 이용하여 위로 끌어올리는 것과 같은 원리이다. 이와 같이 에너지를 소비하면서 물질의 흐름을 거꾸로 해서 이동시키는 것을 능동 수송이라고 한다. 따라서 물의 양이 극히 적은 흙 속에서 뿌리털이 물을 흡수하는 것은 에너지를 소비하는 능동 수송인 셈이다.
[실험을 통해 알아본 삼투 작용] 간단한 실험을 통하여 삼투 작용에 대해 알아볼 수 있다. 물속에 셀로판지로 만든 반투막 주머니를 넣고, 반투막 주머니 안에는 소금물을 넣는다. 이때 물이 흘러들어가는 것을 쉽게 알기 위하여 소금물을 빨갛게 만들기도 한다. 시간이 지나면, 농도가 진한 소금물 쪽으로, 셀로판지 주머니 밖의 물이 흘러들어가 소금물의 높이가 높아진다. 바로 이러한 현상이 삼투 작용이다. 이 때 묽은 용액이 진한 용액 쪽으로 흘러들어갈 때 생기는 압력을 삼투압이라고 한다. 식물의 뿌리가 물을 빨아들이는 것도 삼투 작용이다.
[무기 양분의 흡수] 무기 양분은 물이 흡수될 때 물과 함께 흡수된다.출처:Daum:키즈짱
[과천]한결어린이집 생태 블로그
경기도 과천시 문원동 청계산자락 친환경 한결어린이집內 1100 여평 자연학습농장 생태 어린이
02)504-4904~5 클릭☞ http://blog.daum.net/hangyulki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