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소기업 간 디지털 기술격차 심각… 尹 정부, 플러스 대안 '먹힐까'
안녕하세요. 일요서울입니다.
코로나19 여파로 경제 위기가 계속되는 가운데
50% 이상의 중소기업이 심각한 매출 감소로
생존 위기를 겪고 있는데요.
이에 OECD는 ‘코로나19 확산 과정에서
중소기업에 대한 정책 대응’을 긴급의제로 논의한 바 있답니다.
특히 가속화된 디지털 전환 속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디지털 기술 격차가 더욱 부각됐답니다.
우리나라 중소기업은
전체 기업의 99.9% 고용의 8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나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노동생산성 격차는
OECD 국가 중 가장 큰데요.
감염병 확산으로 비대면 활동이 확장되면서
디지털 기술이 핵심이 됐지만,
중소기업의 경우 기술적으로 열악한 상황에 처해 있답니다.
9일 산업통상자원부(산업부) ‘범부처 수출현장지원단’은
이와 같은 문제 상황을 논의하기 위해
대전 디지털무역종합지원센터(DCC)에서
중소기업과 제15차 간담회를 개최했는데요.
김완기 산업부 무역투자실장은
“윤석열 정부는 이런 상황을 인지하고 있으며,
기업이 어려움이 없도록 각종 지원단을 통해
현장의 애로사항을 해결할 수 있도록 마련하겠다”고 밝혔답니다.
김 실장은 “코로나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영향으로
어려운 상황이지만, 무역 수치도 개선될 것이고,
하반기에는 좋아질 전망으로 예측된다”며
“4차산업혁명 시대인 만큼 디지털 기술 지원을
받을 수 있는 DCC를 2027년까지 34개로 늘리려 한다”고
대책을 내놓았답니다.
이어 “전통적인 제조업뿐만 아니라 스마트팜, K-콘텐츠,
ICT서비스 등 새로운 디지털 기술 사업이
많이 나오고 있다”며 “이런 사업들을 적극 지원하고,
수출이 현재 마이너스이지만,
범정부적으로는 플러스로 만들어보겠다”고 말했답니다.
김 실장은 “우리 정부는 이를 위해
각 부처가 수출목표액을 설정해 운영하도록 할 것”이라며,
“이제 모든 부처가 담당부처이며,
이에 대한 명확한 책임을 지겠다”고 밝혔답니다.
4차산업혁명 시대에 디지털 기술 향상과 활용은
기업에게 매우 중요한 요소인데요.
이남철 서울사이버대학교 객원교수는
한 언론사 인터뷰를 통해 “우리나라의 중소기업
디지털 기술 증진을 위한 노력은
매우 미약한 상태”라고 평가했답니다.
하지만 중소기업의 디지털 기술 발전은 간단하지 않는데요.
교육 훈련 환경이나 노동시장의 변화 같은 요인에 따라
좌우되기 때문입니다. 그런 만큼 이번 윤석열 정부의 지원이
디지털 기술 격차 해소와 중소기업의 매출 회복의
돌파구가 될지 귀추가 주목되고 있답니다.
▼ 기사 원문 보기 ▼
▼ 지난 기사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