Ⅴ. 강화 마니산(摩尼山)
1. 강화도의 사찰(寺刹)들
우리나라에서 다섯 번째 크기의 섬인 강화도는 중부지방 전역의 물을 한데 모아 오는 한강과 임진강(臨津江), 예성강(禮成江)이 합류하여 서해(西海)에서 만나는 물 머리(合水머리)를 막고 있는 섬으로 예로부터 한반도의 중심부를 지키는 전략적 요충지였을 뿐만 아니라 단군이 부소(扶蘇)·부우(扶虞)·부여(扶餘) 세 왕자에게 각각 한 봉우리씩 맡아 쌓게 하였다는 삼랑성(三郞城), 단군(檀君)께서 하늘에 제사하기 위하여 쌓았다는 참성단(塹聖壇)이 있는 등 민족의 성지(聖地)이기도 하다. 옛 문헌에 보면 사찰들이 산재(散在)해 있었으나 지금은 거의 없어지고 몇 개의 사찰만이 남아 있는데 소개하고자 한다.
<오련지(五蓮池) 설화(說話)>
고구려 장수왕 때 천축조사(天竺<印度> 승려)가 강화도 고려산(高麗山) 정상에 올랐는데 그곳에서 다섯 가지 색깔의 연꽃이 피어있는 연못(五蓮池)을 발견하고 연꽃을 따서 던져 그 연꽃이 떨어진 곳에 절을 세웠다는 설화가 전한다.
곧 하얀 연꽃이 떨어진 곳에 백련사(白蓮寺)를, 푸른 연꽃이 떨어진 곳에는 청련사(靑蓮寺), 붉은 연꽃이 떨어진 곳에는 적련사(赤蓮寺), 노란 연꽃이 떨어진 곳에는 황련사(黃蓮寺), 검은 연꽃이 떨어진 곳에 흑련사(黑蓮寺)를 세웠다는 이야기가 전설로 전한다.
현재는 백련사, 청련사, 적련사(積石寺)의 3개 사찰만 있으나 기록에 의거 혈구산(血口山)에 있던 혈구사(穴口寺)를 근래(1962년) 황련사로 이름을 바꾸었고, 강화 가운데 우뚝 솟은 고려산(高麗山)은 지금도 봄이면 진달래 축제로 유명한데 정상 조금 아래쪽에 설화에 나오는 오련지(五蓮池) 흔적이 남아 있다.
2. 흥왕이궁(興王離宮)과 접연화앙산정(蝶然花仰山亭)
흥왕이궁지(興王離宮址) / 서해안의 섬들 / 마니산 참성단 / 제국대장공주
강화 마니산 뒤쪽 흥왕(興王)리의 흥왕초등학교가 있던 곳에서 장화리 쪽으로 조금 가다 보면 ‘흥왕이궁(興王離宮)’이라는 돌에 새겨 세워놓은 조그만 표지석이 보인다.
거기에서 골짜기를 따라 조금 거슬러 올라가면 우거진 수풀 속에 거대한 석축의 흔적이 보이고 주춧돌 흔적도 보이는데 이곳이 이궁(離宮)이 있던 자리로, 지금은 길도 없는 수풀 속에 버려지듯 빛바랜 작은 안내판이 을씨년스럽게 서 있다.
쓸쓸하기 짝이 없는, 잊혀져 가는 우리 역사의 한 편린(片鱗)이다.
이궁(離宮)이라면 떨어진 궁, 즉 별궁(別宮)쯤으로 보면 된다.
고려 말, 몽골의 병란을 피하여 강화로 오신 고려 제23대 고종(高宗)은 강화 읍내에 궁궐을 짓고 또 이곳에 별궁을 지으셨던 모양인데 기록으로 보면 고종 49년 기미(己未) 2월(1242년)에 창건하였다고 한다.
접연화앙산정(蝶然花仰山亭)은 정자(亭子)인데 기록에 의하면 이궁(離宮)에 기거하던 고려 궁인(宮人)의 이름이 접연화(蝶然花)였고 그 궁인에 의하여 세워진 정자가 앙산정(仰山亭)이라고 한다.
정자(亭子) 이름에 나타나 있듯이 이곳은 깎아지른 마니산이 바로 뒤에 병풍처럼 둘러서 있고 고개를 젖혀 쳐다보면 참성단(塹星壇)이 아스라이 보인다.
또 고개를 돌리면 드넓은 서해가 펼쳐지는데 신도(信島), 시도(矢島), 모도(茅島) 등 작은 섬들이 그림처럼 떠 있는 것이 한눈에 들어온다. 현재, 이 앞의 갯벌이 철새도래지로 보호되고 있는 것을 보면 당시에도 철새들이 날아들었을 것으로 생각되니 이 앙산정(仰山亭)의 풍광이 수려했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인근 골짜기 안쪽에는 흥왕사(興王寺)라는 절이 있었는데 충렬왕(忠烈王) 2년(AD 1276)에 왕비인 제국대장공주(齊國大長公主, 일명 莊穆王后 :원나라 세조 쿠빌라이의 딸)와 이 절에 왔다가 아름다운 금탑이 있는 것을 보고 궁궐로 옮겨갔는데 흥왕사의 스님들이 돌려줄 것을 간청하였으나 공주는 끝내 거절하였다는 일화도 있다.
재미있는 것은 내가 이 부근의 촌로(村老)들로부터 직접 들은 이야기로, 흥왕사는 나중 화재로 소실되는데 그 원인이 절에 빈대가 너무 많아 스님들이 일부러 불을 놓아 태웠다고 하는데 사실 여부를 떠나 재미있는 이야기이다.