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군자 할머니 미국하원 청문회 성명서*
20세기 세계 인류 역사상 가장 비인도적이고 반인륜적인 전쟁 범죄인 일본군‘위안부’피해자 문제 해결을 위해 결의안을 발의해 주신 마이크 혼다 하원의원님과 초당적으로 동참하신 의원님들에게 경의를 표 합니다.
낸시 펠로시 하원의장님,
우리는 오늘 청문회를 마치면서 미국의 정의를 보았습니다.
국가와 민족을 떠나 반인권적인 문제 해결을 위해 헌신적인 노력을 아끼지 않은 미국의회와 국민들에게 감사를 드립니다.
21세기 동아시아와 전세계의 진정한 평화와 행복을 위해서는 먼저 일본 정부가 과거 일본제국주의 시절 저지른 일본군‘위안부’피해자 문제를 인정하고 그 진실을 밝힐 것을 강력히 요구 합니다.
일본의 전쟁 범죄인 일본군‘위안부’피해자에 대해 일본 정부의 진정한 사죄와 공식 사과, 또한 피해자에 대한 일본정부의 국가적 배상 그리고 재발 방지를 위해 교과서에 기록하고 교육 하겠다는 책임 있는 태도를 또한 요구 합니다.
오직 이것만이 동아시아와 세계평화의 진정한 출발이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20세기 식민지 지배와 피지배, 전쟁 과 반인륜적인 범죄 등 뼈저린 역사를 생각 하면서 우리는 이것이 21세기 다시 반복되어 일본군‘위안부’피해자들과 같은 피해자가 발생해서는 안 된다고 간절히 절규 합니다.
그리고 세계 평화와 공동 번영을 위해서는 20세기 과거사에 대한 피해국과 가해국의 일치된 청산 노력만이 전쟁의 재발 방지와 일본군‘위안부’피해자들의 피 맺힌 한을 해결하는 유일한 열쇠임을 확신 합니다. 이 문제 해결 없이는 진정한 정의는 없다고 생각 합니다. 그 주원인은 일본의 전쟁 범죄에 대한 과거사 문제가 미결의 과제로 남아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 합니다.
이제 일본군‘위안부’피해자의 해결을 위해 세계인들이 이해하는 수준과 합리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요구를 바랍니다.
1)미국정부와 의회는 과거 전쟁범죄인 일본군‘위안부’피해자 문제 처리에 국가와 민족을 떠나 여성인권적인 차원에서 이 문제가 해결 될 수 있도록 점진적이고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실천적 해결 방안으로 이번 결의안을 즉각 통과 시켜라.
3)일본 정부는 국제연합의 96년과 98년 두 차례에 걸쳐 일본군‘위안부’피해자의 명예회복과 법적 배상책임이 일본 정부에 있다는 국제인권위 권고 사항을 이행하기 바란다.
4)전쟁범죄인 일본군‘위안부’피해자 관련 일본정부가 보유한 자료를 완전 공개를 하기 바란다.
2007년 2월 14일
나눔의 집 /일본군‘위안부’역사관
김영선 의원을 비롯한 20명의 의원들이 2006년 12월 19일 발의한 일제하 일본군'위안부' 피해자에 대한 생활안정지원 및 기념사업등에 관한 법 일부개정법률안이 현재 국회 여성가족위원회에 계류 중 입니다. 피해자 대부분이 80세 이상의 고령자로 각종 질환으로 고생중이고 중증으로 전이 되고 있습니다.
(■ 제안이유 : 현행법은 일본군위안부 피해자들에 대하여 생계급여, 의료급여, 생활안정지원금 지급, 간병인 지원 등 생활안정지원에 관련된 내용을 규정하고 있음. 그러나 일본군위안부 피해자들을 보호하기 위한 전문요양시설을 지원하는 법과 규정이 없어 이들은 실질적인 지원을 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임. 이에 일본군위안부 피해자 중 생존자들을 보호하고 있는 “나눔의 집”을 포함하여 일본군위안부 피해자들이 모여 살고 있는 보호시설을 전문요양시설로 인정하고 그에 대한 지원근거를 법률에 규정함으로써 일본군위안부 피해자들의 생활안정과 복지증진에 기여하려는 것임.)
