舞鶴 登高會
한라산
1. 등반 개요
1) 대상지 : 제주 한라산 (해발 1,947m)
2) 기 간 : 2023년 2월12일,일요일, 흐린후 오후비
3) 참가자 : 신상철,주경수,조은주
4)산행코스 : 성판악 탐방 지원센터- 사라오름 - 진달래 대피소 - 백록담 - 관음사 탐방지원센터
2. 제주도 한라산 등산코스 및 한라산 국립공원의 대한 정보 안내
한라산 (해발 1,947m).
대한민국에서 가장 큰 섬인 제주도에 있으며 대한민국의 실효 지배 영토 내의 최고봉이자 가장 높은 산
대한민국의 국립공원 중 하나다. 국립공원 전역이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었다.
그리고 대한민국의 실효지배 영토 내 해상 활화산이다.
이름을 풀이하면 운한(雲漢: 은하수, 또는 높은 하늘)을 당긴다(拏)는 뜻으로
은하수를 붙잡을 정도로 높은 산이라는 뜻이다.
금강산, 지리산과 함께 대한민국 삼신산(三神山) 중 하나로 꼽힌다.
한반도 본토 내의 남/북 합쳐서 2번째 혹은 3번째 높이의 산으로 오해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한반도 최고봉은 백두산 (2,744m) 이고,
2번째 산은 함경북도 경성군·무산군의 경계에 위치한 관모봉(2,541m)이며.
3번째 산은 함경남도 풍산군의 북수백산이다.
한반도 본토 북부 지방에는(개마고원 일대) 높은 산 60여 곳이 널렸다.
제주도를 제외한 남한 내륙에서는 지리산이 최고봉이다.
제주도는 오랫동안 '한라산'이라는 이름으로 대표되는 거대한 순상화산체인 섬이라는 것이 정설이었다.
이것이 제주도 사람들의 한라산에 대한 인식과 합쳐져서 생긴 말이
"한라산이 곧 제주도이며 제주도가 곧 한라산."이다.
그러나 연구 결과가 쌓이면서,
한라산은 제주도를 쌓아올린 여러 단성 내지는 준단성화산체들 중에서 가장 중앙에 크게 쌓인 것에 불과하며,
사실 제주도가 하나의 커다란 화산지대였다는 주장이 힘을 얻고 있다.
실제로 대부분 화산폭발이 한라산의 중심폭발이 아니었다.
한라산은 높은 산이지만, 멀리서 보면 흔히 '산' 하면 떠오르는 뾰족하고 깎아지른 모습이 아니라
비교적 완만한 경사로 되어있다. 순상화산의 특징 중 하나.
겨울철에는 대설특보 등으로 입산 통제가 빈번하며
봄철에도 장마급 비가 내리는 한국에서 대표적인 호우 지역이다.
하루에만 1,000mm (1m)이상의 무시무시한 집중호우가 내리는 경우도 있다.
이 점을 잘 공략한다면 물이 가득찬 백록담을 보는 행운을 누릴 수도 있다.
한라산 등산코스
남한 최고봉이라는 타이틀과 어울리지 않게 난이도는 상대적으로는 낮은 편이다.
화산분출로 생성된 산이라, 설악산, 치악산등의 바위산들과 다르게 산세가 험하지 않다.
탐방로는 어리목, 영실, 성판악, 관음사, 돈내코, 어승생악, 석굴암 7개가 있다.
이 중 어승생악과 석굴암은 짧은 시간을 들여 올라갈 수 있는 일종의 초심자용 코스이며,
현재 정상까지 올라갈 수 있는 코스는 성판악과 관음사 코스다.
정상을 오르는 가장 무난한 코스는 성판악(9.6km)으로 등산하고 관음사(8.7km)로 하산하는 것이다.
성판악 코스는 길이는 가장 길지만 비교적 평탄한 편이고
관음사 코스는 한라산의 모든 탐방로 중 가장 험한 편이다.