일제하 일본군위안부 피해자에 대한 생활안정지원 및 기념사업 등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 발의자목록 (김영선의원등 20인)김기현(金起炫) 김명주(金命柱) 김무성(金武星) 김영선(金映宣) 김용갑(金容甲) 김학원(金學元) 박명광(朴明光) 박상돈(朴商敦) 박세환(朴世煥) 심재철(沈在哲) 안상수(安商守) 이계진(李季振) 이성구(李聲九) 전여옥(田麗玉) 정문헌(鄭文憲) 정성호(鄭成胡) 정종복(鄭鍾福) 조성래(趙誠來) 한선교(韓善敎) 황우여(黃祐呂)
국회여성가족위원회 위원명단
위원장 |
文 姬 (비례대표)
이화여대 약대, 중앙대 대학원 박사과정, 한국여약사회 회장 ․ 명예회장, 한나라당 서울시지부 여성위원장, 이화여대 약대 전국개국동문 회장, 대한 약사회 총회 부의장, 한나라당 중앙위 부의장, 국회복지위 위원, 국회여성가족위원장. |
본관 653호 (사)784-0935 788-2516
회관 514호 (사)784-1267 788-2010 |
(2006. 7. 12. 현재)
열
린
우
리
당 |
홍 미 영 (비례대표), 간사
경기여고, 이화여대 졸업, 인천 부평구 초대의회의원, 인천광역시의회 2 ․ 3대의원, 열린우리당 여성중앙위원 및 보육특별위원장, 열린우리당 원내부대표 ․제5정조위원회 부위원장, 한국여성민우회 인천센터 대표, 국회행자위 위원, 국회여성가족위 위원, 여성가족위 법안심사소위원장. |
회관 737호 (사)784-6143 788-2984 |
|
|
한
나
라
당 |
고 경 화 (비례대표), 간사
이화여대 영문과 졸업, 이화여대 대학원 사회복지학 박사과정 수료, 당보건복지 수석전문위원, 국회 정책연구위원(1급), 국회 복지위 간사, 한나라당 식품안전 T/F팀 위원장(현), 국회 민생정치연구회 회장(현), 한나라당 제6정책조정위원장(현), 국회복지위 위원, 국회여성가족위 위원, 여성가족위 예산결산기금심사소위원장 |
회관 437호 (사)784-1729 788-2107 | ||
김 영 주 (비례대표)
서강대 경제대학원졸, 금융노련 상임부위원장, 청와대 노동 T/F팀 자문위원, 여성부 정책자문위원, 열린우리당 원내부대표 ․ 중앙위원, 전국노동위원회 위원장, 국회정무위 위원, 국회 여성가족위 위원. |
회관 740호 (사)784-6724 788-2944 |
|
|
김 기 현 (울산 남구을) 서울대학교 법대 졸 업, , 대구 ․ 울산지방법원판사, 울산 YMCA이사장, (사)울산종합자원봉사센타 이사장, 한나라당 제1정책조정위원장(현), 국회산자위 위원, 국회여성가족위 위원. |
회관 442호 (사)784-2178 788-2259 | ||||
박 영 선 (비례대표)
서강대 언론대학원 졸업(석사), 경희대 언론정보 대학원 겸임교수, MBC 보도국 경제부장, 열린우리당 대변인, 열린우리당 원내부대표(전), 열린우리당 당의장 비서실장(전), 국회재경위 위원, 국회여성가족위 위원.
|
회관 504호 (사)784-5708 788-2922 |
|
|
김 영 숙 (비례대표)
서울사범학교, 숙명여대 교육대학원 졸업, 장학사 (서울시교육청), 교육연구관(교육부), 교육장 (서울시성북교육청), 교장(서울서래초, 오금초), 전국초등여자교장협의회 회장, 전국초․중․고교장협의회 회장단, 서울교대동창회부회장, 국회 중국고구려사왜곡대책특별위 위원, 국회 남북관계특별위 위원, 한나라당 교육개혁특별위 위원, 한나라당 운영위원, 국회교육위 위원, 국회여성가족위 위원. |
회관 740 호 (사)784-5286 788-2873 | ||||
유승희 (비례대표)
이화여대 기독교학과 졸업, 한양대 행정학 박사 과정, 산돌노동문화원 총무, 95년 광명시의원, 98년 새정치국민회의 여성국장, 03년 대통령직 인수위 전문위원 04년 열린우리당 총괄조직실장, 국회과기정위 위원, 국회여성가족위 위원. |
회관 501호 (사)784-3858 788-2384 |
|
|
김 충 환 (서울 강동구 갑)
서울대 정치학과, 행정대학원, 서울시립대 행정학 박사, 행시 22회, 강동구청장 3선, 서울시구청장 협의회장, 한나라당 지방자치위원장, 서울시 당 인사위원장 ․ 수석부위원장, 국회문광위 위원, 국회여성가족위 위원. |
회관 236호 (사)784-2643 788-2082 | ||||
윤 원 호 (비례대표)
진주여고, 진주교대 졸, 부산시 여성단체협의회 회장, 여성신문 창간발행인, 새천년민주당 부산시 지부장, 문화시민운동협의회 사무총장, 열린우리당 비상대책위원회 위원(현), 열린우리당 전국여성위원장(현), 열린우리당 부산시당 위원장(현), 국회문광위 위원, 국회여성가족위 위원.
|
회관 525 호 (사)784-2179 788-2301 |
|
|
안 명 옥 (비례대표)
인일여고,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의학석 ․ 박사, UCLA 보건대학원 보건학 석 ․ 박사, 포천중문의대교수, 가정법률복지상담원 인천지부이사장, 대한의사협회 이사, 대한의학회 이사, 소녀들의 산부인과 소장, 21세기생명환경위원회 위원장, 한나라당 저출산고령화 TF팀장(현), 국회복지위 위원, 국회여성가족위 위원. |
회관 234호 (사)784-0929 788-2174 | ||||
윤 호 중 (경기 구리시)
서울대 철학과 졸, 청와대 민정 ․ 정책기획 비서실행정관, 새천년민주당 부대변인, 열린우리당 기획위원회 부위원장, 제4정책 조정위 부위원장, 국회복지위 위원, 국회여성가족위 위원. |
회관 438호 (사)784-5722 788-2956 |
|
|
田 麗 玉 (비례대표)
이화여자대학교 사회학과, 이화여자대학교 정치학 박사과정, KBS보도국 기자, KBS 도쿄특파원, 인류사회 대표, 한나라당 대변인, 한나라당 최고위원, 국회과기정위 위원, 국회여성가족위 위원. |
회관 814호 (사)784-6120 788-2256 | ||||
이 기 우 (경기 수원시 권선구)
성균관대 졸, 아주대 공공정책대학원 졸, 제5대 경기도 의원, 경기복지 시민연대 운영위원, 열린우리당 중앙위원, 국회복지위 위원, 국회여성가족위 위원.
|
회관 605호 (사)784-5367 788-2911 |
|
| ||||||
민 주 당 |
손 봉 숙 (비례대표)
경북영주출생, 이화여자대학 정외과 졸업, 하와이대학 정치학석사, 이화여자대학 정치학 박사, 한국여성정치연구소 이사장,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위원, 동티모르UN국제선거관리 위원장, 국회문광위 위원, 국회여성가족위 위원. |
회관 844호 (사)784-6335 788-2673 | |||||||
장 향 숙 (비례대표)
한국여성장애인연합 공동대표 (1,2대), (사)부산여성장애인연대 회장 (1,2대), (사)부산장애인총연합회 부회장, 여성부 정책자문위원, 부산여성단체연합 부대표, 우리당 장애특위 공동위원장, 우리당 중앙위원, 국회복지위 위원, 국회여성가족위 위원. |
회관 221호 (사)784-4168 788-2170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