관음사 코스는 출발점이 해발 615m로 한라산의 모든 코스 출발점 중 가장 낮으며,
일반인들보다는 도민, 산악인들이 자주 찾는다.
하산할 때 험한 내리막이 밥 먹듯이 반복되고,
계곡 주변에서 험한 계단을 올라가고 내려갔지만 해발 1,000m에서 100m밖에 안 갔다고 안내 표지판에
나올 때 멘붕이 무엇인지 몸소 체험할 수 있다.
이러한 험한 지형 때문에 조난사고가 많이 일어난 곳도 관음사 코스.
유일한 약수터는 용진각 주변에 있고,
유일한 대피소인 삼각봉 대피소는 유인대피소이지만 있는 거라곤 대피소 건물과 간이화장실 정도라
음료수를 준비해 가야 한다. 관음사는 관음사코스에서 바로 갈 수 없고, 좀 떨어져 있다.
그 대신 성판악 코스가 숲으로 둘러싸여 있어 정상부근에 도착할 때까지 볼거리는 그다지 없는 것에 비해,
관음사 코스는 삼각봉, 용진각, 왕관릉, 병풍바위 등 경치는 꽤 좋은 편이다.
시간은 사람에 따라 다르지만 국립공원에서 안내하는 총 소요시간은 왕복 8~9시간이며
체력이 좋은 등산 숙련자는 왕복 6-7시간 내로도 가능하다.
만약 체력에 자신 있고,
여름에 가는 사람 한정으로 정상까지 제대로 다녀오는 방법으로는 다음과 같은 방법도 있다.
1. 관음사 코스로 올라가다 삼각봉에서 사진도 찍고 쉰다.
2. 용진각 대피소에서 충분히 쉬고 먹으며 체력을 충전한다. 식수도 충분히 챙긴다.
3. 용진각대피소-왕관릉까지 잘 올라간다. 이 구간이 제일 힘든 구간이다.
이 구간만 넘기면 정상인 백록담까지는 무난.
4. 백록담에서 밥을 먹는 것은 비추.
여름에는 벌레도 많을 뿐더러 그늘도 없고,
오래 있기에는 바람도 불고 추운 편인데 바람을 피할 곳이 마땅치 않다.
5. 하산은 성판악 코스로 하며, 시간과 체력이 된다면 사라오름도 들린다.
5.1. 만약 하산도 관음사 코스로 할 것이라면 성판악 코스로 조금 내려갔다
다시 백록담으로 올라가보면 성판악 코스는 마지막 정상 가는 코스만 볼 만하다.
운이 좋다면 성판악 코스 옆 풀밭에서 놀고 있는 노루도 구경할 수 있다.
5.2. 만약 관음사 코스로 하산했는데 체력이 아직도 남아있다면 관음사 구경하는 것도 괜찮다.
한라산국립공원
성판악 코스 : 5.16도로 버스(181번, 182번, 281번)를 이용한다.
배차간격이 10분~15분으로 짧아서 접근성은 가장 좋다.
어리목, 영실 코스 : 1100도로 버스(240번)을 이용한다.
배차간격은 1시간. 또한 겨울철 한정으로 제주버스터미널과 영실휴게소를 왕복하는 셔틀버스를 운영한다.
관음사 코스 : 제주시 시내버스(475번)를 이용한다.
시내로는 들어가지 않는 버스이므로 제주대 입구에서 내려서 갈아타야 한다.
예전에는 주말, 휴일에만 운행했으나, 2017년 버스노선 개편으로 평일에도 이용할 수 있다.
관음사발 막차가 20:02라 늦은 하산에도 큰 걱정은 없다.
돈내코 코스 : 서귀포시 시내버스(611, 612번)를 이용한다.
예전에는 3번이라는 노선 번호로 하루 6회만 운행하여 버스시간 맞추기가 힘들었으나
2017년 버스노선 개편으로 이제는 40분에 한번씩 버스가 운행하므로 상당히 편해졌다.
3. 개념도
4. 사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